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종교적 특수성, 한국 기독교...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한국의 종교적 특수성, 한국 기독교...

(역사)
서양은 근 2천여 년을 계속 기독교가 대세다. 중동은 오랜 세월 이슬람이 대세다. 한국만은 주류 종교가 바뀌었다.
이렇게 주류 종교가 아주 바뀐 국가는 세계사적으로 한국이 유일하다. 한국의 역사를 살펴 보면,

고조선은 그 자체가 하나의 종교국이다.
신라 시대는 불교국이다. 서라벌에만 절이 2만여 개다.
고려 시대도 불교국이다. 개경 인구가 20여만에 개경 사찰이 2만여 개로 추산 된다.
왕으로부터 온 나라가 전부 불교인이었다.

조선은 유교로 바뀐다.
왕으로부터 마을의 이장까지 모두가 유교 신자다. 동네마다 향교가 있고 이념이다.
불교는 전부 산으로 쫓겨 가고 도성의 4대문 안에는 중들이 출입도 금지 당했다.


(특징)
* 민족주의
현재는 기독교 국가 정도가 되었다.
가톨릭은 2천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자리를 잡았고 개신교는 좀 역동적이지만
한국 카톨릭은 세계 다른 카톨릭과 다르다. 파리의 5대 거대 성당도 교인 몇백 명만 모인다. 한국 성당은 수천 명씩이 모인다.
그래서 카톨릭 세계 지도자들이 한국 성당을 방문하면 그 열기와 숫자에 아주 놀란다. 유교도 중국 등에서는 다 떨어 졌지만
한국에서는 성리학으로 더욱 뿌리를 내리고 깊어 졌다. 한국 사회에 온 종교는 아주 심층으로 들어 가고 열기가 아주 다르다.
또 나라 위기 때 모든 종교들이 일단 뭉친다. 불교국에서 중들이 전쟁에 나서지 않는데 한국 불교는 칼을 들고 전쟁에 나섰다.
서산대사가 대표적인 선승인데도 승군의 대장으로 나섰다는 것은 아주 특이하다. 한국의 종교에는 민족이 너무 강하다.
중국 역사에 거란족 만주족 모두가 다 역사 속에 사라 졌고 세계를 제패한 몽고족도 이름만 남은 정도나 한국만은 생존했다.

임진왜란 때 불교는 박해 당했으나 전쟁에 나섰고, 일제 때 민족을 위해 나선 것은 종교인들이고 천도교 교주가 앞에 나섰다.
헌법 정신의 첫 머리에 나오는 3.1 운동도 천도교 15명, 기독교 16명, 불교 2명으로 33명 되고 유교는 나중 48명에 포함된다.
다른 나라는 종교 때문에 전쟁을 일으키는데 한국 사회에서는 다른 종교들이 외침에 대하여 종교들이 뭉치는 것도 특이하다.
해방 후 북미에서 온 복음주의자들 때문에 신앙만을 주장했고 이교도들과 손을 잡는 것을 거부했으나 원래는 그렇지 않았다.

* 무속적 유교적
한국 종교는 무속이 모두 끼어 있다. 불교에도 교회에도 굿 하듯이 한풀이 하듯이 모두 무속적인 성향이 들어 가 있다.
겉으로는 모두 불교 기독교 카톨릭인데 한국의 모든 종교는 또 유교적 질서다. 속으로는 유교가 다 자리를 잡고 있다.
기독교는 계몽주의 평등 의식이 오랫 동안 내려 왔으나 한국 교회는 유교처럼 칼 같이 위계질서다. 불교도 깡패처럼 그렇다.
인도에 불교 성지 순례를 오면 모든 나라 불자는 모두 자기 내면을 성찰한다. 한국 불자들은 중들에게 절한다고 정신이 없다.


(개신교의 특징)
* 사회적 역량
한국 사회의 근대화의 지도자들은 거의 다 기독교인이다. 김구는 중을 했던 정도나 결국 기독교인이 된다. 참으로 많다.
세계 한국인 이미 사회의 구심점은 기독교다. 아프리카 어느 구석에도 한인들의 활동은 특이하다. 그 뿌리는 한국 교회다.

* 변화 거부적
기독교의 성장은 세계 역사에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다. 해방 후 미군의 주둔과 미국의 역할 때문에 기독교 국가 정도다.
이제는 남북의 민족 화해든 어떤 문제든 이제 변화를 싫어 한다. 새로운 질서가 될 때 불리해 질 것이니 변혁 변화에 거부다.

* 성직자 문제
해방 직후 3만 정도의 교인이 지금은 1천만이 되었고 급작스런 급성장 때문에 별별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한국 불교는 수행 열기가 많다. 조선 때 산 중으로 갔기 때문에 한국의 가장 좋은 산에 명당은 사찰이 차지 하고 있다.
이런 위치에서 가장 좋은 명상법까지 확보하고 있어 현대인들에게 치료에 좋은 장점이 있다. 그런데 내분이 너무 강하다.
승려 3명이 함께 할 수 없다는 정도다. 공동체로 묶으면 억압이라 한다. 한국 불교만 너무 전근대적이다.
카톨릭은 중앙 집권이 강하여 청렴 등에서 유리하나 교황이 개혁적으로 노력하지만 군대 시스템 정도의 절대주의다.


(타 종교들과 비교)
기독교는 사회의 지배 종교가 되면서 생활에 사치적 종교가 되고 이슬람은 가난하게 살다 보니까 생활과 신앙이 하나 되고
동남아 불교국도 아무리 빵을 주고 전도를 해도 개종이 없다. 이슬람 사원은 어떤 장식도 압박도 없다.
한국은 정치와 민감하게 내려 왔기 때문에 한국은 동양에서 유일하게 기독교가 착근한 나라다.
한국인은 우리 안에 원래 깊은 것을 찾고자 하는 열망이 있었던 것 같다.



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EC%9D%B4%EA%B1%B4%ED%9D%AC+%ED%99%80+%EC%A2%85%EA%B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