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론 외부자료 요약 01 - 개혁주의 성령론 (존 오웬)
제1부
제1장 성령에 대한 일반적인 원리와 그의 사역
1.성령의 은사
2.예수를 저주할 자로 부르면서 그를 주님으로 알 수 있는가?
3.은사를 창조하시는 성령과 은사의 분배
4.은사를 주시는 목적과 은사의 악용
5.성령의 사역에 대한 중요한 다섯 가지 사항
1)하나님의 영에 대한 교리는 복음 진리들 가운데 두번째로 커다란 제목이다.
2)언제든지 교회 안에는 성령의 이름과 사역을 가장한 거짓과 악습들이 많이 있어왔다.
3)오늘날 하나님의 영을 대항하는 반영운동이 일고 있다.
4)이 세상에는 성령에 대한 매우 많은 해로운 견해들이 있다.
5)오늘날 중대한 사건의 하나는 공개적이며 끔찍할 정도로 하나님의 영과 그 사역을 거부하는 것이다.
제2장 성령의 이름과 명칭
제3장 성령의 신성과 인격에 대한 증명과 입증
제4장 첫 번째 또는 창조때의 성령의 특수 사역
창조 = 특별히 성부의 사역으로 돌리나 삼위가 함께 하심.
성령=생명
- 수면에 운행하심으로 수면은 생명을 가지게 됨. 성령이 없는 수면은 사해(죽은바다)일 뿐임.
- 사람에게 생기를 불어넣어 생령이 되게하심(성령의 사역)
성부의 창조사역은 끝났지만 성령의 창조사역은 지속되고 있음. 성령께서 우주를 다스리시고 섭리하심. 모든 자연과 동물의 이성과 도덕에 영향력을 행사하심. 타락한 피조물들은 성령의 (재)창조사역으로 새롭게 됨.
제5장 성령의 시여 방법
제2부 ~ 제4부 까지 내용이 더 있으나 적용과 관련된 부분이고, 원론에 대하여서는 1부에서 마쳤으므로 1부 목차만을 소개합니다.
존 오웬은 “청교도의 황제”라는 별칭으로 불릴 정도로 역사적으로 위대한 신학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그는 뛰어난 석학이었고 많은 논쟁들을 이겨낸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그가 정리한 성령론은 보수신학계에서 정통으로 인정되어지는 부분이며, 정통신학자들 중에 그 누구도 오웬을 반대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책 전체에서 오웬은 성령의 “기능적인 역할”에 대해서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는 성령의 일반적인 사역으로서 “은사”를 주신다고 말하며, 각 사람에게 필요에 따라 나누어 주신다고 말합니다. 어떤 자들에게는 기적적인 은사를 주시며, 또 다른 자들에게는 직임과 역사라는 모습으로 은사를 주신다고 합니다,
은사를 주시는 목적은 복음증거 곧, 진리전파에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교회들에서 또한 교회사 속에서 성령의 사역에 대한 오해와 갈등과 거짓과 악습들이 있었으며, 오늘날(오웬 당시 학문적 논쟁만 가득하던 시기에서) 성령과 그의 사역을 끔찍하게 거부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앞서 제가 말씀드린 바와 같이 오웬은 성령의 “기능”에 대해서만 집중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만일 얼마 전 "기능"에 대한 부분을 공회에서 배우지 않았더라면, 오웬 신학의 특징을 찾아내지 못했을 것입니다. 오늘날 보수신학이 성령론에서 헤매고 있는 이유도 아마 여기에 있으리라 생각되어집니다. 보수신학자들은 선배 신학자가 정립해놓은 길에서 벗어나지 않으려고 조심하다보니 거기에 머물러 있기를 오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