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적 효의 완성은 무엇인가?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기독교적 효의 완성은 무엇인가?


제목: 기독교적 효의 완성은 무엇인가?

이 자료의 내용은 공회의 5계명과 효도의 신앙 원리와 일부 차이가 있으나, 한국의 제사 제도의 유례와 교회의 대처 역사에 대한 자료를 포함하고 있어 소개합니다. - 행정실
----------------------------------------------------------------------------


(원문1 보기)
http://www.kscoramdeo.com/news/articleView.html?idxno=7675


기독교 효학회(학회장 최성규 총장)가 제2회 학술세미나

주제: “기독교 효와 제사와 추도예배”



▲ 발제하는 이은선 교수

<추도예배, 유교의 제사에 대치할 수 있는 좋은 방안?>

-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먼저 천주교가 어떻게 제사를 받아들이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고신과 합동은 금지적 견해를 보였는데, 이는 조상을 숭배하는 예배이므로 엄격하게 금지되어야 한다는 입장

-통합은 중도를 표방하고 감신대 이정배는 제사와 추도예배를 통합하는 제례신학을 주장한다.



▲ 좌장과 발제자, 토론자들.

-제사제도는 한국고유의 의례가 아니다.

-박명수 교수(서울신학대학교)는 제사제도는 한국고유의 의례가 아니라 조선시대에 정착한 유교문화의 산물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 발제하는 이영재 교수

성서에 비추어 본 효 사상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이 진정한 기독교의 효인가?
-진정한 효는 하나님에게서 나오는 사랑으로 그 부모를 공경하는 것이다.





(원문2 보기)-회원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