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 기독교 출판계의 실상 - 출간 내막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교계] 기독교 출판계의 실상 - 출간 내막


‘베스트셀러는 대형교회 목사만’? 더 중요한 건…

크리스천투데이 김진영 기자
입력 : 2010.04.03


목사는 목회자이면서 작가… ‘기독교 출판의 세계’




▲기독교 출판 시장은 목회자들을 비롯한 기독교 작가들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목회의 장’이며, 교인들과 소통할 수 있는 대표적 창구로 점차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 크리스천투데이 DB

최근까지 일었던 ‘법정 스님 신드롬’은 그가 쓴 책 ‘무소유’에 힘입은 바 크다. 그는 생전 30여 권의 책을 지어 ‘속세의 중생’들과 소통했다. 특히 그가 책을 펴내 받은 인세(印稅) 수십억 원을 모두 기부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화제가 됐다. 이후 ‘인세’라는 단어에 관심이 쏠리면서 일반 출판 시장에선 200~300만 원에서부터 수백억대까지의 인세가 오간다는 보도도 있었다. 과연 기독교 출판 시장에서 인세는 어떻게 매겨지는지, 기독교 작가 특히 목회자들에게 있어 ‘책을 낸다’는 건 어떤 의미인지를 알아봤다.

책, 설교와 같은 또 하나의 목회도구

얼마전 국회조찬기도회에서 김남준 목사는 열린교회 담임목사가 아닌 베스트셀러 작가로 소개되면서 설교 강단에 올랐다. 그럴만도 한 게 김 목사는 ‘게으름’(생명의말씀사), ‘존 오웬의 신학’(부흥과개혁사), ‘자기 깨어짐’(생명의말씀사) 등 100여 권 이상의 책을 집필한 기독교 베스트셀러 작가다. 목회자 이전에 작가로 먼저 알려진 케이스다.

김 목사만이 아니다. ‘백악관을 기도실로 만든 대통령, 링컨’과 ‘성경이 만든 사람 백화점 왕 워너메이커’(이상 생명의말씀사)의 저자 전광 목사도 목회자가 아닌 작가로 이름을 알렸다. 그의 책들은 출판된지 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각종 서점에서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라있다.

이 밖에도 전병욱, 옥한흠, 강준민, 이재철, 이동원 목사 등이 활발한 저술 활동으로 교인들에게 다가가고 있다. 이들은 각자 교회를 담임하는 목회자로 설교를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전달하기도 하지만, 책이라는 또 하나의 중요한 매개체를 통해 그들의 신학적 견해와 목회비전, 성경 해석 등을 교인들에게 전달한다.

이처럼 기독교 출판 시장은 목회자들을 비롯한 기독교 작가들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목회의 장’이며, 교인들과 소통할 수 있는 대표적 창구로 점차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교인들 역시 그들의 신앙을 다지고 종교적 물음에 답을 얻기 위해 서점에서 책을 집어든다.

타 종교에 비해 기독교 출판이 활발하다는 건 통계자료에서도 드러난다. 대한출판문화협회가 발간한 ‘2009 전국간행물종별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발간된 종교신간은 총 2,177권이었고 이 중 기독교(개신교) 신간이 1,849권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전체 신간 중 종교신간이 차지한 비율은 5.16%였다.

인세, 현금 대신 책으로 받는 경우 많아
1만권 팔면 본전이지만 2천권도 어려워

그렇다면 인세는 어떻게 매겨질까. 인세는 출판사나 발행자가 책 판매 부수에 따라 저자나 저작권자에게 지급하는 돈이다. 일반 출판 시장의 경우 대개 판매된 책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