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구원과 건설구원을 이해한 논문 한편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기본구원과 건설구원을 이해한 논문 한편

총신대 계열의 신학자가 구원론에 대하여 단어는 사용하지 않았으나 '기본구원' '건설구원'의 개념을 명확히 파악하고, 관련 글을 철저히 적었습니다. 대단히 훌륭하며 정미한 글입니다. 삼분설과 연관을 짓지 못해 곳곳에 아쉬운 부분이 있지만, 일반 정통 교계의 신학자로서 대단히 어려운 문제를 대단히 잘 설명했다고 보입니다. 총공회는 이 글의 내용 때문에 한국의 총신대를 운영하는 한국 최대 교단 '합동'의 최대 주주였던 '경북노회'에게 1968년에 이단으로 정죄를 받았던 적이 있습니다. 당시 노회는 기초 자료도 부실했고 공회가 하지 않은 이야기를 곳곳에 삽입하여 이단을 제작했었습니다. 어쨌든 그 때 비판의 기준으로 본다면 이 글도 꼭 같이 비판을 받아야 할 글로 보입니다. 일단 글을 소개합니다. 대단히 중요하며 유익한 연구 자료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이 실린 곳이 바로 고신의 정론이라 할 수 있는 코닷입니다. 그 곳은 원래 이런 글을 '백영희 이단'파의 학설이라고 질타해야 할 듯한데 아무도 반론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고신과 총신까지 이미 이런 학설은 정통의 유력한 주장이거나 아니면 그 이상의 권위를 인정하는가? 총신대 정훈택 교수님은 임종 전까지 이 논제에 집중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다음 글과 대체로 같았습니다.
============================================================================




천국에서의 상은 단지 구원을 의미할 뿐, 성도들이 이 세상에서 행한 대로 받는 상은 없다?
PAUL 2016-11-20 18:14:53 | 조회: 1358

천국에서 성도들이 행한 대로 받는 상급이란 없다?

[들어가는 말] (칭의와 성화의 연속선상에서 이해해야)

“상급”(reward)은 “칭의”의 연속선상에서 이해해야 한다. 아날로그 방식으로 보면 “성화”가 칭의에 연속되는 과정이라면, “상급”은 성화의 결과이다. 그런데 문제는 칭의와 성화와 상급의 함수관계에 대한 견해가 학자들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다. 정통학파에서는 칭의와 성화와 상급에 대하여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단락된 불연속성(discontinuity)과 동일선상에 있다는 연속성(continuity)의 관계로 이해한다. 물론 새 관점학파에서도 같은 패턴(pattern)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그 결과가 달라진다는 데 결정적인 문제가 있다. 정통학파에서는 처음의 칭의가 성화의 과정을 통하여 상급(영생)의 결과에 이른다고 하나, 새 관점학파에서는 처음의 칭의가 성화의 과정을 통해 상급(영생)에 이를 수도 있고, 상급을 빼앗겨서 심판(멸망)을 받을 수도 있다고 한다.

그래서 상급에 대한 견해는 교파를 떠나서 워낙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정리하기가 복잡하고 어려운 점도 없지 않다. 심지어 개혁파 안에서도 첨예하게 양립하고 있어서 상급에 대한 개혁신학적인 정론(orthodox theory)을 정리하기도 힘들 지경이다. 개혁파 내에서도 성경적인 상급에서 크게 두 가지 견해로 갈리고 있다. 하나는 성경의 상급은 우리가 믿음으로 받는 “구원”(영생)에 국한시키는 견해와, 또 하나는 “구원”에 한정시키지 않고 믿음의 행위에 대한 “보상”까지 포함한다고 보는 견해이다. 전통적인 개혁파의 견해는 후자의 견해와 일치한다.

개혁파 신학자들 가운데서 주류를 이루고 있는 저명한 신학자들 중에서도 이와 같이 상급에 대한 견해가 엇갈리고 있어서 이 상급론을 정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고 본다. 그런데 그 중에서도 대단히 유명한 개혁주의 정통신학자들은 대부분 후자의 견해를 지지하고 있다(Calvin, Berkhof, Hendriksen, Hodge, Vos, Hoekema, Grosheide, Kuyper, Berkower, Grudem, Erickson, Bavinck etc.). 필자도 후자에 무게를 두고 좀 더 그것의 합당한 이유를 밝히려고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급에 대한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 등 종합적인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1. 성경적 상급의 정의에 대한 견해

성경의 상급론에 있어서 이미 타계한 OOO교회 K목사와 OO신학교의 K교수는 전통적인 개혁주의 상급론과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전자의 입장이다. 이와 같은 입장은, 말하자면 우리의 상급은 “영생” 즉 우리가 받는“구원”일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라는 뜻으로, 우리가 이 세상에서 행한 대로 받는 상급을 기대하는 것은 잘 못이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천국은 이 세상에서 생각하는 것과 같은 개념으로 생각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만일 그렇다면 그곳(천국)에서도 차별(discrimination)이 있을 것이 아니냐는 논리이다. 바울의 상급론을 세상의 원리라는 다른 차원에서 조명하고 있는 셈이다.

아마도 필자의 견해로는 그분들이 성경을 아날로그 방식으로만 보고 있기 때문에 상급에 대한 온전한 개념을 다 이해하지 못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상급에 대한 포괄적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상급”이라는 말 자체를 물리적인 개념으로만 생각하기 때문에 성경의 상급에 대한 개념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오해하는 것 같다. 그러나 “구원”이 하나님의 사랑이 동기가 되어 은혜로 주시는 선물이라면, “상급”은 하나님의 공의가 동기가 되어 심판으로 내리시는 하나님의 보상이다. 하나님의 공의에 의한 심판으로 선을 행한 자는 상을 선물로 내리시고, 악을 행한 자는 벌을 내리시는 것을 의미한다. 이 부분은 사도요한이 계시로 본 “책들”(계 20:12)과 “다른 책” 곧 “생명책”(계 20:12)에 연관되어 있다. 생명책은 단수(βίβλος)로 되어 있어 그곳에는 오직 구원 얻을 사람들의 이름만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그 책에 이름이 없는 사람들은 자동적으로 구원을 얻지 못한다. 그러나 “책들”은 복수(βιβλία)로 되어 있는데 이는 선악간의 모든 사람들의 행위들이 모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의 행위에 따라 상벌이 결정된다(마 16:27; 롬 2:6; 딤후 4:14; 계 20:12).

이 부분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인간의 행위에 대한 심판이다. 성경은 선인이나 악인에 대하여 마지막 날에 심판하셔서 선을 행한 자는 생명의 부활로 악을 행한 자는 심판의 부활(사망의 부활)로 나오게 된다고 하셨다(요 5:28). 그러나 이 구절에서 말하는 인간의 행위는 수동적인 행위로 “믿음의 행위”와, 그리고 능동적인 행위로 “불신의 행위”를 의미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믿음의 행위로는 생명의 부활로 구원(유업의 상)에 이르지만, 불신의 행위는 멸망으로 영원한 사망(유업에서 탈락하여 지옥)에 들어가게 된다는 뜻이다. 즉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로 인한 “신앙”과 “불신앙”에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이 심판은 구원과 멸망에 관한 심판이기 때문에 신앙에 관한 심판으로 근본적인 존재론적 심판이지만, 또 다른 “책들”에 기록된 대로 하는 심판은 행한 대로 하시는 심판이기 때문에 행위심판이라고 한다. 이 심판은 인간의 행위에 따른 심판으로 상벌에 관련되어 있다. 엄밀한 의미에서 전자는 심판 혹은 재판(judgement/trial)의 성격을 가지고 있고, 후자는 심문, 평가, 계산(to have account, evaluation)등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좀 더 엄밀하게 말하자면, 전자는 생사(영생과 영사)에, 후자는 상벌의 문제에 관한 내용이다. 물론 불신자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지 않으므로 이 생명책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벌써 심판을 받은 것이다(요 3:18; 16:11). 이것은 현재적 심판이지만, 주님의 이 선언은 다른 한편으로 종말론적 심판으로 마지막 심판에로 연결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 부분에서 정통관점과 새 관점의 차이가 여실이 들어난다. 성경의 종말론적 견해에 관하여 정통관점에서는 처음과 나중이 동일하게 정확히 일치한다는 견해인 반면에, 새 관점에서는 처음과 나중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견해이다. 이 처음(알파)과 나중(오메가)의 진리는 성경을 관통하고 있는 변함없는 진리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주님)이 처음(알파)과 나중(오메가)이시기 때문이다(계 1:8; 21:6; 22:13; 22:13). 하나님의 구원과 심판의 선언은 처음과 나중이 달라질 수 없는 것이다. 처음에 “예” 했다가 나중에 “아니라”함이 없기 때문이다(고후 1:17~19). 그런데 새 관점 학파에서는 구조론 적 접근방법을 사용함으로 처음과 나중이 달라질 수 있다고 한다. 이것은 과정철학(process philosophy)에 기초를 둔 과정신학(process theology)의 주장과 같은 것으로, 고생물학과 지질학자이면서 가톨릭교회의 예수회 신부였던 데아르드 드 샤르댕(Theilhard de Chardin)의 진화론적 논리와도 맥을 같이 한다.

그러므로, 존재론적 생사(영생과 영사)의 심판은 이미 의인과 악인의 신앙과 불신앙의 상태에서 결정이 났고(요 16:11), 그 심판의 연속선상에서 종말론적 심판대 앞에서 마지막으로 확정을 받아야 되는데, 그 때에 악인들의 불신앙과 불경건한 행위와 불의에 대한 선고가 최종적으로 내려지게 된다. 여기서 칭의(중생)를 받은 사람은 성화의 과정이나 결과에 관계없이 구원을 받게 되며(십자가상에서 직접 낙원에 들어간 강도와 같이), 단지 생존(성화의 과정)에서 있었던 그들의 행위에 대해서는 행위심판에 따른 상급이 결정된다. 물론 생명책에 기록된 칭의 받은 사람은 “믿음”에 의해 유업의 상급인 구원(영생)의 상을 받고, “행위”에 따른 보상의 상을 받게 된다. 그러나 생명책에 기록되지 못한 불신자들은 “불신”에 의해 멸망(영사)의 심판을 받고, 그들의 “행위” 여하에 따라 형벌이 결정된다.

2. 상급에 대한 성경적 개념

“상급”은 성경에 두 가지 개념으로 언급되어 있다. 즉 “유업의 상”(the reward of heritance, 골 3:24)과 “보상의 상”(the rewards of compensation, 단 12:3; 고전 3:8,14)이다. 궁극적인 의미에서 이 두 가지 상이 모두 하나님의 은혜(자비)에 의한 것이지만, 상을 받는 방편 즉 그 통로는 다르다. 전자(구원/영생)는 “믿음”으로, 후자(칭찬/보상)는 믿음의 “행위”로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급의 개념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에 직접적으로(denotation) 또는 간접적으로(connotation) 수없이 많이 언급되어 있다. 물론 히브리어나 헬라어의 원문에는 상급에 대한 용어나 해설이 다양하게 서술되어 있다. 직설적 용어나, 비유(figure, parable), 은유/암유(metaphor), 직유(simile) 혹은 알레고리(allegory)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구약적 개념 (OT Concept of Reward)

구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용어는 “사칼”(sakal)로, 주로 일꾼의 고용 급료(삯, hire), 임금(wages), 상급(reward) 혹은 보상(rewards)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구약언약에서부터 이미 하나님의 상급에 대한 사상이 나타나 있다. 이 상급은 위에서 언급한대로 “유업의 상”(창 15:1)과 “보상의 상”(창 30:28)을 의미한다. 헬라어 역본인 칠십인 역(LXX)은 “미스도스”(μισθός)로 번역되어 있어(창 15:1) 영역(English version)에서는 주로 “상급”(reward)외에 “보상”(rewards), “노임”(labor), “임금”(wage)등 다양하게 번역되었다. 이러한 사용 용례로 볼 때, 구약에서도 비록 물질적(material, physical)이기는 하지만 “상급”에 대한 개념이 지상에서의 “기업”(유업)과 “보수”의 개념과 함께 천상에서의 영적 상급의 개념으로서의 믿음으로 받는 구원인 “영생”과 신자들의 행함으로 받는 “보상”의 상급을 암시하고 있다.

신약적 개념 (NT Concept of Reward)

신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용어는 “미스도스”(μισθός)와 “아포디도미”(ἀποδιδώμι)로 다양하게 번역되고 있으나 그 의미는 대동소이하다. 그러므로 “미스도스”와 “아포디도미”는 신약성경에서 교호적으로 사용되었다. 즉 이 두 단어들은 영생의 의미와 보상의 의미로서 서로 교호적으로 사용되었다. 구약에서 육적인 상속의 의미로 사용된 창 15:1의 “사칼”(sakal)이 헬라어 “미스도스”(μισθός)로 번역되어(LXX), 영생의 기업을 예시하고 있는데, 때로는 신약에서 “보상”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마 10:42; 고전 3:8,14; 계 22:12). 그리고 “아포디도미”(ἀποδιδώμι)가 영생의 유업을 의미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골 3:24). 이와 같은 용어들이 교호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단어 하나만으로 그 뜻을 구별하기가 어려움으로 문맥과 성경전체의 원리를 신학적으로 정리해서 이해해야 한다.

3. 성경의 상급에 대한 교회사적 서베이

유대교에서는 철저하게 율법(토라)에 기초하여 하나님(여호와)과의 관계를 율법계명을 준수하는 것에 고정시키고 있다. 이로 인하여 율법을 지킴으로써 구원과 상급이 결정된다는 공로사상으로 발전하여, 자신들은 오로지 계명(율법)을 준수하는데 집착하게 되어 때로는 예수님의 책망을 듣기도 했다. 그러므로 메시아를 바라보고 믿는 믿음보다는 율법을 지킴으로 하나님의 공의에 부응하며, 이로 인하여 구원과 보상이 결정되는 것으로 믿었다. 물론 새 관점학파(특히 샌더스)는 유대인은 “언약적 율법”으로 지켰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지만 말이다. 이것은 언약의 백성으로서의 율법을 지킨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복음적인 차원에서 보면, 이스라엘에 대한 언약의 계속성은 표면적 유대인에 관한 언약이 아니라 이면적 유대인 즉 "남은 자"들에 연관된 언약임을 알아야 한다

초대교회의 상급론이 충분하게 정립되지 못한 채, 중세시대의 가톨릭교회의 공로주의 사상으로 넘어갔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기초한 스콜라주의의 신앙(faith)과 이성(reason)에서 신의 초자연적인 이해에도 불구하고, 유대교의 율법지상주의는 아니지만 교리에 초점을 맞춘 가톨릭교회의 공로사상을 부추겼다. 결국 공로사상이 교리화 된 것이 가톨릭의 상급론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가톨릭교회에서는 인간의 구원에서부터 인간의 상급에 이르기까지 철저하게 공로사상에 기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교개혁시대에 들어와서 “오직 믿음”(sola fide), 즉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만이 구원뿐만 아니라 인간의 행위까지도 인정을 받을 수 있다는 개혁정신을 바탕으로, 구원과 상급에 대한 이해에 집중되었다. 물론 개혁자들 중에서도 약간의 이견으로 인간의 행위에 의한 구원과 상급을 논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종교개혁의 주류인 루터와 칼빈을 비롯한 개혁자들의 사상은 공로사상이 아니라 하나님의 절대주권에 근거하고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에 기초한 상급론을 정립했다. 즉 인간의 구원은 물론 인간의 행위에 의존하지 않고 절대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에 기초하여, 인간의 행위도 믿음에 의한 행위를 강조했다. 다시 말하자면, 인간의 구원은 물론, 보상의 상급도 철저하게 하나님의 은혜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4. 상급에 대한 성경 원리적 추론과 전제

성경적인 원리로 보면, 구약과 신약의 개념으로 이해해야 온전한 성경이며, 인간은 영과 육의 개념으로 이해해야 온전한 사람이며, 영생의 부활체 역시 변화된 영과 육의 개념으로 이해해야 온전한 부활의 몸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하나님의 창조의 원리도 마찬가지다. 하늘과 땅(천지)의 개념으로 이해해야 온전한 하나님의 창조를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마지막 우주 만물의 최종적인 구원으로 회복되는 세계를 “새 하늘”(οὐρανόν καινόν)만이 아니라 “새 하늘과 새 땅”(οὐρανόν καινόν και γῆν καινήn)이라고 한 것이다. 우리의 구원도 영적인 구원으로만 이해하면 안 되고 영혼과 육신의 전인적 구원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이 세상의 신자들에 관해서도 영적인 개념과 육적인 개념으로 이해해야 온전한 신앙인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가 영육이 부활한 몸으로 받는 상도 (1) 일한 것이 없이 은혜로 받는 영생으로(물론 이 구원은 상급의 일반적인 개념으로 볼 때에 행위의 대가가 아니므로 맞지 않는 말이지만) 하나님의 일이라는 믿음의 차원에서 볼 때에 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바로 이에 해당하는 “유업의 상”(the reward of inheritance, 골 3:24)과, (2) 이 세상에서 행한 대로 받는 “보상”(rewards, 마 10:41~42)에 대해서 주님과 바울이 수 없이 많이 언급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물론 우리의 상급이 우선적으로 “영생”인 것만은 틀림없으나, 바울과 요한이 말한 이 세상에서 행한 대로 받는 상급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한다. 물론 성경의 다른 주제들과 마찬가지로, 이 두 가지 상에 대하여 그 내연(connotation)의 의미를 혼용해서 사용할 때도 있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어려운 점도 없지 않다. 예를 들면, 짐승의 표의 원형(archetype)과 표상(type)의 관계와 같이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생의 상과 보상의 상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5. 성경의 상급에 대한 조직신학적 이해 (죄관과 구원관)

상벌의 문제를 조직신학적으로 보면, 원죄(peccatum originale)와 자범죄(peccatum actuale)에 관련되어 있다. 조직신학적으로 우리의 구원과 멸망은 원죄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 원죄 해결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으로 단번에 성취되었고, 그 공로가 우리에게 전가되어 우리의 죄가 한 번에 완벽하게 해결되었다. 그러므로 이것을 믿어 칭의를 얻은 사람은 더 이상 구원의 문제를 논할 필요가 없다. 이는 중생의 성령으로 인을 처서 우리에게 보증해주신 것이기 때문이다(고후 1:22). 단지 우리가 평생을 두고 반복해서 범하는 자범죄는 이 세상에서 주님의 십자가의 영원한 은혜로 인하여 베드로와 같이 결국에는 회개에 이르게 되고 이에 대한 보응(징계)은 받으나, 정죄함을 받지 않기 때문에 최후의 심판대에서 역시 이 죄의 책임을 묻지 않으신다는 것이다. 그 대신 불의한 행위와 의로운 행위에 대해서 심판(심문, 평가)하여 그에 대한 상벌이 결정되는 것이다.

전통적인 신학자들은 물론, 개혁주의 조직신학자 루이스 벌코프(Berkohf)도 상급을 “영생”으로 전제 하면서 행위에 따르는 상급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의인들의 선행이 그들의 공로일 수는 없지만, 은혜로운 상급의 척도가 된다고 했다(Systematic Theology, p.737). 최후심판 때, “생명책”(singular)이 펴져있는 것 외에, 행위대로 심판하는 또 다른 “책들”(plural)이 펴져 있다(계 20:12). 그러나 그 상급으로 인한 차별이 아니라, 본질 적으로 영생의 영광이 동일한 것과 같이, 행위로 인한 각자의 상급인 지복(bliss) 즉 “영광”의 빛의 본질은 같지만, 영광의 빛의 정도(the degrees in the bliss of heaven)가 각자의 행위에 따라 다른데(단 12:3; 고후 9:6; 고전 15:41~42), 그렇다고 차별적인 개념이 아니라는 것이 개혁신학의 입장이다. 이에 대하여 좀 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루이스 벌코프(Louis Berkhof)의 조직신학을 인용해보도록 하겠다.

“The reward of the righteous is described as eternal life, that is not merely an endless life, but life in all its fullness, without any of the imperfections and disturbance of the present, Matt. 25:46; Rom. 2:7. The fullness of this life is enjoyed in communion with God, which is really the essence of eternal life, Rev. 21:3. They will see God in Jesus Christ face to face, will find full satisfaction in Him, will rejoice in Him, and will glorify Him. We should not think of the joys of heaven, however, as exclusively spiritual. There will be something corresponding to the body. There will be recognition and social intercourse on an elevated plane. It is so evident from Scripture that there will be degrees in the bliss of heaven, Dan. 12:3 2Cor. 9:6. Our good works will be the measure of our gracious reward, though they do not merit of it. Notwithstanding this, however, the joy of each individual will be perfect and full.”(Berkohf, Systematic Theology, p.737).

다시 말하자면, 성경적인 상급의 개념은 두 가지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첫째로, 우리가 받는 “유업의 상”(골 3:24; 히 11:6; 눅 6:23; 마 5:12; 딤후 4:8; 약 1:12)인 “영생”(eternal life)을 의미함과 동시에, 둘째로, 하나님께서 주시는 믿음의 행위에 따라서 받는 “보상의 상”(단 12:3; 고전 3:8; 고전 3:12,14; 마 5:46; 마 10:41~42; 눅 6:35; 고전 9:17, 9:18, 9:24~26; 빌 4:1; 살전 2:19; 딤후 2:5; 요이 1:8), 즉 하늘의 기쁨인 지복(reward, that is, the bliss of heaven)을 의미한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허락하신 상급 중에 구원에 해당하는 “영생”은 원죄를 해결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즉 예수께서 십자가상에서 원죄를 단번에 해결해주신 그 공로를 믿음으로 얻어지는 “유업의 상”을 의미한다. 그리고 자범죄에 대한 보응(징계)과 자신의 선행에 대한 상급을 주신다는 것인데 이것이 바로 행한 대로 주시는 “보상”(the rewards according to works)이다.

이 상급들은 모두 “영광”으로 빛나게 된다. 예수님과 바울도 분명히 이 상들(rewards)에 관해서 여러 번 언급하고 있다(마 5:46; 6:1~4; 10:41~42; 고전 3:8,14; 고전 9:17~18; 9:24; 계 22:12). 물론 성경은 이 두 가지 상을 구체적으로 구별하지 않고 말하면서, 믿는 자들의 행위의 여하에 따라 그 영광의 빛의 정도가 다른 것으로 표현하기도 했다(단 12:3; 고후 9:6). 그러나 만약에 상급을 “영생”(구원)으로만 한정한다면, 모두가 똑같은 영생, 똑같은 구원에 참여하게 될 터인데, 그렇다면 이 세상에서 상을 위하여 쫓아가며 열심을 다하여 일할 필요도 없을 것이며, 상으로서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그렇다면 더구나 이 세상에서의 성도들의 헌신과 봉사가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그러나 바울은 이 상을 얻도록 노력하라고 했다(고전 9:24~27; 딤후 4:7,8).

6. 성경의 상급에 대한 성서신학적 이해 (상급에 대한 언약)

성서신학의 핵심적인 주제는 하나님과 첫 아담과의 언약, 그리고 하나님과 둘째 아담이신 그리스도와의 새 언약관계이다. 하나님의 언약은 성서신학 적으로 말하자면 행위언약과 은혜언약으로 요약된다. 이 행위언약(선악과언약)에서 하나님은 인간에게 영생을 약속하셨다, 그러나 이 행위언약을 위반함으로 죽음을 맛보게 된 것이다. 말하자면 영생에 들어가는 문이 닫히게 된 것이다(창 3:24). 그리고 난 후에 다시 인간에게 행위언약에 대한 재시험을 치르게 하셨는데 그 시험문제가 바로 모세의 율법(옛 언약)이다. 결과는 뻔 한 것이었다.

세상에 이 시험에 합격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롬 3:10). 세상에 의인은 없나니 아무도 없으며, 율법을 행함으로 의롭게 될 육체는 없다는 것이다(롬 3:20). 그렇다면 왜 지키지도 못할 율법의 시험문제를 주셨는가? 이는 인간의 죄로 심히 죄 되게 하여 죄에서 죽게 하시려는 것이다(롬 7:13). 재시험의 결과는 뻔 한 것이었다. 즉 낙제를 면치 못한 것이다. 물론 샌더스(E. P. Sanders)에 의하면 유대주의는 언약의 백성에 근거한 언약적 율법주의(covenantal nomism)로 "그리스도 안에 있음"(being in Christ)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근본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언약에 의한 구원으로 "그리스도 안에 머물음"으로 이해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언약의 백성은 복음으로 이해할 때 표면적 유대인의 언약관계가 아니라 이면적 유대인의 언약관계로 "남은 자"의 사상에서 증명된다(사 10:20~21; 롬 11:5; 9:27). 그러므로 유대교의 구원론은 그리스도를 믿음으로가 아니라 언약의 백성이라는 특권아래 율법(토라)을 지키는 것에 집중되어 있는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래서 유대인들이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지 않아 메시아를 죽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다시 은혜언약(새 언약)을 통하여 영생에 들어갈 수 있는 길을 열어주셨다. 이 은혜언약은 하나님과 둘째 아담이신 예수 그리스도와의 언약관계를 말한다. 그 언약의 내용이 무엇인가?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모세를 통하여 주신 인간이 풀 수 없는 재시험문제인 율법의 문제를 푸시는 조건으로 아버지께서 인간의 죄를 용서하시고 다시 영생에 들어가게 하시겠다는 언약으로 이것이 바로 새 언약인 은혜언약이다. 예수께서는 바로 아버지와 맺은 이 언약의 조건 즉 율법을 성취하시겠다는 약속을 십자가상에서 성취하시고 이 은혜언약을 통하여 우리의 발목을 잡고 있던 죄의 법에서 해방되어 구원(영생)에 이르게 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언약관계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공로로 우리가 얻는 “유업의 상”이다.

다음으로, 이 은혜의 언약관계에서 중생하여 칭의를 받은 성도들의 행위까지 인정을 받게 되어 소위 약속된 “보상의 상”을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두 상들은 칭의와 성화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면에서 “보상의 상”은 정도의 차이가 있어서 칭의된 사람이 성화의 과정에서 맺은 의의 열매에 비례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성화의 과정을 통한 의의 열매가 구원의 조건이 될 수 없다"속된 상태(연속성)로 멸망 받은 사람들의 악행의 정도에 따라 고통이 가중될 것이다. 이것이 행한 대로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공의로, 성경에 여러 가지 형태로 증거 되고 있다.

물론, 이 심판은 현세에서 인간이 행한 “행위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우리가 반드시 그리스도의 심판대 앞에 드러나 각각 선악 간에 그 몸으로 행한 것을 따라 받으려 함이라“(고후 5:10). “죽은 자들이 자기 행위를 따라 책들(βιβλία)에 기록된 대로 심판을 받으니라”(계 20:12). 이는 행위대로 심판을 받는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현세의 삶의 행위에 따라 심판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 행위에는 행동으로 옮겨진 행위뿐만 아니라, 그 사람의 마음속에 있었던 생각에서부터 그의 말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엄격한 그리스도의 율법에 따르면 모세의 율법과 달리 증거가 없어도 그 마음에 품은 생각만으로도 정죄를 받게 되는 것이다.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여자를 보고 음욕을 품는 자마다 마음에 이미 간음 하였느니라”(마 5:28). 뿐만 아니라 사람의 말로 인하여 심문을 받는다.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사람이 무슨 무익한 말을 하든지 심판 날에 이에 대하여 심문을 받으리니”(마 12:36).

그러면 심판의 기준이 무엇인가? 물론 전지하신 하나님의 절대적 판단이 기준이 되겠지만, 성경의 원리로 보면, 하나님께서 계시해주신 성경말씀으로서 다른 책인 “생명책”과 심판의 책인 “책들”(βιβλία)에 의해서 심판이 진행될 것이다(계 20:12). 이 두 책 역시 불연속성(discontinuity)과 연속성(continuity)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우리의 구원과 멸망은 “생명책”에 의해서 결정이 나며, 우리들의 상벌은 “책들”에 기록된 행위대로 이루어질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명책”과 “책들”(βιβλία)은 밀접한 관계로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구원과 상급에 대한 혼란으로 인간의 논리로 정리하기가 힘들어지는 것이다. 이는 마치 우리가 영혼과 몸(육신)으로 분리되어 있으면서도 신비롭게도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그래서 야고보도 믿음과 행함의 관계를 우리의 영혼과 몸과의 신비로운 관계로 비유해서 설명한 것이다(약 2:26).

먼저, 하나님의 심판의 기준은 이미 계시하신대로 이 책들에 의해서 이루어질 것인데, 이 책들 중에 “생명책”의 판단 기준은 “믿음이냐 불신이냐”라는 단일 기준에 따르게 되기 때문에 구원받은 모든 사람의 영생의 본질은 차등이 없이 동일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책들”(βιβλία)의 판단 기준으로 보면, 그 “책들”(βιβλία) 속에는 모든 인간들의 가지각색의 크고 작은 행위들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그 행위들의 종류와 경중에 따라 판단하게 될 것이다. 이 기준에 따르면 분명히 모든 사람들의 보상과 형벌이 동일하지는 않고 차등이 있을 것이다. 만일, 행함으로 받는 보상과 형벌에 차등이 없다면, 하나님의 공의를 말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이 세상에서의 신자들의 행위에 관계없이 천국에서는 상급에 차등이 없고 똑같이 받는 구원(영생)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성경구절 중에 마 20:1~16의 말씀을 인용하고 있는데, 이 말씀은 품삯의 차등분배의 법칙에 관한 원리를 뛰어넘어 천국에 들어가는 것은 시간의 순서와 일의 양에 따라 되는 차등분배가 아니라는 것이 핵심이다. 즉 “이와 같이 나중 된 자로서 먼저 되고 먼저 된 자로서 나중 되리라”(마 20:16; 19:30). 먼저 계약한 품꾼들은 유대인을 비유한 것이고, 장터에서 할 일이 없어 놀고 있던 사람들은 이방인을 비유한 것이다. 즉 먼저 온 자는 유대인이고 나중 온 자는 이방인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비유의 내용을 분석해보면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천국에 들어가는 것은,

첫째로, 판단은 하나님의 주권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네 것이나 가지고 가라 나중 온 이 사람에게 너와 같이 주는 것이 내 뜻이니라 내 것을 가지고 내 뜻대로 할 것이 아니냐 내가 선하므로 네가 악하게 보느냐”(마 20:14~15). 이 말씀에 의하면 인간적인 불평은 하나님의 주권 앞에서 세울 것이 못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조직신학적인 접근으로 이해한 것이다.

둘째로, 판단은 하나님의 언약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품꾼들이 아무런 불만을 가질 수 없는 것은 하나님께서 언약관계(계약관계)에 있어서도 하자가 없기 때문이다. “주인이 그 중의 한 사람에게 대답하여 가로되 친구여 내가 네게 잘못한 것이 없노라 네가 나와 한 데나리온의 약속을 하지 아니하였느냐”(마 20:13). 약속대로 지켰으니 불평할 수 없다는 것이다. 나중에 들어온 자나 처음에 들어온 너희에게나 똑같이 한 데나리온으로 계약을 맺지 않았느냐는 말이다. 이것은 성서신학적인 접근으로 이해한 것이다.

이 비유의 목적은 행위에 따른 차등 상급에 관한 것이 아니라 언약에 따른 균등구원(영생)에 관한 말씀으로, 하나님의 나라(천국)에 들어가는 자들 중에는 처음에 믿은 사람이나 나중에 믿은 사람에 대한 시간적 순서가 아니라 믿음에 의해서 주어지는데, 그들의 믿음에 따라 이방인들 중에서도 먼저 된 유대인들 보다 먼저 하늘나라에 들어갈 자도 있다는 뜻이다. “그 둘 중에 누가 아비의 뜻대로 하였느뇨 가로되 둘째 아들이니이다 예수께서 저희에게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세리들과 창기들이 너희보다 먼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리라”(마 21:31). 물론 그 천국에 들어가는 구원의 본질에는 차이가 없다는 뜻이다.

다음으로, 하나님의 심판의 기준은 이미 “책들”에 기록된 신자와 불신자 모두를 막론하고 인간의 행위에 따르게 되어 있는 것이다. 만일 신자가 선행으로 의의 열매를 맺어 공력을 쌓으면, 약속하신 상을 얻을 것이나, 불신자들의 선행은 “생명책”에 의해 이미 심판을 받았기 때문에 의미가 없으며, 그들의 악행에 따라 형벌이 결정될 것이다. 여기에는 그들의 행위의 정도에 따라 상벌이 결정될 것이다. 이것이 행한 대로 보응하시는 하나님의 공의다. “보라 내가 속히 오리니 내가 줄 상이 내게 있어 각 사람에게 그의 일한 대로 갚아 주리라”(계 22:12). “인자가 아버지의 영광으로 그 천사들과 함께 오리니 그 때에 각 사람의 행한 대로 갚으리라”(마 16:27). “하나님께서 각 사람에게 그 행한 대로 보응하시되”(롬 2:6). “이는 각각 무슨 선을 행하든지 종이나 자유 하는 자나 주에게 그대로 받을 줄을 앎이니라”(엡 6:8). “하나님이 불의치 아니 하사 너의 행위와 그의 이름을 위하여 나타낸 사랑으로 이미 성도를 섬긴 것과 이제도 섬기는 것을 잊어버리지 아니하시느리라”(히 6:10). “예수께서 가라사대 네가 온전하고자 할진대 가서 네 소유를 팔아 가난한 자들을 주라 그리하면 하늘에서 보화가 네게 있으리라 그리고 와서 나를 좇으라 하시니”(마 19:21). “또 내 이름을 위하여 집이나 형제나 자매나 부모나 자식이나 전토를 버린 자마다 여러 배를 받고 또 영생을 상속하리라”(마 19:29) 등등 수없이 많은 언급들이 있다.

그러면 판단 결과의 차등은 어떻게 다른가? 이 문제는 전적으로 전지하신 주님의 판단여하에 달려있지만, 인간의 선악간의 행위에 따라 진행하실 것이다. 이것이 하나님의 주권적인 공의다. 이 공의에 따르면, 구약시대 사람들과 신약시대 사람들, 그리고 율법을 받은 사람들과 율법을 받지 못한 사람들, 특별은혜를 받은 사람들과 그렇지 않는 사람들 사이에 판단기준이 다를 것이다(롬 1:18~21; 2:12~15). 불신자들의 형벌도 그들의 악행의 정도에 따라 받을 고통의 정도가 다를 것이다(마 11:20~22). “주인의 뜻을 알고도 예비치 아니하고 그 뜻대로 행치 아니한 종은 많이 맞을 것이요 알지 못하고 맞을 일을 행한 종은 적게 맞으리라 무릇 많이 받은 자에게는 많이 찾을 것이요 많이 맡은 자에게는 많이 달라 할 것이니라”(눅 12:47~48; 마 11:20~22; 히 10:28,29,31; 벧후 2:17; 계 14:10~11; 21:8; 20:10,14,15).

이와 같이 신자들의 상급도 그들의 선행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우선 복음서에서 예수님이 비유로 가르치신 “므나의 비유”에 잘 나타나 있다. 이 므나의 비유는 다른 곳의 달란트 비유와 비슷한 내용으로 충성된 종이 일한 대로 갚아 주신다는 것으로 상급에 차등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 첫째가 나아와 가로되 주여 주의 한 므나로 열 므나를 남겼나이다 주인이 이르되 잘 하였다 착한 종이여 네가 지극히 작은 것에 충성하였으니 열 고을 권세를 차지하라 하고 그 둘째가 와서 가로되 주여 주의 한 므나로 다섯 므나를 만들었나이다 주인이 그에게도 이르되 너도 다섯 고을을 차지하라 하고”(눅 19:16~19). 그리고 바울이 집 짓는 비유를 들어 각각 그리스도인의 삶의 질에 있어서 그들의 상급이 공력에 비례한다는 것이다. 예수님께서도 상급에 대해서 여러 번 말씀하셨다(마 5:11~12; 6:19~21; 눅 6:35; 막 9:41; 마 25:23).

그런데 우리의 행위와 장차 상급의 관계는 기계적(technical)이 아니라 유기적(organic)으로 이해해야 한다. 무슨 말이냐 하면, 천국의 상급이란 그 상급을 주시는 하나님과 그 상급을 받은 인간들 사이의 화해의 관계 속에서 가지시는 하나님의 기쁨에 인간이 참여하는 관계로 인간이 즐기며 하나님은 영광을 받는 관계를 의미한다. 만일 상급이 기계적이라면 한 낱 명목에 불과할 뿐이다. 그러므로 인격적인 관계로 그것을 즐기며 하나님께 영광으로 돌려드려야 하는 것이다(계4:9~11). 이러한 경우에 자신의 행위에 따라 하나님께로부터 더 많은 상을 받은 사람은 그만큼 그것에 대한 기쁨이 더욱 클 것이다. 이에 대하여 후크마(Anthony A. Hoekema) 박사는 “어떤 사람이 음악을 공부하여 어떤 악기를 잘 연주할 수 있게 되었다 하자. 그렇다면 그의 음악을 즐기는 능력 역시 크게 증가될 것이다. 이처럼 그리스도와 그의 왕국을 위한 우리의 헌신과 봉사가 커질수록 지금과 미래의 그리스도의 왕국의 축복들을 향유할 수 있는 우리의 용량 역시 커질 것이다”라고 말했다(The Bible and the Future).

10. 성경의 상급에 대한 불연속성과 연속성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행위대로 받는 상급을 이 세상과 하늘나라(천국) 사의의 불연속 선상(discontinuity in the line of the mundane world)으로만 이해할 것이 아니라, 이 세상에서 행한 대로 받는 상급을 오는 세상의 천국에로의 연속선상(continuity in the line of the kingdom of heaven to come)에서 이해해야 최상의 상(supreme reward)인 “영생”의 내용을 더욱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아 행한 대로 받은 “보상”이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로 얻는 구원인 “영생의 상”을 더욱 풍요롭게 한다. 그러므로 더욱 성도들에게 기쁨(bliss)위에 기쁨(supreme bliss)이 될 것이다. 이것은 유기적인 질적 성격을 의미한다.

성경의 전체적인 원리로 보면, 부활도 영의 변화만이 아니라 육의 변화를 동시에 이루는 인간의 온전한 전인적인 구원이라는 사실에 기초한다. 부활이란 우리의 마지막 날에 영과 육이 결합하여 영화로운 몸으로 승화되는 인간의 최상의 상태를 의미한다. 물론 이 세상에서는 영혼과 육신이 단락된 상태(discontinuity)로 연합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의 현재의 몸 자체가 갈등의 존재(being of conflict)인 것이다. 결국, 종국에 가서는 영육이 갈라져서 영은 하늘로 육은 흙으로 돌아가게 되어 있는데(창 3:19; 시 104:29), 이것을 영육의 분리로 인간의 죽음이라고 한다. 이대로 계속 간다면 인간의 행복은 요원할 것이고 결국은 단락상태에서 영원하게 되겠지만,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그대로 두시지 않고 주님의 죽음과 부활의 능력에 의하여 우리의 영육이 다시 결합하여 영원한 부활의 몸이 되게 하실 것이다. 그래서 완전한 인간으로 완성하실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의 창조가 사단의 침입에도 불구하고 실패한 것이 아니라 완성된다는 증거이다.

이 부활의 몸은 타락하여 분열됨으로 사망의 고통을 겪어야 할 우리의 몸을 그리스도의 공로로 우리의 죄에서 죽게 하시고 하나님의 의로 다시 살게 하시는 과정을 통하여 영원이 죽지 아니하는 영화로운 영생의 몸으로 변화된 몸이다. 이 부활의 몸은 육신이 없는 영의 몸이 아니라 육신을 포함하는 변화된 전인적인 몸이다. 이것을 바울은 사망이 생명에 삼킨바 된 몸이라고 표현했다(고후 5:4). 이세상의 사망의 몸인 육신이 없어진 것이 아니라 생명의 영에 삼킨바 된 것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이세상의 육신의 모든 것이 부활의 몸 안으로 들어가서 승화되었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육신의 모든 행위가 부활의 몸 안으로 승화되었기 때문에 영의 부활뿐만 아니라 육도 부활에 참여한다는 의미이다. 이것을 생명부활이라고 한다(요 5:28).

그러므로 육신(몸)의 모든 행위가 부활의 몸을 통하여 그 빛을 발하게 될 것이다. 악을 행한 사람은 사망으로 부활된 몸(둘째부활) 안에서 그 악(惡)이 영원한 고통으로 작용할 것이다(이것을 영원한 사망이라고 한다. 고전 15:55~56, “사망아 너의 이기는 것이 어디 있느냐 사망아 너의 쏘는 것이 어디 있느냐 사망의 쏘는 것은 죄요 죄의 권능은 율법이라”), 그리고 선(善)을 행한 사람은 생명으로 부활된 몸(영생) 안에서 그 선이 영원토록 영광으로 빛날 것이다(이것을 영생이라고 한다. 고전 15:51~52, “보라 내가 너희에게 비밀을 말하노니 우리가 다 잠잘 것이 아니요 마지막 나팔에 순식간에 홀연히 다 변화하리니 나팔 소리가 나매 죽은 자들이 썩지 아니할 것으로 다시 살고 우리도 변화하리라”). 전자를 심판의 부활이라고 하며, 후자를 생명의 부활이라고 한다.

이러한 원리로 이 세상에서의 행위에 따라 악인은 심판의 부활로 나와 그들의 악행에 따라 더욱 큰 고통의 형벌로 들어가게 될 것이고, 의인은 생명의 부활로 나와 영원한 생명과 더욱 큰 상급을 얻게 될 것이다. 이것이 부활의 차원에서 본 구원과 상급의 원리이다. 혹자들은 우리가 죽으면 이 세상에서의 모든 행위와 심지어는 그 영혼까지도 흔적 없이 사라진다고 생각하는데 이것은 어떤 의미에서 멸절주의(annihilation)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하나님의 사랑만 강조하고 하나님의 공의를 무시하는 사상의 결과물이다. 그러나 부활의 원리로 보면 이 세상의 육신의 선행이 장차 부활의 몸에서 더욱 빛나게 될 것이다(단 12:3).

[나가는 말] (두 종류의 상급으로 이해해야)

이제 결론을 말할 때가 온 것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성경의 상급은 우리의 구원과 멸망의 최종 상태인 부활체의 원리를 통하여 접근해야 한다. 부활체는 영과 육이 죽었다가 다시 결합한 영원한 존재이다. 부활체에는 영과 육의 요소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새로운 피조물이다. 그런데 부활체에는 첫째부활인 영생의 몸과 둘째부활인 영사의 몸의 두 종류의 부활체가 있다. 전자를 생명부활이라고 하며, 후자를 심판의 부활 즉 사망부활이라고 한다. 얼핏 보기에는 성경에는 이 두 부활이 행위에 따라 결정되는 것 같이 표현된 곳도 있다(요 5:29). “선한 일을 행한 자는 생명의 부활로 악한 일을 행한 자는 심판의 부활로 나오리라.” 그러나 성경전체적인 구속의 원리로 보면, 선한 일이나 악한 일의 동력이 전적으로 “믿음”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믿음이 있는 자는 선한 일을 행하고 믿음이 없는 자는 악한 일을 행한다는 말씀이다.

그러므로 악한 일을 행한 자는 심판의 부활로 영사(eternal death)에 들어가고, 선한 일을 행한 자는 생명의 부활로 영생(eternal life)에 들어가게 되는 데, 이것을 가리켜 “유업의 상”(reward of inheritance)이라고 한다(창 15:1; 골 3:24; 벧전 1:4~7). 그리고 구원을 받아 이 “유업의 상”인 영생을 얻은 자들이 이 세상에서 그들이 행한 대로 받은 상이 곧 “보상의 상”(rewards)이다(벧전 5:4). 이 상을 받은 사람은 이생에서도 사람들의 칭찬과 하나님의 축복, 그리고 오는 세상에서 더 큰 하나님의 영광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이 같은 상 중에서 전도하여 많은 사람을 구원한 자는 하늘의 영광으로 영원토록 빛날 것이다. “지혜 있는 자는 궁창의 빛과 같이 빛날 것이요 많은 사람을 옳은 데로 돌아오게 한 자는 별과 같이 영원토록 비취리라”(단 12:3). 이는 전도사역 행위로 얻는 상에 대한 언급이다. 앞으로 그 나라에 들어갈 때에 각자가 행한대로 받은 존귀와 영광을 가지고 들어가게 될 것이다. "사람들이 만국의 영광과 존귀를 가지고 그리로 들어오겠고"(계 21:26), "만국이 그 빛 가운데로 다니고 땅의 왕들이 자기 영광을 가지고 그리로 들어오리라"(계 21:24).

[유업의 상] (Reward of Heritance by Faith)

“이 후에 여호와의 말씀이 이상 중에 아브람에게 임하여 가라사대 아브람아 두려워 말라 나는 너의 방패요 너의 지극히 큰 상급이니라”(창 15:1). (기업)

“이는 유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앎이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골 3:24) (유업)

[보상의 상] (Rewards of Compensation by Works)

“지혜 있는 자는 궁창의 빛과 같이 빛날 것이요 많은 사람을 옳은 데로 돌아오게 한 자는 별과 같이 영원토록 비취리라”(단 12:3) (전도)

“만일 누구든지 그 위에 세운 공력이 그대로 있으면 상을 받고 누구든지 공력이 불타면 해를 받으리니 그러나 자기는 구원을 얻되 불 가운데서 얻은 것 같으리라”(고전 3:14~15). (공력)

“우리의 소망이나 기쁨이나 자랑의 면류관이 무엇이냐 그의 강림하실 때 우리 주 예수 앞에 너희가 아니냐 너희는 우리의 영광이요 기쁨이니라”(살전 2:19~20) (교인)

“그러므로 나의 사랑하고 사모하는 형제들, 나의 기쁨이요 면류관인 사랑하는 자들아 이와 같이 주 안에 서라”(빌 4:1). (교인)

“그런즉 내 상이 무엇이냐 내가 복음을 전할 때에 값없이 전하고 복음으로 인하여 내게 있는 권을 다 쓰지 아니하는 이것이로라”(고전 9:18) (헌신/희생)

“보라 내가 속히 오리니 내가 줄 상이 내게 있어 각 사람에게 그의 일한 대로 갚아 주리라”(계 22:12) (일, 행위)

“그러므로 누구든지 이 계명 중에 지극히 작은 것 하나라도 버리고 또 그같이 사람을 가르치는 자는 천국에서 지극히 작다 일컬음을 받을 것이요 누구든지 이를 행하며 가르치는 자는 천국에서 크다 일컬음을 받으리라”(마 5:19)

“선지자의 이름으로 선지자를 영접하는 자는 선지자의 상을 받을 것이요 의인의 이름으로 의인을 영접하는 자는 의인의 상을 받을 것이요 선지자의 이름으로 선지자를 영접하는 자는 선지자의 상을 받을 것이요 의인의 이름으로 의인을 영접하는 자는 의인의 상을 받을 것이요 또 누구든지 제자의 이름으로 이 소자 중 하나에게 냉수 한 그릇이라도 주는 자는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그 사람이 결단코 상을 잃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마 10:40~42).

Chong Shin University in USA
Systematic Theology(Professor)
Rev/Dr. Paul B. Jang
2 전체
독자 2018.03.01 00:00  
글쓴 분이 한국에서 총신대를 나온 합동측 인물이라는 점에서 공회 교리를 접한 분으로 보입니다. 소속을 밝혔으니 직접 연락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송곳질문 2018.04.29 00:00  
한 신학교수와의 대화

페북에서 나름대로 좋은 영향력을 끼치는 분이시다. 나도 그분의 글에 공감되는 바가 많다.

한 장로교(총신) 목사님이 노회에 구원론에 대해 총회적으로 살펴달라고 청원했다가 기각됐다. 그 사실의 황당함을 페북에 올렸는데, 총신대의 이 교수님이 답글을 달았다. 무난하게 설교하면 된다고. 내가 성경대로 설교해야 한다고 했더니 무난하게의 의미를 설명하시고 몇 차례 대화가 오갔다.

그리고


 딤전 1:19엔 바울 사도가 디모데에게 믿음과 선한 양심을 가지라고 하곤 그 믿음에서 파선하고 그 양심을 저버린 사람들이 있답니다.
정관사를 사용하였죠. 가지라고 한 것과 파선한 것이 다를 수가 없습니다. 그 양심은 선한 양심이죠. 거듭나서 성령이 함께했던 양심요.
칼뱅은 파선한 믿음이 구원의 믿음이 아닌 교리적 믿음이래요. 문맥 그 어디에도 없는 걸 가져온 거예요. 그게 교리적 믿음이면 디모데가 가져야할 믿음도 교리적 믿음이 되고요.
어떻게 설교해야 하죠? 칼뱅처럼 하면 되나요? 아니면 바울 사도의 의도대로 설교해야 하나요?
전자는 성도의 견인을 고수할 수 있고요. 후자는 성도의 견인이 잘못됐다고 말하는 건데요.

K교수
 결국 바울이 말한 그 "믿음"은 하나님 보시기에 불합격이었겠죠. 가짜 믿음인 셈이죠. 죄로 물든 연약한 우리는 믿음마저 자랑할 수 없으니 그냥 무조건 하나님 앞에 무릎 꿇고 잘 믿읍시다......


 그냥 전통에 맞춰 설교하라는 거네요. 그렇게 말씀하시는 게 정직하신 것은 맞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이런 문제에 휘말려 피곤한 상황을 만들고싶진 않으실 거고요.
분명한 것은 바울 사도의 진술에서 가지라고 한 믿음과 파선한 믿음이 같은 거란 사실이지요.
믿음이 선물이라면서 불합격이라는 말도 안 맞고요. 그건 하나님 욕 하는 것이니요. 하나님의 선물이 불량품이었다는 것이잖습니까?
교회의 공적 책무에 조금이라도 의식을 가지시면 좋겠습니다. 이 부분에서요.
개인화하고 끝낼 게 아니라요.

신앙 양심과 지성이 살아있다면 달리 무슨 토를 달 수 있겠는가? K교수님이 아무런 반응이 없으신 것도 그와 같은 이유일 것이다.

그 다음은 용기의 문제다. 이 부분에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 편에 서느냐 아니면 사람의 전통 곧 장로의 유전 쪽에 서느냐. 전자는 생계의 위협을 감수해야 한다. 후자는 체제 안에서 안전을 보장받는다.

내 경험에 의하면 신학자 중에서 전자를 선택하는 경우를 본 적이 없다. 입으로 아무리 코람데오, 하나님 앞에서를 외친다 하더라도 말이다. 생활의 안전 보장이 최우선인 것이다. 물론 그분들이 그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사셨을 수도 있지만.

그리곤 자기 합리화를 한다. 하나님이 내게 맡기신 일이 있다. 나는 그 일을 잘 감당하면 된다. 굳이 내가 관여할 필요는 없다.

그에 대해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다만 본문에 드러난 바를 거부하고 있고 거짓을 하나님의 말씀 곧 진리라고 말하는 상태라는 것이다. 그에 대해 하나님이 어떻게 평가하실까는 그분의 최종심판 때에 드러날 것이다.

하나님을 실존적으로 의식하지 않으면 지금 교회의 잘못된 어떤 모습에서도 바뀔 수 있는 것은 없다. 아무리 개혁을 외쳐도 공염불이 될 것이다. 안타깝지만 현실이다.
 
2018-04-19
(출처-박창진, 코람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