무척산기도원으로 본 공회 기도원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무척산기도원으로 본 공회 기도원

https://kcnp.com/news/view.php?no=736


고신대 이사회가 2015.8.,21. 경남 김해시의 무척산기도원을 학교 소유로 증여 받는 형식 조건에 동의했다.
대지 지목이 농지여서 학교 소유로 증여 받을 수 없어, 지목을 변경 (임야 대지) 조건이다. 길목에 사유지가 있어 지목 변경은 어려워 보인다. 무척산 정상에 큰 바위가 하나 있고 한상동 목사님이 일제 때 기도한 연유가 있다.

1970년 대일 청구권 자금으로 차관 기타 생필품을 받을 때 사카린을 밀수한 삼성을 김경래 기자가 특종으로 경향신문에 특필했고 박 대통령은 '직책' 하나를 제안했다고 전해 진다. 이후 박 대통령과 특별한 인연을 이어 가다가 1978년 전국의 임야 내 불법 종교 시설을 일제 철거할 때 대통령께 직접 탄원을 해서 대통령이 거액을 주어 무척산기도원을 매입하고 건물을 양성화했다고 한다.

신이건 기자가 한국기독신문 2015.9.10.에 보도한 내용이다.


1대 원장은 명향식이다. 현재 3대 원장 송은파로 그의 딸이다. 한상동의 방문은 1940년이고, 1953년에 정식 기도원이 되었다. 1952년 부산 삼일교회 집회 강사로 갔다가 한상동을 접한 뒤 고신 교단으로 소속을 했다. 당시 전국 집회를 다녔다.


1978년 전국에 기도원 철거령으로 작은 기도실이나 굴에 만든 기도처나 숙소 등은 철거 되고 7동만 보존 됐다. 김경래 장로님이 대동령께 탄원서를 냈다. 1957년 긷고원 이사회는 모두 고신 인물들이다.
목사 = 이삼열 이금도 박창환 전성도 박태수 김종삼 박유생 심상동 조긍천 최무식
장로 = 김경래 이봉은 양상현 박덕원 박재덕 박문진신정학 윤영경 신기철
기타 = 명향식 표지현 이정희 길봉숙 몬복순 문복준 김영옥 이종봉 이화영 천갑조


대통령의 전국 사찰 기도원 정리 명령은
1978.2.10. 대통령령 8852호 (대통령 박정희, 총리 최규하, 내무장관 김치열) 국유지 무단 점유자들에게 불하를 허락했으나 무단 점유가 너무 많아서 7일 후 이 명령을 취소했다. 일반인은 모른다. 그런데 불하가 합법화가 되었으니 등기는 되지 않았으나 불하는 가능했다. 그렇다 해도 마을의 민원을 이길 수는 없었다. 1978.11.30. 계고장이 발부 되었다. 이후 우여곡절을 겪었고 경남도와 김해군청 사이에 복잡한 연락이 오간 다음에 7동의 보존 건물 대지가 불하, 등기가 되었다.
1 전체
연구 2024.08.17 00:00  
1978년, 공회도 부산의 대티고개 기도실부터 문제들이 되어 철거를 당했다. 국가는 산림 정책 때문에 불가피했으나 목사님은 그렇게 되도록 하신 하나님 앞에 우리의 신앙 내면을 찾으라고 당시 해당 교역자들을 크게 질책하셨다. 대구기도원의 경우 고속도로에 붙은 그린벨트 지역이어서 피해 갈 수도 없었다. 인간적으로 보면 각 지역의 역량에 따라, 그리고 하나님의 역사에 따라 달라 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