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 한국장로교총연합회 - 고신 합동이 이단 비판을 받을 근거
예수님을 부인하고 성경을 부인하는 기장 교단이 "장로교" 이름을 가졌다는 사실 하나만 가지고 고신과 합동이라는 교단이 "한국장로교총연합회"를 구성하고 한 교단이 되려고 발버둥을 치고 있습니다. 이 정도라면 이단 비판을 받아도 고신과 합동은 할 말이 없겠는데, 고신과 합동이 제 정신이 있는 사람들인가? 원래 없는 사람들이 입에다 정통과 신앙과 무슨 기독교라는 말을 한다는 자체가 오늘 한국 교계의 모순입니다.
연합회 회원 교단은 뒤에 따로 제시했으나 "통합" "합동" "고신" "기장" 4곳이 중심입니다.
- 관리자
-----------------------------------------------------------------------------------
(출처 : 국민일보)
좌담, 한장총 ‘장로교 연합’ 제안 의미·과제
[2010.07.14 20:21]
한국장로교총연합회(한장총)가 지난 10일 장 칼뱅 탄생일을 맞아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2010 장로교의 날’ 대회를 갖고 28개 회원교단의 화합과 일치에 무한 책임을 느끼고 있음을 대내외적으로 천명했다. 2012년 9월 ‘1교단 다체제 연합’ 총회 개회예배를 드릴 것 등을 제안하며 새 시대에 맞는 장로교의 하나된 목소리를 내자고 다짐했다. 본보는 이번 행사를 준비한 한장총 이종윤 대표회장, 양병희 상임회장, 오치용 연합과일치위원회 위원장과의 좌담을 갖고 이번 대회의 의미와 향후 과제 등에 대해 들어보았다.
-한국 장로교단은 유독 분열이 많았는데요.
△이 대표회장=장 칼뱅은 연합이라는 단어를 굉장히 많이 사용했다. 연합을 강조할 뿐 아니라 연합을 추진했다. 칼뱅은 만일 루비콘강 10개를 건너서라도 연합이 가능하면 10개를 모두 건너겠다고 할 정도로 연합을 중시했다. 이 같은 칼뱅의 후예인 우리들이 무엇 때문에 그토록 많이 분열되었는지 개탄스럽다.
-교회들을 연합시킬 수 있는 방안이 있는가.
△양 상임회장=첫째 구조적 연합이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와 한국기독교총연합회를 들 수 있다. 어느 교단이든 모여 연합하는 것이다. 둘째, 닮은꼴 연합이다. 나하고 같은 사람끼리만 모이는 것이다. 셋째, 영적 연합이다. 이는 성경적 연합 논리다. 요한복음 17장의 예수님의 기도문 중 ‘아버지와 내가 하나인 것처럼 저들이 하나 되게 하옵소서’는 일종의 영적 연합을 제시한 거다. 아무리 지난한 과정이 있다 해도 연합을 강조해야 하고 반드시 달성해야 한다. 한장총은 이를 위해 존재하는 기구다.
-장로교단은 그 뿌리가 같다는 데서 일치와 연합을 이룰 수 있는 여지가 많은데.
△오 위원장=장로교단의 공통점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성례전이다. 연합이 좋다지만 성찬을 함께할 수 없는 연합은 불가능하지 않겠는가. 그런 점에서 장로교단은 칼뱅이 가르친 성찬 전통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에 일치와 연합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다.
-한장총이 정말 한국 교회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킬 수 있겠는가.
△양 상임회장=한장총 소속 교단은 28개지만 교회는 3만7000여개, 성도는 910만명에 달한다. 수치상으로 볼 때 한국 교회의 75%다. 한장총은 진보적인 기장, 보수적인 고신이 공존하고 있는 매우 특별한 연합기구다. 따라서 우리의 노력이 반드시 한국 교회를 연합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확신한다. 이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기회이기도 하다. 세계 교회에 더욱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선 필수 과정이기도 하다.
-올해 장로교의 날 대회를 어떻게 평가하는가.
△오 위원장=그동안 한국 교회는 성장에 초점을 맞춰온 게 사실이다. 물론 잘못된 방향은 아니지만 이제는 구조 변경이 필요하다. 즉, 성숙한 교회가 되어야 한다. 교단마다 장자라고 자부심을 갖는데 이제는 장자라면 동생들에게 모범을 보여야 한다. 양보할 줄 아는 게 장자다. 장자는 장자답게, 차자는 차자답게, 또 형님을 형님으로, 동생을 동생으로 대접하는 게 필요하다. 우리는 본질적인 것과 비본질적인 것을 나눠야 한다. 비본질인 것이 연합을 해치면 안 된다. 가령 성찬식 때 촛불을 세 개 켜야 되느냐, 일곱 개 켜야 되느냐, 이것 때문에 교단이 갈라지면 되겠는가.
-대회 마지막 행사로 28개 교단 총회장과 총무들이 단상에서 얼싸안고 ‘사랑하는 주님 앞에 형제 자매 한자리에’ 찬송을 부르며 화합된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앞으로가 더 중요한 것 같다.
△이 대표회장=2012년은 한국 장로교가 100주년이 되는 해다. 우리 사회에 장로교회들이 연합하고 일치하는 모습을 보여줄 기회다. 우리의 하나 됨은 민족 통일을 향한 분수령이 될 것이다. 2015년 광복 70주년에 장로교단은 민족의 하나 됨을 강조하고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선지자적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이번 대회 설교에서도 언급했듯 반드시 인위적 시간표를 만들 필요는 없다. 그러나 목표는 설정해야 한다. 하나님이 원하시면 무슨 희생이 있어도 이뤄야 한다.
△양 상임회장=교회는 세속화와 싸워야 한다. 교회가 세속화되면 세상과 다를 바 없다. 그런 차원에서 한장총은 바른 신학, 바른 신앙, 바른 삶이 얼마나 중요한지 널리 알리고 목회자들부터 그렇게 살 것을 다짐하고 실천해야 한다. 우리는 개혁된 교회가 아니라 끊임없이 개혁을 지속하는 교회를 만들어가야 한다.
모두가 한마음이었다. 목회자나 평신도,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이나 140여개로 분열된 한국 장로교회가 조속히 하나가 돼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었다. 종교개혁자 장 칼뱅 탄생일인 10일, 한국장로교총연합회(한장총)가 서울 장충동 장충체육관에서 개최한 ‘2010 장로교의 날’ 대회에서다. 특히 칼뱅의 후예임을 자임하는 28개 장로교단 총회장과 총무들은 하루속히 분열과 갈등의 골을 메우고 싶어했다.
“(분열을) 용서하십시오. 제가 잘못했습니다. 하나님 앞에서 타락한 자였습니다. 하나님 앞에서 용서를 빕니다.” 서로 얼싸안으며 지난날을 회개했다. 이들의 퍼포먼스에 체육관을 메운 5000여 목회자와 성도는 아낌없는 박수를 보냈다.
이명박 대통령도 축전으로 힘을 보탰다. 이 대통령은 한장총 양병희 상임위원장이 대독한 축사에서 “믿음의 선배들과 이 자리에 함께한 여러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눈부신 성장을 이루어낸 한국 장로교회가 앞으로 우리 사회의 소외된 이들을 섬기고,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격려했다.
이날 대회는 기존 행사와 차별화를 시도했다. 하나님의 영광과 주권을 높이는 메시지가 선포되고 성숙한 장로교회가 될 것을 다짐하는 성찬식이 이어졌다. 특히 대회장 이종윤 한장총 대표회장의 설교는 날카로웠다. 폐부를 찌르는 듯 간결하면서도 명료했다. “죄송합니다. 목사가 7계명을 어기고 살인했습니다. 장로가 도둑질 했으며, 집사가 사기꾼 되고 권사가 거짓 증인이 되고 있습니다. 한국교회의 가장 큰 문제는 이단이나 타 종교의 발흥이 아니라 세속화입니다.”
이 대회장은 “예배가 노래방 수준으로 타락하고 교회가 구원이 요청되는 세상문화와 별반 다르지 않다”며 마케팅에 물든 복음주의자들의 허상을 지적하고 “크리스천들이 ‘코람데오(하나님 앞에서)’ ‘신행일치’의 삶을 살지 못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그는 이어 칼뱅처럼 연합을 강조했다. “우리가 정말 주님을 사랑한다면 다른 형제에게 영적 진리를 말해주고 매일의 대화 속에서 충분히 사랑을 나타내야 하며 다투기보다 연합해야 합니다.”
사실 칼뱅의 연합 원칙은 단순했다. 말씀과 성례, 본질적인 교리가 같으면 연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그리스도의 머리되심을 교회일치의 전제조건으로, 그리스도의 진리는 포기할 수 없는 최후의 보루라고 강조했다.
4부로 진행된 이번 대회에서 한장총은 28개 장로교단만이라도 올해 9월 총회부터 준비해서 2012년 9월까지 ‘1교단 다체제 연합체’를 완성하자고 제안했다. 2012년 1교단 다체제 총회의 연합개회예배를 드린 뒤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하나의 장로교단 설립을 민족과 열방에 선포하자고 했다. 제안서엔 ‘연합’ ‘하나’라는 단어가 16회나 언급될 정도로 하나 됨에 대한 염원이 강렬했다. 1교단 다체제 연합은 공룡 같은 단일교단을 만들어 세를 과시하려는 게 아니다. 완전 교단 통합은 어렵지만 서로의 실체를 인정하면서 대화와 소통으로 얼마든지 분야별로 한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논리다. 장로교단 지도자들이 모처럼 칼뱅의 탄생일에 제안한 게 교회 정치의 벽을 뛰어넘어 현실화될지, 아니면 이벤트성 선언에 불과할지 오는 9월 장로교단들의 총회가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진행·정리=함태경 기자
---------------------------------------------------------------------------------
(출처 : 합동 기관지)
장로교단 한자리 “우리는 형제”
한장총 10일 ‘장로교의 날’ 행사 … 연합 다짐
2010년 07월 13일 (화) 11:07:20 박용미 mee@kidok
요한 칼빈의 생일을 맞아 그의 신앙을 따르는 장로교단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한국장로교총연합회(대표회장:이종윤 목사ㆍ이하 한장총) 소속 28개 장로교단은 7월 10일 장충체육관에서 ‘장로교의 날’ 행사를 열고 한국 교회의 연합을 다짐했다.
▶관련기사 6면
‘성숙한 장로교회’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하나님의 영광과 주권을 찬양’ ‘성숙한 장로교회의 선언’ ‘장로교 전통에 따른 예배’ ‘한국장로교연합회의 비전 제시’ 등 총 4부로 진행됐으며 교단 총회장과 임원들을 비롯한 8000여 명의 성도들이 참석했다. 대표회장 이종윤 목사는 “흩어졌던 장로교 형제들이 형제의 우의를 다지는 모습을 하나님께서 매우 기뻐하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 한장총은 ‘1교단 다체제’로 장로교가 연합하여 2012년 각 교단의 정기 총회 때에 모든 장로교단이 함께 모여 연합개회예배를 드릴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올해 각 장로교단 총회에서 ‘1교단 다체제’ 연합추진을 위한 기구를 마련해 내년에 이것을 결의할 준비를 하고, 2012년에는 연합된 총회를 함께 개최해 장로교의 힘을 하나로 모으자는 입장이다.
장로교회 ‘1교단 다체제’ 제안
‘장로교의 날’ 행사서 “EU 참조 연합 강화”
2010년 07월 13일 (화) 11:25:11 박용미 mee@kidok
7월 10일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장로교의 날’ 행사는 장로교의 정체성을 찾는 시간이자 연합의 축제였다.
요한 칼빈의 생일을 기념해 나뉘어져 있던 장로교단이 한 자리에 모여서 형제애를 표현한 예배는 3시간 내내 성도들의 기쁨으로 가득 찼다.
▲ 한국장로교총연합회가 주최한 ‘장로교의 날’은 장로교단의 연합을 위해 기도하고 발전을 위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 자리였다.
1부에서 한장총 임원과 총회장, 그리고 총무들이 각 교단의 깃발을 들고 입장하는 순간에는 뜨거운 박수갈채가 터졌다. 오늘 하루, 더 나아가 오늘 이후부터 모든 분열과 갈등을 끊고 대화합의 모습으로 하나가 되자는 의지가 담긴 시간이었다.
설교를 맡은 한장총 대표회장 이종윤 목사는 한국 교회의 죄를 회개하며 성숙한 교회로 나아가자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 목사는 “마치 콘서트와 같은 찬양으로 청년들을 끌어 모으려 하는 등 개혁주의의 중심을 잃어가는 예배는 회개해야 할 문제”라고 말하며 “목사가 계명을 어기고 살인을 저지르며 집사가 사기꾼이 되는 현실 또한 회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사도바울이 로마교회를 향해 선함과 지식이 가득하고 서로 권하는 교회라고 칭찬했듯이 우리 한국 교회도 그런 칭찬을 받도록 기도하며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예배의 마지막에는 성찬식을 통해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하나가 된 것을 다시 한 번 마음 속에 새겼다. 성도들은 주님이 주신 힘으로 세상과 마귀를 대적하며 승리의 삶을 살 것을 기도하고 다짐했다.
피날레는 각 교단의 총회장들이 손에 손을 잡고 얼싸안는 모습으로 마무리 됐다. 서로가 서로에게 사랑의 손길을 내밀어 찬양을 부르며 연합의 의미를 표현했다. 특히 말로만 연합이 아닌 실질적인 장로교의 연합을 위해 ‘1교단 다체제’를 한국 장로교회에 제안했다.
‘1교단 다체제’는 올해 초부터 한장총이 연구해온 것으로 홍콩의 한 국가 양 체제, 유럽연합(EU)의 한 국가 다중체제를 참고한 것이다. 각 교단 총회장들과 대표 총회장을 세워 주요사안에 따른 연합기구를 두는 형식이다.
‘장로교의 날’과 같은 큰 행사 이후 한국 장로교단의 연합과 일치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져 조만간 하나로 마음을 모을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박용미의 다른기사 보기
------------------------------------------------------------------------------------
"장로교, 연합 넘어 한 교단 이루자" [뉴스파워] | 자유게시판
2010.07.11 22:31
순례자(hlsaint)
http://cafe.naver/cgsgidowon/5004
"장로교, 연합 넘어 한 교단 이루자"
3000여명 장로교인 모여 분열의 죄 회개..더 큰일 위해 힘 합치자
이범진
10일 장로교의 날을 맞아 모처럼만에 장로교단들이 하나가 됐다. 오후 2시 장충체육관에 모인 28개 교단의 장로교인 3000여명은 다같이 찬양, 예배, 성찬식을 하며 하나 된 장로교 전통을 이어가자는 데에 뜻을 같이했다.
▲ 28개교단 장로교인들이 약 40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장충체육관을 가득 채웠다. ? 뉴스파워 이범진
이날 개회사에서 한국장로교총연합회 대표회장 이종윤 목사는 “흩어졌던 형제들이 손에 손을 잡고 한자리에 모여 하나님께 예배하고 형제의 우의를 다지는 모습을 하나님께서 기뻐하실 것”이라며 “한국장로교회의 지도자와 성도, 젊은이, 늙은이가 모두 연합과 일치된 모습을 보여주자”고 전했다.
설교를 맡기도 한 이 목사는 이어 “우리 장로교회가 성숙한 교회로 거듭나야 한다”며 “선함이 가득한 교회, 지식이 가득한 교회, 서로 권하는 교회가 되자”고 권면했다.
특히 “오늘같이 우리 사회에서 반기독교운동이 일어나고 있는 것은 단순히 악한 세상 탓만 할 것이 아니라 우리 기독교인들의 선함이 그들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이라며 “우리가 거듭남으로써 성숙한 행실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동력이 되자”고 강조했다. 서로 흩어져 있지만 장로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각자의 교회와 주변을 변화시키라는 것.
▲ 이종윤 목사 ? 뉴스파워 이범진
그는 또 “요한 칼빈처럼 교회 연합과 일치를 강조한 사람도 드물다”고 말한 뒤 “서로 장자 총회라고 자랑만 하지 말고 장자라면 장자답게 동생들에게 본을 보여야 하고 양보하고 권면과 격려를 할 줄 알아야 한다”고 언급했다. 교단차원에서 성숙한 모습을 요청한 것으로, 교단 간 화합을 요청했다.
이날 대회선언문을 통해서는 회개와 다짐도 이어졌다. 구체적으로는 ‘우리 한국 장로교인들은 그리스도의 몸을 찢고 분열시킨 죄를 회개합니다’라는 내용도 비중있게 담았다. 선언문을 낭독한 기획본부장 조성기 목사는 “교회의 연합 없이 사회갈등의 치유와 남북통일을 기대할 수 없음을 잘 알고 있다”며 죄의 회개가 한반도에 닥친 위기를 바로잡는 시작임을 강조했다.
▲ 탈북민들이 함께 성찬식을 하고 있다 ?뉴스파워 이범진
2012년 한국장로교회 100주년을 준비하는 데에도 큰 의미가 부여됐다. 조 목사는 “우리 민족이 겪은 지난 날 아픔의 굴레를 벗고 우리 앞에 놓인 홍해를 여는 대작전을 전개하기를 원한다”며 “오직 성경만을 기치로 출애굽의 대장정을 시작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러한 선언과 함께 각 교단들을 향한 구체적인 제안들도 제시됐다. 이중에는 1교단 다체제 연합을 추진하자는 내용이 관심을 끌었다. 이는 현재 연합된 기구 차원을 넘어서 한교단 된 장로교회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총회체제를 유지하면서도 하나의 교단을 이루자는 것이다. 특히 2012년 9월까지 연합된 총회를 개최하는 것을 목표로 할 정도로, 큰 의지를 보이고 있어 향후 실제적인 행동이 주목된다.
예배후 가진 성찬식에서는 장충체육관을 가득 메운 3000여명의 장로교인들이 떡과 잔으로 하나가 됐다. 특별히 이들중에는 탈북민들과 장애우들도 함께 참여해 그 의미를 더했다. 국가와 민족 통일, 사회복지 발전 등을 위해 별도의 기도시간을 마련했던 이번 대회에서 모인 헌금 전액은 탈북민과 북한선교를 위해 사용된다.
▲ 손을 맞잡은 28개 교단 총회장/총무들 ? 뉴스파워 이범진
마지막으로 28개 교단의 총회장과 총무들은 앞으로 나와 손을 잡고 찬송 220장을 합창했다. 이들은 화해의 의미를 포옹을 하기도 하며, 화합과 연합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장로교의 날’은 매년 7월 10일에 열리며, 이는 요한 칼빈의 생일이다.
기사입력: 2010/07/10 [20:19] 최종편집: ⓒ 뉴스파워
[출처] "장로교, 연합 넘어 한 교단 이루자" [뉴스파워] (청계산기도원) |작성자 순례자
--------------------------------------------------------------------------------
(한국장로교총연합회)
(임원단)
대표회장 이종윤목사 통합 (서울교회)
상임회장 양병희목사 백석 증경총회장
공동회장 서정배목사 합동 총회장, 윤희구목사 고신 총회장, 김현배목사 기장 총회장
......... 김명규목사 대신 총회장, 임석영목사 합신 총회장
서 기 최충하목사 대신 총무
부서기 정바울목사 개혁총연 총무
회 계 남승찬장로 합동 수원삼일교회
부회계 강세창목사 합동동신 총무
(회원교단)
가입년도
회원교단
총회장
총무
주소
전화 / *팩스
1 81. 2
통합
지용수
조성기
110-470
종로구 연지동 135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
741-4350
*766-2427
2 81. 2
합동
서정배
이치우
135-851
강남구 대치3동 1007-3 총회본부
559-5600
*568-7456
3 81. 2
고신
윤희구
임종수
137-803
서초구 반포4동 58-10 총회본부
592-0433
*592-5468
4 81. 2
기장
김현배
배태진
142-070
서울 강북구 수유동 산76번지
3499-7600
*3499-7630
5 81. 2
대신
김명규
탁용학
431-827
안양시 동안구 신촌동1073번지 흥일빌딩 710호
031-382-6386
*031-383-6395
6 94.11
백석
유만석
이경욱
137-851
서초구 방배3동 1031-3 미주빌딩1층
584-9845
*521-2729
7 94.11
호헌1
강희윤
이규인
150-815
서울 영등포구 대림3동 733-6 2층
835-9170~1
*835-9172
8 96.10
합신
임석영
박종언
110-740
종로구 연지동 136-56 한국기독교연합회관 1601호
708-4458
*708-4464
9 97. 7
합동동신
종홍석
강세창
010-2889-9756
404-822
인천시 서구 석남1동 179-81
032-574-9756(겸)
10 97. 7
합동총회
이영근
도용호
1140-470
서울 종로구 연지동 136-5 대호빌딩본관 301호
765-8083
*765-8085
11 97. 7
합동개혁진리
한기창
박중선
422-040
부천시 소사구 송내동 296-18 광명빌딩 5층
032-654-2569
*032-667-2148
12 97. 7
피어선
박승철
서정숙
450-701
경기 평택시 용이동 11번지 평택대학교 305 총회본부
031-654-6196
*031-6573707
13 97. 7
합동복구
박남교
전홍식
156-084
서울 동작구 상도4동 279-422
821-0387
*824-7517
14 98. 5
합동중앙
서옥임
김동석
120-101
서대문구 홍은1동 448-1
3216-2782
*3216-2784
15 98.11
합동총신측
김교섭
김병근
402-060
인천시 남구 도화동 429-1 롯데월드타워 901호
032-861-0142
*032-861-0143
16 99. 5
중앙
백기환
심우영
139-054
노원구 월계4동 128-1
943-3124~5
*943-2946
17 02.11
합동개혁
정서영
권남수
151-801
서울 관악구 남현동 602-41 총회본부
3486-6310~2 *3486-5551
18 03.1.23
개혁총연
진상철
정바울
110-736
서울 종로구 연지동 136-46 기독교회관 608호
745-5161~2
*745-5163
19 06.2.27
성합
정봉국
김동락
151-805
서울 관악구 봉천2동 41-117호 샬롬빌딩
873-8165
20 06.2.27
고려개혁 허 벽
송태섭
110-054
서울 종로구 사직동 304-43 725-4074
21 06.2.27
합동복음 김상영
조태영
151-835
서울시 관악구 봉천7동 1594-7 삼정빌딩 5층 872-3555
*872-3556
22 06.2.27
합동총회
최능력
손귀영
137-069 서울 강북구 미아9동 258-729 981-0693~4
*981-0695
23 06.10.16
합동(대림) 김장성
곽성현
131-848 서울 중랑구 묵1동 171-8호
971-0789
*971-0785
24 06.10.16
개혁선교 김윤기
박남수
110-850
서울 종로구 효제동13번지 정화빌딩 3층
747-2258~9
*762-0191
25 08.11.20
합동보수 박종오
이영욱
121-820
서울 마포구 망원1동 377-1 로얄프라자 801호
323-8201
*323-8203
26 08.11.20
보수 정덕순
권오삼
426-825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2동 1470-13
031)418-8387
*031)418-8397
27 10.5.20
개혁 김경학
신광수
110-850 서울 종로구 효제동 64-2
741-0691 *741-7765
28 10.5.20
개혁정통 김인식
한요한
151-843 서울 관악구 은천동 933-10
743-8474, *743-8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