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론 외부자료 요약 05 - 성령론 입문 (장신 최윤배)
제1부 성령론 개요
제1장 서론
1. 성령론의 역사에서 두가지 극단의 문제 : 성령에 대한 과소평가와 과대평가
2. 성령론의 제 유형
1) 제도적/성례전적 성령론
2) 존재론적 성령론
3) 만유재신론적 성령론
4) 이위일체론적 성령론
5) 그리스도론적/응용적 성령론
제2장 기독교회사 속에서 성령론
제3장 성서에 나타난 성령론
제4장 성령은 누구신가?
제5장 성령은 무엇을 하시는가?
1. 성령의 일반사역
1) 우주와 자연 속에서
2) 일반 역사, 문명, 사회, 국가 속에서
3) 모든 생물체와 일반 인간 속에서
2. 성령의 특별사역
1) 성령과 그리스도인 : 구원론적 성령론
2) 성령과 교회 : 교회론적 성령론
3. 성령과 종말 : 종말론적 성령론
제6장 성령과 관련된 제 문제
1. 성령의 은사와 열매
2. 성령세례
3. 성령훼방죄
바울 사도의 회심 전후를 통해서 ‘인자를 거역한 죄’와 ‘성령 훼방 죄(거역한 죄)’를 설명할 수 있다. 바울은 회심하기 전에는 예수 그리스도를 거역하였다. 그러나 다메섹 도상에서 성령께서 음성을 들려주실 때에, 바울은 성령을 거역하지 않았다. 이 같은 관점에서 바울은 인자를 거역한 죄는 지었어도, 성령을 거역한 죄는 짓지 않았다. 그리스도를 우리에게 모시어 들이도록 믿음을 주시는 분이 양자의 영이신 보혜사 성령이신데, 성령 훼방 죄란 보혜사 성령을 받지 못하고 삶을 마친 사람의 경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4. 보혜사 성령
5. 성령 충만
6. 성령에 대한 호칭들
제7장 결론
제2부 개혁 장로교회의 성령론
제8장 마르틴 부처의 성령론
1. 서론
2. 삼위일체론
부처는 삼위일체론을 언급하지만, 그것을 체계적으로 논의하지는 않는다. 그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본질보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역을 더 강조한다. 부처의 경우 성령의 사역과 고유성은 ‘성화’로 지칭되고 있다.
제9장 장 깔뱅의 성령론
1. 성령과 성령의 담지자로서 그리스도
2. 성령과 성령의 파송자로서 예수 그리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