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단] 한기총 이단 대책 위원회 명단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이단] 한기총 이단 대책 위원회 명단


(내용 중에서 눈 여겨 볼 부분)
* 위원 중에서 문제 있는 사람은 추후 배제할 것
* 개인 감정으로 이단 정죄한 것을 해결할 것
* 연구도 없이 이단으로 누명을 씌운 경우 해결할 것
----------------------------------------------------------


한기총 이대위 새로운 조직발표
전문성있고 체계있는 이대위로 탈바꿈




▲ 고창곤 목사 (인천영락교회 예장 대신 전 총회장)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이대위·위원장 고창곤 목사)가 14일 조직을 새로 구성하고 남은 회기동안 이단 사이비 문제에 적극 대처하기로 하는 한편 정관 제정을 통한 이대위사역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한기총 이대위는 14일 오전 서울 연지동 한국기독교연합회관내 한기총 회의실에서제 20-3차 전체 회의를 갖고 새로운 조직을 구성했다.

이대위는 그동안 논란이 일었던 전문성 시비를 불식시키기 위해 각 교단 및 신학대 등의 추천을 받아 전문위원을 대폭 위촉했으며 법적 시비가 발생했을 때 적극 대응하기 위한 법률고문단도 보강했다.

전문위원에는 김의환(총신대) 강웅산(총신대 신대원) 유해무(고신대) 노영상(장신대) 손석원(성결대) 박문수(서울신대) 교수, 정효재 대한신학대학원대 총장 등 학자들이 대거 합류했으며 최삼경(예장 통합) 진용식(예장 합동) 박형택(예장 합신) 최병규(예장 고신) 목사, 근광현 침신대 교수, 탁지원 현대종교 소장 등 이단사이비 문제 전문가들이 총망라됐다. 그러나 엄신형 대표회장은 이날 선임된 이대위원들 중 문제가 있는 인물이 있다면 추후 배제하겠다고 밝혔다.

새로운 이대위 조직에는 한기총 전 대표회장 이용규 목사(기성), 한기총 전 총무 박천일 목사(CTS) 등이 합류하면서 전면적인 인적 쇄신또한 일어났다. 이로써 과거와 같이 주도적인 일부 인사에 의해 좌지우지돼왔던 이단판정 관행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기총이대위는 이번 회의를 통해 이대위 규정 제정에 관한 건을 임원회에 맡겨 추진하기로 했다. 이 또한 임원회 결의나 과반수 지지도 없이 안건을 결의하는 등 과거 문제가 돼왔던 관행이 사라지는 단초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날 이대위 상담소장직에는 당초 김의환 목사가 후보에 올랐으나, 본인이 고사하면서 유보됐다. 엄신형 대표회장은 이에 대해 “2~3명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며 “한국교회 모두가 공인할 수 있는, 전문성과 청렴함을 갖춘 인물을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엄신형 대표회장은 앞으로의 이대위 사역의 대원칙 4가지를 제시했다. 특히 한기총 이대위가 일방적·감정적으로 이단 정죄 일변도로만 사역할 것이 아니라, 이단 누명을 쓴 억울함을 풀어주고 이단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사역을 펼쳐야 한다는 이대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엄신형 대표회장은 한기총 이대위가 ▲이단의 발생을 사전에 막고 ▲이단에 정죄된 인물이나 단체라 할지라도 회개한다면 용서해주고 ▲한기총도 파악하지못한채 교단이나 지역기독교연합회에서 이단으로 규정한 사람이나 단체에 대해서도 조사 연구해 시비를 가려 누명을 썻다면 벗겨줘야 하며 ▲이단이 아닌 이들을 감정적인 이유 등으로 이단 정죄하는 경우도 억울함을 풀어줘야 한다고 밝혔다.

엄 대표회장은 “이대위원들이 먼저 원칙을 바로 세워야 하며, 개인적인 감정에 따른 이단 정죄는 안 된다”고 말하고 “이단 사역을 하는 데 있어서 금품수수를 한다면 이는 기독교를 타락시키는 일이 될 것”이라고 경계했다.

이로써 근 8개월가량 파행되었던 한기총이대위가 새로운 체계를 갖추고 사역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내년 새로운 회장단이 들어설 경우 이번에 조직된 이대위가 계속 연임할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에클레시안뉴스제공)


2009년 10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