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월교회 순교자 연구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야월교회 순교자 연구

http://www.yaweal.or.kr/ (야월교회)



spot2.gif서 론

순교자가 많은 교회라고 하여 부임하였으나 전연 순교자가 있는 교회답지를 않게 보였다. 영락교회를 가본적이 있다. 김응락장로님이 교회 건축위원으로 교회를 6,25사변중에 지키시다가 퇴각하는 공비에게 기도중 사살되여서 후에 뜰에 작은 비석에 이름이 세겨진 것을 보고 이런것이라도 이 교회 뜰에 세워졌으면 흔적이라도 남을텐데...

그래서 행여 문서라도 남았나 조사했으나 다행이도 선임교역자님들이 몇분의 이름만 찾아 남겨 놓았다. 나는 이 명단을 보고 그 기쁨을 형언할 수 없이 기뻤고 소망이 있었다. 부임 첫날밤 우리교인이라 하지만 지금 우리 교인이 아닌 무리들이 교회안에서 열심히 기도하신 모습을 이틀저녁을 꿈으로 보고 더욱 관심을 풀길이 없어 내 기어히 이분들의 이름을 밝혀 놓고 말리라 다짐하였던 것이다. 이젠 우리는 이들의 신앙을 결코 자랑하는 교회로 끝나지는 않겠다.

이제부터 이들의 신앙의 자세와 기풍을 세우는 교회가 되어 선교와 봉사와 사랑으로 충만한 교회가 되리라는 자세로 마음을 다지며 이 연구에 임한 것이다.

spot2.gif연 구 목 적

대한 예수교장로회(통합) 광주노회소속 야월교회는 전남 영광군 염산면 야월리 471-1에 소제한 교회로써 1908년 4월 5일을 기하여 설립된 교회이다.

조선 예수교장로회 사기상에는 영광군 염산리교회가 성립하다 선시에 본리인 문영국, 정정옥등이 일진회를 대항하기 위하여 봉산교회를 다니다가 차차 진리를 습득한 후 열성으로 전도하여 신도가 증가함에 교회를 설립하고 선교사 배유지 , 도대선, 남대리, 이아각 과 조사 박인원, 이경약, 최홍교, 이규주 등이 차제 시무하니라.

기독교대백과사전에는 이어서 야월리교회의 초기 명칭이 염산리교회였고 현재의 영광군 염산면 봉남리 소재 염산교회는 사실상 1939년 군남면 옥실리 교회로 출발 1947년 봉남리 현 소재지로 옮겨 염산교회로 명칭을 변경하다. 이렇게 기록되어져 있다.

야월교회는 1908년4월5일 전라노회 제4회기에 설립허가를 받은염산면에서는 처음시작된 교회이다.그래서 염산면을 대표하여 마을이름으로 호칭하지 않고 염산교회로 설립허가를 받았다. 그러다 1937년 염산교회 (지금 설도교회)가 설립이되니 노회로부터 마을이름을 따서 야월교회로 개명 되어진 것이다. 야월리는 염업이 크게 성한 곳이다. 예전에는 화염을 주로 하였고 점차 천일염전으로 발전하였고 해방후에 육지와 제방으로 연결된 후 오늘날에는 교통도 편리하게 된 것이다. 사실 온교인이 순교한 교회라지만 전연 문서나 어떤 유적이나 흔적을 찾을수 없어서 이분들을 찾아서 잊어버리고 숨겨진 역사를 한국 기독교 역사에 제자리 찾기를 해야겠다는 담임목사로써 의지를 갖게된 것이다.

한국 기독교사에 이토록 한 시대의 아픔과 수난을 맞이하여 신앙을 지킬려고 하다가 수없는 인명을 잃었지만 전연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고 이름들을 볼수 없다. 그 이름을 찾아 놓지 않으면 영원히 잊혀질 것이다. 이제 이분들은 마땅히 한국기독교사에 기록되여 전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더구나 작은 교회였기에 교역자가 없었고 한때 한국전쟁후에 교회당도 불태우고 교인은 한사람도 남지 않고 순교하여 백지화된 교회이기에 역사적인 기록 및 순교자 명단도 찾지 못하였다. 이제 이분들의 이름이라도 가족사항이라도 정확이 찾아 전하여야겠기에 이 연구에 임한 것이다.

spot2.gif순교자 범위

제목이 야월교회 순교자 연구이기에 순교자란 예수 믿는 성도들이 어떤 특정한 권력과 제도에 의하여 신앙때문에 수난당하여 희생하신 분들을 순교자라 한다면 지난 1950년 6.25사변부텨1952(음) 1월 16일까지 공산당에의하여 여기 야월리에서 신앙을지키시다가 주님앞에 가신 성도들을 여기서 순교자라고 말하려고 한다.
야월리에서는 6.25사변 당시 50년 6월 22일 이북 공산군이 숫자 미상의 1개 부대가 야음을 타서 창수앞으로부터 상륙하였다. 이로 보건대 이미 6.25사변이 일어나기전 후방 교란 목적으로 북한에서 이미 병력을 파병한 것이다. 그러나 당시 광주에 상주한 여순 반란사건을 토벌하고 지방의치안을 위하여 주둔시킨 병력이 있었다한다 북한군이 상륙한 이튼날 23일 염산면 내남리 뒷산에서 광주에주둔한 군병력과 영광 함평지방 경찰부대와 연합하여 이곳 내남리에 22일 잡입한 북한군을 소탕하기 위하여 소탕전이 벌어졌는데 치열한 전투끝에 거의 전멸시켰고 그중 살아있는 잔병은 남쪽서쪽으로 도망하였다한다 6.25사변 당시 공산군 주력 부대는 낙동강 전투에 총투입되고 이 쪽은 주로 지역 빨치산이 조직되여 이들이 준동하면서 막대한 재산 피해와 인명피해를 준 것이다.
특히 염산면 지역은 늦게 수복되어(52년 1월 16일<음력>백수 까봉전투를 마지막으로 잔딩을 소탕하였다고 함) 타지방에서 볼 수 없는 기독교 인사 및 우익 인사들이 체포 처형되였고 심지어 가족까지 모조리 쳐형한 것이다. 그래서 이시기에 신앙지키다 죽어 순교하신분을 순교자의 범위에 제한하려 한다.

spot2.gif순교자 발생의 시대적 배경

염산면 소제지 소제한 설도교회 임한선장로(현설도주유소주인)에 의하면 이미 염산면 지역에 1950년전 일찍 부터 북한 공산당 거물 金三龍(남노당 거물 간첩)이 염산면 오동리 상오부락 출신으로서 金三龍을 추종한 지방 빨치산이 준동 입산하여 월암산에 근거를두고 인근 부락과 심지어 도로에까지 출몰하여 밥을 짓게하고 우익인사들을 납치 살해하자 경찰력에 의하여 주민이나 입산한 가족을 구금밎 쳐형하게 되여 감정이 격화되었다.

야월리 이리부락에 소제하신 정준성씨 증언에 의하면 1950년 6월 22일 밤 숫자미상의 북한 인민군 1개 부대가 창수 앞으로 야음을 이용하여 상륙 염산뒷산넘어 내남리에 잠입하여 영광을 공격하려 하였다. 이 정보를 접한 국군토벌군이 광주에서 내려와서 지방경찰들과 함께 신성리에 입접한 내남리 부근 야산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져 대다수가 살상되였고 잔당이 남쪽으로옥실리 그리고 서쪽으로 야월 지금 야월 서초등학교 뒷산으로 잠입하였다.

그중 한사람이 야월서초등학교 뒷산에 숨어있다가 나뭇꾼에게 발견되여 이소식이 경찰에 알려지게 되자 경찰이 마을에 와서 자수를 권유독려하므로 야월교회교인인 정문성씨가 산에 다시올라가 공비잔당 일명을 자수권유하여. 경찰에 인개 하였던바 입동 길옆(상여집 앞)에서 총살하였다.

남아있는 다른 잔당이 사실을 알리고 이 마을이 불순한 마을이라고 하여 그들의 주목하는 불순한 마을이 되였고 또 정문성이가 기독교인이라는 점이다. 좀더 확실한 직접 원인은 1950년 9월 29일 국군과 UN군이 목포에서 함평 영광을 수복할 때 기독교인사와 우익 인사들이 대 환영을 하러 나갔다고 한다.

이 사실을 기독교대백과사전 1489page에 보면 "1950년9울29일 후퇴했던 국군과 UN군이 영광읍에 진주하였다. 이에 기독교인들과 우익 인사들이 환영행진을 하고 만세를 불렀다. 이에 기독교인들과 우익 인사들이 환영행진을 하고 만세를 불렀다.

그러나 미쳐 후퇴치 못한 공산군과 지방 공산당들은 인근산속에 은거하고 있었고 국군을 환영한 기독교 인사에 대한 보복게획이 추진되였다.

이상의 말을 빌려 보더 라도 정남철장로 부친 정종달(72세)씨의 증언도 일치하고 현제 서울 동대문구 장안1동 220-6에생존해 계신 최창섭장로(6. 25 직전 야월리에서 신앙생활하시고 사시다가 이거하신 분)의 증언에도 심지어 그 당시 야월교회 최판섭집사, 조숙현집사, 조양현영수 자제들이 태극기를 띠고 국군 환영대회에 나갔다고 한다.

또 하나의 직접적인 원인은 야월리 이리 마을 김희철씨의 증언에 의하면 공산주의자들이 이지역을 점령하여 술양조장집 주인과 다른 유지들을 교회당 뜰에 꿀리고 마을사람들을 모여놓고 공개처형 하기위해서 인민제판을 하게 되었다.

"여러분 이두사람들은 인민의 피와 땀을 착취한 악질 반동입니다. 이 악질 반동을 어떻게 하면 좋겠소?" "인민의 원수이니 죽여야 합니다." 그러자 야월교회 출신 김성종영수님이 칼칼한 목소리로 "아닙니다. 그 사람은 흉년이 들어 한때 어려웠을때 쌀을 풀어 나눠주었고, 법없이도 사는 사람입니다. 나라에선 이런사람을 표창을 하고 상을주어도 모자랄진대 어찌 상을 주지 못할지언정 사람을 죽일수 있습니까?

"사람의 생명은 하나님께 있습니다. 사람이 사람을 죽여서는 안됩니다." 그러자 다른 사람이 "옳소"하여 그들의 이 지역혁명 게획에 차질이 난 것입니다. 그래서 기독교인들을 먼저 죽여 재거시킨후에 마을 혁명을 완수 하자는 무서운 음모를 세우게 되었다고 한다.

"그후 염삼면과 백수가 가장 늦게까지 수복되지 못하여 1952년(음)3월 16일 백수로 퇴각 할때까지 긴세월 지방공산 빨치산과 공산군들은 인민재판으로 처형을 필두로 하여 1951년(음) 8월, 9월 까지 야월리교회 성도들을 처음은 중심인물들을 설도분주소에 끌어다 죽도록 두둘겨 허리에 돌을 매달아 물속에 처녛어 처형한 것이다.

야월리 이리 부락에 계신 이시성씨 증언에 의하면 " 김성종영수, 조양현영수,최판섭 집사 최판원집사 김두석 성도 등은 염산 설도 수문 앞에서 모두 개별적으로 끌어다 물에 빠뜨려 처형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그의 가족들은 체포되어 이리마을 조씨집 창고에 가두었는데 낮에는 살려두고 깊은 밤에 처형했는데 온마을이 떠나가게 찬송을부르고 기도 하였고 밤이깊어지자 이들을 차례로 두우리쪽 큰북재 넘어 이리마을 공동묘지가 있는데 공동묘지 앞부분에다에 약 직경10m 넓이로 큰 구덩이를 낮에파놓고 밤이 깊어지자 교인들을 손을 뒤로 몸에 묶어서 구덩이에 때밀어 생매장시켜 죽였다고한다. 안들어 갈려고 하는자는 칼로 찌르고 대창으로 찔러 강제로구덩이에 처넣고 흙을 덮어 죽였다. 증언자의 말에의하면 흙이 3m가 넘게 깊이 쌓였는데도 그흙이 오르락내리락했다고 한다 그구덩이에도 모자라 또 한팀은 지금은 천일 염전이지만 낮에 바다가에 큰 구덩이를 파서 둠벙을 만들어 그둠벙에 교인들을 밀처넣어 생매장시키어 흙을 덮어서 죽였다고한다. 물론비신앙인도 그곳에 함께 쳐형하였는데 후에 한 구덩이에서 사체를 80구를 발굴했다고 한다. 이시성씨에 의하면 주로 이 두곳에서 생매장하여 죽였다고 한다.

조양현 영수님과 최판섭집사님은 해방전 신사참베를 반대하여 옥고를 치루다. 8.15일에 출옥 성도까지 된다고 한다.(최석창장로 증언 및 "야월도 순교자"심영걸 저) 특별히 최판섭집사는 신앙이 좋고 똑똑하여 지방회에 참석하며, 교회사를 의논 할 때 명쾌하게 발언하고 매사에 깊이 있고 능력있게 마무리 짖자, 해남군 산이면 초성리교회 유귀남장로님이 자기 딸 유영심을 인연을 맺게 ㅡ하여 사위로 삼았다.
이분도 뿌렴도(지금은 지도상 가기도라고 기명)란 섬으로 피난갔는데 들려온 소식이 교인과 가족이 모두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교인과 가족이 모두 죽었는데 나혼자 살면 무었하냐"하고 상륙하여 그날 저녁에 체포되였다집사님은 어머님이네장형 최판원집사가 잡혀 죽게 되었다고 어머니가 울으시면서 네가 들어가면 네 장형 판원이를 살려준다고 하니 네가 들어가거라. 그러자 최판섭집사는 어머니 앞에서 “내가 어머니 앞에 먼저 가는 것은 어머님께 불효이오나 하나님이 부르시니 이제 가겠습니다.” 하고 붙잡혀 맨발로 걸어서 가시면서 의연한 자세로 저멀리 주님만 바라보시면서 찬송을 부르시며 설도 분주소에 잡혀가시어 설도 수문에서 형 최판원집사와 함께 물에 빠뜨려 장렬히 순교하셨다고 한다.

이시성씨 증언에 의하면 남석우씨는 예수 믿는 반동분자라고 해서 밭가에서 돌로 머리를 처 두개골이 파열했으나 아직 죽지 않어서 집으로 옴겨 놓았으나 회생하지 못하고 죽고 말았다고 한다.

이어서 1950년 음력9월 어느날 오후 4시경에 교회당 건물까지 소각해 버렸다고 한다. 그래서 몇년동안 교회없는 마을이 되고 마랐다.

야월교회 성도들은 하나같이 값진 신앙을 지키다가 한분도 남김없이 살해되여 순교제물이 되여진 것이다.

spot2.gif사료적 증거

야월교회가 단일교회 순교자 숫자가 영광에서 염산교회 77명보다는 작지만 온교인이 한사람도 당시 교회다니며 사신 분중에서 남지않고 순교하였고 교회가 불탔던 교회로서는 한국교회사에 유일한 교회라 생각된다.

한국 교회사 호남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영광군내에 있는 대부분의 교회가 수난을 당하고 또 많은 순교자를 낸 교회들이 많다. 그중에 야월교회는 최판섭성도를 비롯해서 유년주일학교 학생까지 포함에서 65名의 순교자를 냈다. 야월교회는 교인을 잃고 또 교회당은 전소되고 말았다.

또 기독교대백과사전에는 "1950년 6.25사변으로 교회는 다시금 수난에 직면 했는데 특히 인근지역에서 암약하던 地方공산당들의 만행에 더큰 피해를 입었다. 이때의 전도인이던 김영갑은 피난하였고 교회당은 공산당에게 징발당하여 교인들은 다시 지하교회의 형태로 신앙생활을 게속하였다.

이에 기독교인들과 우익 인사들이 환영행진을 하고 만세를 불렀다. 그러나 미쳐 후퇴치 못한 공산군과 地方공산당들은 인근 산속에 은거하고 있었고 국군을 환영한 기독교 인사들에 대한 보복계획이 추진되였다. 그해 10월 공산당들은 야월리에 난입 교인들을 교회당에 모아놓고 석유를 뿌린채 불을 질렀다. 이때에 조양현 조숙현영수 최판섭, 최대섭집사 그의 여동생 최판례를 비롯 어린아니까지 포함하여 65명의 교인들이 참살되었다. 고 기록되어져 있다.

88년도 구역예배지침서에는 "교회적인 참상의 실예로 전남 영광 야월교회는 65명" 이렇게 숫자만 기록되여 있다.

그러나 현지인의 증언에 의하면 51년 9월부터 10월까지 기독교 인사들에 보복 계획에 의하여 살해하였지만 핵심 인사들은 염산면 분주소도 체포인도하여 많은 매를 맞아 반 죽음 후에 손목을 위로하여 새끼줄로 묶여 돌을 채워서 바닷물에 뛰워죽게하였고, 나중에 그 가족까지 심지어 어린이 갓난아기까지 바다 물에 빠뜨려 죽게 한 것이다.

1952년 음 1월 16일 공산당이 백수로 철수한후에 경찰이 수복한후에 한번에 80여구를 매장한 시체들을 발굴할 때 호쿠와 쇠스랑으로 시신들을 들추어 모습을 알 수 없어서 입은 옷으로 확인하여 장사를 지냈다고 한다.

그리고 교회당은 1951년 10월 어느날 오후 5시에 공비에 의하여 불태워 졌다

spot2.gif추적방법 및 과정

순교자 명단 추적하는 과정은 여러가지 어려움이 많았다. 다행이도 순교자의 중요인물은 교회 연혁에 전임 목회자님들이 기록하여 남겨져 있었다. 호적이 이적되여 기록이 없는분 호적은 남아있지만 혼인신고 및 호적에 출생신고가 안된분도 많았다.

호적이 불타 소실되여 地方法院에서 복사하여 복원하였지만 전가족이 멸족한 가족은 호적복원에 누락되기도 하였다. 그래서 호적열람으로 추적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미 40여년의 세월이 지난후인지라 당시 함께 살았던 분들도 이웃이지만 어려웠던 때인지라 기억에 빨리 잊고 싶어해서였는지 전연 기억을 못하신다.

그러나 추적하면 반듯이 드러날것을 확신하면서 시도했다. 추적방법은 당시 야월리 이장을 지낸 정준성씨를 찾아가 전반적이 부리핑과 기억을 더듬어 그 가족의 호주 및 남자들은 대강 기억하고 계셔서 도움이 되였으나 부인들이나 아이들은 전연 이름을 찾기가 어려워 특별추적할 필요성이 있었다.

먼저 호적추적을 시도했다. 다행히도 호적담당 직원및 면장님의 특별배려중에 도움이 되었다. 그런데 본인 이름이 지방에서 부른 이름으로 등제가 안된분 이적이 되어 기록행방이 묘연한 분, 그래서 거의 실패하였다.

남자는 이름이 등제되였으나 혼인신고 출생신고가 안되여 부인과 아이들 이름을 찾을수 없었다. 그래서 한가족 중심하여 집중 추적하기로 하였다. 당시 함께 이웃해서 사신분 혹은 사신분중 가장 친하게 사신분을 찾았고 친척을 찾아 일일히 방문하여 추적하였다. 다행히도 조양현영수님의 가정은 영광읍에 현제 生存한 동생 조풍관집사님(☎352-3329)소장한 족보를 조사하여 잃은 이름들을 찾은것이다.

최판섭집사의 가족은 현재 사촌형님이 영광군 군남면 양덕리 40번지 갑촌에 생존하여 계신대 3회에 걸쳐 방문하여 그 부인의 탁월한 기억력 때문에 최판섭집사및 최판원집사님의 모든 가족의 이름은 찾게 된 것이다. 김성종영수님의 가족은 두 아드님까지는 마을에서 어르신들이 기억하고 있지만 자부와 손주들의 이름은 다잊어버려서 찾을길이 없었다.

옥실리에 선산이 있어서 가까운 친척을 찾았으나 소득이없고 약간 먼 친척이 함평읍 신기산에 생존하신 김대선씨를 찾았으나 문권에도 기록이 빠져 있었습니다. 그래서 허탈한 마을으로 돌아왔다. 다시 옛 주거지 번지를 찾아서 등기부 열람을 했으나 미등기로 있어서 토지대장을 열람하여 확실한 번지를 찾아서 다시 호적을 직원과 같이 조사하였더니 주께서 도우셔서 모든 가족사항이 말소되지 않고 남아 있어 영수님의 모든 가족 사항을 찾게된 것이다. 옥실리에 선산이 있어서 가까운 친척을 찾았으나 소득이없고
그러나 호적에도 모든분의 기억에도 찾을수 없는 이름들이 있었다. 분명히 결혼하여 동거하여 살았고 같이 살았기에 가신분의 이름은 이토록 아플수가 없었는데 요행히도 당시 함께 신앙생활하시던 장로님을 뵙게 되어 정대성성도의 부인 전덕성씨를 찾게 되였다. 그래서 거의 모든분을 찾게됨을 하나님께 감사하고 특히 찾아 추적할 때 마다 성의있게 말씀해 임해 주신분들께 감사한다.

spot2.gif순교자 명단 체택과정

야월리에 1950년대에 실제로 체험하고 그 불행한 시대를 살으셨고 현재 생존하여 생생히 증언하시는 분들이 계신다. 이 분들은 기억력도 즣으시고 자못 생활도 좋으신 분들로서 마을 유지에 속한다.

그 명단은 아래와 같다.
황판옥 81세 야월리 1구 이리부락 소제
정종달 72세 야월리 2구 야장부락소재(☎52-9155)정남철장로 부친
강대위 72세 야월리 2구 456번지 야장부락 소제(☎52-9971)
이희성 63세 야월리 1구 이리 마을 유지
최석인 75세 야월리 1구 이리소제
정준성 66세 야월리 1구 50년대 당시 마을 이장하신분
이분들은 살아 있는 증언자들이시다.

본교회순교자 명단을 결정할 때 1989년 2월 26일 최종한장로님의 다방에서 상기분들의 어르신들을 모시고 최장로님입회하에 명단을 살펴가면서 누락되신분, 오기되신분 혹은 비기독교인이 이명단에 끼여 있는가를 결정케하였다.

본교회 담임목사인 배길양목사의 사회로 삼심제에 의하여 체택하기로 하였다. 제일심 전체를 낭독하여 살피다. 제이심 가족적으로 살피며 명단 하나하나 이름을 구체적으로 오기되었거나 호적보다 마을에서 부른 이름들을 체택하고 누락자를 찾다.

제삼심 최종적으로 가족명단을 확정 결의하다. 그리고 전 명단을 다시 살피고 이상 없음을 확정 체택 결의 하였다. 이어서 이 순교자 명단을 돌에 새겨 건립키로 한 것이다.
이러한 모든 경비는 본교회 성도들의 특별헌금으로 하기로 하여 89년 3월19일 헌금하였다. 이는 진실로 사랑하는 교회가 순교신앙을 이어가고 이 순교 신앙에 동참하는 마음으로 전교인 헌금토록 하였던바 더욱 감사한 것은 주일학생 아동부, 중고등부
학생까지도 비록 작은 금액이지만 정성 다하여 헌금되여진 것이다.

spot2.gif순교자 명단

영수 김성종 (부인)최씨부인
(장남)김두원 (자부)오연이 (손녀)김안순
(차남)김두석 (자부)박귀례

영수 조양현 (부인)신씨 (모친)인동장씨 (장남)조영원 (차남)조영연 (딸)조마리아(영님)
(사위)김준수 조영민 갓난이
(사위)홍순택 조영애(삼녀)
(사위제)홍사차 (사위제)홍오차
(동생)조숙현집사 (부인)김씨 (장남)조영신
(차남)조영태 (삼남)조영배
(동생)조춘현집사 (부인)김씨, 조연레, 조귀례, 조연순,
조안순 (사위)박성철 (장녀)조순례, 조영갑(조양현 맡형의 장남)

집사 최판섭 (부인)유영심(해남 산이면 조성리교회 유귀남 장로의 딸)
(모친)김씨 (장남)최영국 (장녀)최영애
(형)최판원집사 (부인)김씨 최영님, 최영복, 최반달이, 최영숙

집사 김병환 (부인)채선례 (장남)김형기 (차남)김요기 (사위)이희범 (자부)한씨 (손녀)김정숙

집사 정일성 (부인)이씨 (장남)정종임 (장녀)정정단

정문성 (부인)배금순 (장남)정해동굴 (동생)정대성 (부인)정덕성

남석우 (부인)본아리댁(원례) (장녀)남헤자 남부댁

(이 상 65 명)
spot2.gif순교기념탑 건립과정 및 추모식

본 교회에서 순교자명단이 확정되자 순교비를 건립코져 온교인들의 정성어린 헌금을 하였다. 여기에는 교회학교 아동부의 코흘리개의 헌금까지 하였다. 이런 사실을 노회장이 알고 그토록 의미 있고 막중한 일을 지교회에서 하는것보다 거 노회적으로하면 어떻겠느냐고 하기에 "매우감사합니다. 그렇다 하면 더 의미가 있겠습니다." 하여 노회임원의 중지를 모아 거노회적인 사업으로 추진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그래서 1989년 3월 29일 광주노회 제3회 정기노회총회에서 야월교회 순교 기념탑을 건립키로 결의하고 제반업무는 임원회에 위임키로 하였다. 1989년 4월 8일 오후 5시에 노회 임원회가 대인동 노회사무실에서 소집하여 노회장 유한귀목사의 사회로

야월교회 순교기녑탐 건립위원회와 각분과위원희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기로 하여

*위원장 : 유한귀목사 *서 기 : 이정조목사 *회 계 : 유재옥장로
*분과위원
1. 사증분과 위원: 노정열, 유한귀, 차종순, 박금호, 배길양
2. 탑 건립분과 위원 : 남정규, 나종권, 김정문, 김녹현, 최종한
3. 행사위원 : 오용운, 이정조, 박겸낙, 유재옥, 김초현
4. 고문 : 홍관순, 장동진, 박관석, 이화림, 김홍배

*제3회 노회 제1차 임시노회가 주후 1989년 6월 12일 오후 2시 담양읍 교회에서 임원회 보고중 조직을 보고하였다.

*1989년 6월 4일 사중분과위원장 노정열목사 차종순교수(호신대), 김수진박사(장신대), 안종렬목사, 배길양(본교회 담임)목사와 마을의 당시에 생존하신 어른들(정종달, 정준성, 이시성, 강대위, 홍순춘)을 모시고 담임목사의 추적명단을 중심으로 사정을 하여 확인하고 1986년 6월 16일 노회 임원에서 사증분과 위원회 보고의 보고가 증명되므로 받기로 결의하고 비문작성은 탑건립 분과 위원인 차종순교수께 위임하여 쓰기로 하였다.

*1990년 4월 14일 남정규,박관석, 나종권목사님과 본교회 담임목사및 야월교회 온교인들과 더불어 탑 건립 기공예배를 드려 건축공사를 하였다.

*1990년 11월 29일 준공예배를 드리고 탑제막식을 하였다.

spot2.gif순교기념탑 비문 (차 종순 목사 호신대학교 총장 쓰신글)

순교기념탑 건립에 즈음하여
1897년 목포에 선교부를 세운 미국 남장로교소속의 배유지(Eugin. Bell)목사 일행의 선교활동으로 이곳 영광군 염산면 야월리까지 복음이 전파되었다. 구한말의 암울한 시대적 상황에서 이곳에서도 친일적인 일진회를 반대하던 문영국, 정정옥씨등이 교회를 찾았으며 이렇게 해서 1908년 4월 5일 야월리교회가 설립되었다.
해방 이후 야월도가 연육되면서 부터 교인들이 지역사회의 주축을 이루면서 교회는 성장 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1950년 6월 22일 이 지역에 상륙한 숫자 미상의 인민군의 기습이 한 기독교인의 제보로 목적을 이루지 못하게 되었고, 기독교에 대한 사상적 갈등으로 교회 탄압을 가하던중 1950년 9월 부터 10월사이에 기독교인들을 살해하였다. 교회는 불타고 교인전체(65명)가 죽임을 당하여 이 지역의 복음화가 일시 단절된둣 하였으나 이들의 거룩한 씨앗이 큰나무로 자라서 이곳이 믿음의 모퉁이 돌임을 오늘 까지 생생하게 중언해 준다.

본 대한 예수교 장로회 광주노회는 정성어린 기념탑을 세우면서 이곳이 여호수아의 증언석이 되어서(수24:17) 65명의 귀한 순교의 신앙을 영원토록 전해주기 바란다.

spot2.gif결 론
이미 아픔의 한 시대는 간 것이다. 이제 공산주의 국가의 이념도 시대가 변하듯이 변천하여 소련도 중공도 개방화로 변천하고 있다. 어제의 적이 이제는 상호이익을 위해 손을 잡는 시대가 되어져 가고 있다.

평양에도 봉수교회와 칠곡 교회가 세워지고 보도에는 40,000여명의 교인이 지하에서 피눈물 나는 신앙생활을 한다고 한다. 그럼에도 지금 이곳 순교자가 있었던 마을 사람의 마음은 동토처럼 녹지 않고 "교회에 가면 죽는다."고 하는 이 엄청난 상처와 외곡은 좀처럼 아물지 않고 있다.예수 복음 때문에 생명 받친 영혼들은 아브라함 품에 쉬지만 이 야월 리에 뿌려진 이 거룩한 피는 결코 헛되지 않고 성도의 심령으로 타고 내려가리라 "오직 나는 예수 복음위하여 이 제단에 피를 남겼노라고"그래서 하나님의 교회가 교회답게 성장하여 예수 복음의 역군이 되는 모든 성도가 되라고 지금도 기도하실 것이다. 한편최판섭 집사 같은 분은 인근 섬으로 피난하였으나 교인이 모두 죽어 간다고 한 말을 듣고 내가 혼자 살아 무엇 하느냐! 나도 주님 가신 길 가리라 하고 친히 분 주소에 들어가서 순교제물이 되셨다고 한다. 우리는 이분들의 뜻을 헛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골고다로 가신 상처투성이의 주님의 발자국을 밟았던 성도들이기 때문이다.

이젠 이 땅에 다시금 아픈 고난이 없도록 기도하고 가신 분들의 용기 있는 신앙을 배워 우리의 신앙으로 삼아야 한다.





주후 1998년 6월 5일 탈고
배길양 목사 글









spot2.gif야월교회 연역








































































































































































































































































































1908.04.05전남 영광군 염산면 야월리 아촌에다 야월교회 설립, 배유지(UZINE BELL) 선교사님이 목포에서 해안을 따라 올라오시다가 상육하여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설립하다.

조선 예수교 장로회 사기상에는 靈光郡 鹽山里敎會 가 成立하다 先是에 本里人 文永國 丁正玉등이 日進會를 대항하기 위하여 봉산교회를 다니다가 漸次 眞理를 覺得한 後 熱誠 으로 傳道 하야 信者가 增加함에 敎會를 設立하고 宣敎師 裵裕祉, 都大善, 南大里, 李雅各과 助師 朴仁源 李敬弼 崔興琮 李柱洙 等이 次第 視務하니라.

기독교 대백과사전에서는 "야월리 교회 초기 명칭이 염산리 교회 였고 현재의 영광군 염산면 봉남리 소재 염산 교회는 사실상 1939년 군남면 옥실리 교회로 출발 1947년 봉남리 현 소재지로 옮겨 염산교회로 명칭을 변경하다. 당시 1918년경 면사무실과 기관이아촌을 중심으로 있었다고 한다. 후에 염산 봉남리 로 면사무소 및 지소 각 기관이 옮기었다고 한다.
1914허수길 조사 시무 부친 허상장로 (음1950,8,28일 순교)염산면 옥실리 로 이사가서 옥실리 교회 장로가 됨
1915아촌에서 야장으로 예배당을 이전.
1916,12월-1917김창국조사시무

1884년1월28일 전주에서 출생, 소년시절 9년동안 서당에서 한문공부를 한후 최의덕 (L. B. Tate) 선교사의 사동(使童)으로 일했다. 그는조모와 모친이 메티 테이트(최구덕)선교사의전도로 전주에서 최초의 신자가되자 그들의영향으로어린 나이에 기독교 교인이되었다. 소년 김창국은 테이트선교사를 도와 장날 시장에서 전도지를 나누어주는등 선교사들의 선교를 적극도와 주었고 1897년 7월 17일 전주에서 최초로 세례를 받고 1900년 9월 9일 레이놀즈의 사랑방에서 전주 최초로 근대식 교육을 받은 후 선교사를 도와 야월교회에서 잠깐 교회를 지킨것이다 1917년 전라노회에서 제주도 전도목사로 임명받았다. 그 후 6년 동안 제주도에서의 전도 활동을 통해 기독교 보급의 선구자 역할을 담당하였다. 1922년 광주 남문외교회, 1924년부터는 광주 양림교회에서 목사로 시무했던 인물로 호남지방에서 많이 알려져 있는 인물이었다.
1924.계량학교를 설립하여 문명퇴치 운동을 전개.
김성종 집사가 밭 200평을 교회 에 헌납하였다.
1930.함창근 조사 읍교회 시무 하면서 예배를 도왔다고 한다.
1932. ~ 1933.양은성 전도사 시무
1933.이아각 선교사 순회
1934.김영배 전도사 시무
당시 교인 손문섭 손길현(초등학교교장) 정대성(도계집) 정익성 최판섭 조양현 김성종, 조양현집사 신사 참배 반대 매를 맞고 일제가 교회 종을 때 갔다고 한다.
교회 건물은 내칸 초가 한 칸은 사택으로 사용하였고, 교회 종 탑 옆에 큰 소나무가 있어서 산소통을 매달아 종을 첬다고 한다.
1938노회에서교회명칭을 염산교회에서 야월교회로 변경하다
1942. ~ 1943.김영강 전도사 시무
1945.조인덕 전도사 시무
1946.김종식 전도사 백수교회와 동시 시무 당회장 원창근 목사
1947.11. ~ 1948.10.신영걸 전도사님 시무
최창석 장로 야월리 에서 신앙 생활 하다 순창으로 교역 나감.
1950.민족적인 고통의 해였다.
6,25동란으로 10-11월 야월교회 전교인 65명 이 한사람도 남지않고 순교하였고 교회당이 소각되고 교인들 주택이 전소 하였다 .
1951.안영노목사(90회기총회장,광주서남교회시무)김봉균(현제 익산교회 담임목사) 김영배 김용시 (옥실리제일교회시무장로) 조은혜목사 김원삼집사등이 두분씩 조를 만들어 염산 옥실리에서 거주 하시며 야월 현지오셔서 주일학생을 모아두고 교회 교육을 하였다.
이름을 알수 없는 소경 여전도사님이 오셔서 순회하시며 전도하였다.
1952.01. ~ 1953.03.31안창건전도사님 시무 (천호동 성결교회 원로 목사)
당시 초등학교교장 손길원씨가 순교자 조양현 영수의 집을 이용 학교를세우고 교육 하였는대 한칸을 빌려 예배 처소로 삼았다.
1954.4.8. ~ 1955.8.조인덕 전도사 시무
순교자 정문성 집사 빈집 3칸을 교회당으로 쓰고 1칸을 사택으로 사용, 당회장 오창흠목사 13분이 모여 예배 김종식씨도 이때 출석, 최석보 주일학교교사로 밤에 야학 개설 40여명의 어린이를 모아놓고 문맹퇴치 운동을함.
1955.서판순 전도사 이일성경학교 제학중 방학기간 실습
1956.1.3 ~ 1957.1.3조이화 여전도사 시무 (광주이일성경학교 출신)
1957. ~ 1961.김영순 전도인(남석우 이모) 빈사택을 지키면서 예배 인도함 교회가 극히 약하여 지방회에서 염산교회로 병합하자는 안이 발의되자 밤 세우며 소리내어 울며 철야기도 하자 길 지나던 정종관 씨가 이 소식을 듣고 지방회에 참석허여 " 교회가 없는 마을에 개척도 하는데 그래도 순교자들이 묻혀 있는 교회를 옮긴다는 것은 온당하지 못한 일이다."라고 하자 교회 병합안건은 취소하였다고 한다.
1959.지금까지 예배처소인 정문성씨 집을 헐고 야월리 471-1번지 부지를 매입하여 초가4칸을 짖고 예배당을 옮기다. 사택 한칸 20평건물 당시 부면장 강동원씨가 대들보와 연자를 기증 하였다.
1961. ~ 1965.정만환 전도사 시무
제 직 : 오락임 조정숙 최수월 고금순 조점례 홍순기 손동현
임시당회장 : 임동근 목사
1965. ~ 1968.박상길 전도사 시무
제직 : 김순임 조점례 고금순 조정숙 이영숙 홍순기 김영숙 최수월 오락임 손동현 염전이집사.
1968. ~ 1970.06박종기 전도사 시무
야장앞의 밭한마지와 염전 밭을 팔아서 초가 지붕을 벗기고 기와를 이었다.
1970.08. ~ 19712.13.박용학 전도사 시무
1971.11 ~ 1974.05.조성희 전도사 시무
1974.11.30.박영길 목사 부임
교단 변경
1975년 2월에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측에서 대한 예수교 장로회 전남로회 통합측으로 교단을 변경 가입하다.
1975.04.05.예배당 60평을 신축하다, 이우식씨가 세멘트 1000포를 헌납하여 예배당을 신축하는 계기가 됨
1975.11.20.박영길 목사 사임
1976.02.15김정문전도사 부임 / 예배당을 계속 수리
1977.01.23예배당 입당 예배를 드리다.
1978.03.30.김정문 전도사 사임
1978.05.21박준식 목사 부임
사택을 신축 (새마을 주택 17평)
1980.04.29박준식 목사 사임
1980.04.30김남일 목사 부임
1980.11.01최종한 정남철 잘로 장립 오춘환 안수집사 취임
1982.03.16김남일 목사 사임
1982.04.김희구 목사 부임
1982.06.정진강 집사를 중심하여 월평소제에 월평리 산 225번지 상에 교회당을 짖고 개척 설립하다.
1983.05.23김희구 목사 사임
1983.08.01김광채목사 위임목사로 청빙
1983.10.03오춘환 집사가 야월리468-18번지(전 21평) 교육관 부지로 헌납
1984.03.20김광채 목사 위임식 거행
1986.01.07김광채 목사 사임
1986.04.11 ~ 1987.12.16정기복 목사 시무 교회 종탑 건립 교회창문 칼라삿수로 교체 및 교회건물 폐인팅
1988.3.14배길양목사 부임
1988.7.14성전 바닥 세멘트정리하고 아스택 타일로 깔고 내벽수리 및천정 공사
1989.01교회부지 460평 매입 (야월리 470번지 471-1번지)
1990.11.22야월교회 순교자 추적 명단 확정 및 대한예수교 장로회 광주노회 주관으로 순교 기념탑 건립 및 제막식을 함.
1991.08.수세식화장실 7평 준공
1992.03.23배길양 목사 위임식 및 권사 취임 (김순임 조정숙 장춘옥 이봉임 김정순)
1995.12.14안수집사임직 (정종명,김오차,은성홍,이명선,임대섭,강태원)/권사취임 (김순임,김두만)
1996.02.11 ~ 12.손종석 탁용환 교육전도사 로 부임
1997.0l.04 ~ 12.김의성 전도사 교육전도사로 시무
1999.1. ~ 12.손종석 전도사 교육전도사 시무
1999.05.14 ~ 10.교회 본당 외벽을 붉은벽돌 및 지붕,천정 전기 현관 종탑 등 전체를 개축을 하다
2000.03.26권사 안수식 (김순임 조정숙 장춘옥 이봉임 김정순 김순임 김두만)
2000.01.04현제 조기호전도사 교육전도사로 시무
2001.02.10장로 안수집사 권사 임직식
장로(야월교회2대장로) 이현재 임대섭
안수집사 김영길 김동선 손상기 정균철
권사 최옥례 김정희 주일심 이정자 장경미
장로근속20주년 최종한 정남철
은퇴식(70세이상정년)
안수집사 오춘환
권사 조정숙 김순임(야장) 이봉임 장춘옥
2002.02.28조기호전도사 사임
2005.04.14순교기념관 건축기공식 (양지종합건설)
2006.05.29순교기념관 건축준공
2007,02,01기념관 전시관 공사 시공(글로리아프러덕션 대표 김영선)
2008년10,교육관건축시공
2008년12,6백주년기념 행사. 장로임직(제3대장로):정균철. 권사임직:은복순 최동림 최혜순 최금자
2009,7,22순교기념관준공예배 총회장김삼환목사설교
2012,12,30배길양목사 야월교회 원로목사로 사역 끝내고 퇴임하다
2013,01,28심재태목사 부임 (위임목사 청원)
2013, 6,30교육관 지붕 및 식당 이층휴계실공사
2013, 9, 7심재태목사위임. 안수집사임직 박춘렬 김성보. 권사임직 임덕순 하근분 최복례 임춘옥 노영애 이현순 강미순 권봉자
2014,10,10제1대 장로 정남철장로 소천
2014,11,30교육관 확장공사 이층방2개 아래층샤워실1 휴게실 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