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국내 신학교의 출신 학교 파벌 형성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신학] 국내 신학교의 출신 학교 파벌 형성



[신학] 국내 신학교의 출신 학교 파벌 형성



총신대는 웨스트민스터와 트리니티 신학교, 장신대는 프린스턴과 튀빙겐을 선호한다고 합니다. 웨스트민스터에 재학 중인 한국 학생이 2백여 명이고 전교생의 3분의 1이니 그 곳을 나온다 해서 쉽게 되는 것도 아닙니다.

영어로 신학을 배워 한국에서 목회하는 목사를 가르치는 것과
우리 말로 신학을 배워 우리 말로 한국에서 목사를 가르치는 것을 비교할 때 어느 것이 더 유리한지는 초등학생에게 물어도 금방 답이 나올 것 같은데 오로지 학벌에 매여 돌진하는 불쌍한 교계의 신학교 풍토를 개탄하며 - 행정실
------------------------------------------------------------------------------



(원문1 보기)
http://www.christiantoday.co.kr/view.htm?id=263491




[기획] 서구서 벗어난 한국 고유의 신학, 가능할까 (上)


▲서구 의존성에 벗어난, 한국 고유의 신학은 과연 가능할까. 이를 위해선 국내 신학교들이 교수 임용에 있어 지나치게 ‘해외 학위’만을 선호해선 안 된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오래 전부터 서구의 신학에서 벗어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나치게 서구에 의존하다보니 우리만의 신학이 없다는 반성 때문이다.


<현실적인’ 대안>

-지나치게 높은 ‘교수 사회의 진입장벽’을 짚어보고 싶다.

-또 다른 문제는 어렵게 ‘해외 학위’를 따도 학위를 준 해외 신학교의 ‘네임 벨류’에 따라 차등이 있다.

-교수 임용은 몇 단계를 거치지만 ‘해외 학위’ 혹은 ‘해외 특정 신학교의 학위’를 중요시 하는 경향은 결국 “학연과 지연의 고착화”로 이어진다는 지적.

-교수 임용시 어느 정도 기준만 된다면 출신 학교보다 지원자의 신학적 소양이나 자질, 참신함 등을 더 따져봐야 할 것”






(원문2 보기)-회원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