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 총신을 종교사학에서 일반사학으로 변경
[제93회 총회결산] 총신 재단이사 임원 퇴진
[주요 결의사항] 일반사학 변경 책임 물어 ... 총장선출 규정 변경
2008년 09월 27일 (토) 00:16:53 박민균 min@kidok.com
▲ 총신신대원 원우회 임원들이 총대들에게 총장 선출과 송전탑 문제 해결을 호소하고 있다. 제93회 총회에서 총장 선출 문제는 어느 정도 가닥을 잡았지만, 송전탑 문제는 시간에 쫓겨 논의되지 못했다.
총신대학교에 다시 칼바람이 불었다.
8년 전 제85회 총회에서 총신대는 총장선출 문제로 재단·운영이사회 이사들이 전원 사퇴 당했다. 올해는 총신대를 일반사학으로 변경시킨 재단이사회 임원이 전원 사퇴의 직격탄을 맞았다. 운영이사들도 안심할 수 있는 처지는 아니다. 11월 말까지 신임 총장을 선출하지 못할 경우, 역시 같은 운명에 처해진다.
총회 회무 넷째날인 25일, 총대들은 목회자를 양성하는 총신대를 종교사학이 아닌 일반사학으로 정관을 변경한 재단이사회 임원과 개방이사들을 사퇴시켰다.
총신대 재단이사회는 작년 10월 4일 정관개정 사항을 임원회에 넘겼고, 다음 날 임원회는 일반사학으로 변경할 것을 결정했다. 재단이사회는 이 결정을 곧바로 교육인적자원부에 보고 했고, 총신대는 10월 19일 일반사학으로 학교법인 정관을 인가받았다.
총신대가 일반사학으로 정관을 변경할 당시는 개방이사제도가 사회적으로 첨예한 갈등을 불러일으키던 때였다. 임기가 만료되는 이사들이 있어 정관개정이 시급했던 재단이사회는 종교사학으로는 정관 개정이 불가능하자 일반사학을 선택했던 것. 총대들은 사학법 문제로 학교가 어려웠던 점은 인정하지만, 총신대를 일반사학으로 변경한 것은 학교의 정체성을 심각하게 훼손한 사건이라고 지적했다. 이사들은 결국 이 사건을 주도한 재단이사회 임원들을 사퇴시켰다.
운영이사회도 안심할 수 있는 처지는 아니다. 총대들은 현 김인환 총장의 임기가 만료되는 11월 24일 전까지 신임 총장을 선출하라고 명령했다. 신임 총장을 뽑지 못하면, 운영이사들도 사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운영이사회는 이 기간까지 총장을 선출할 수 있을까?
일단 총장 선출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총장 선출 규정이 수정된 것은 희망적이다. 운영이사회는 25, 26일 계속 이사회를 열어 대책을 논의해 총장 선출 규정을 "재단이사와 운영이사회 임원들이 총장 후보를 추천하여, 1차 선거는 2/3 이상 2차 선거는 과반수 이상 득표자"로 변경했다. 총대들도 허락했다.
이론상으로 두 번만 투표하면 총장을 뽑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난관도 있다. 운영이사회는 선출 규정 말미에 총장의 임기를 "4년 연임할 수 있다"고 변경한 것이다. 현 총장도 추천을 받을 수 있냐는 문제를 두고 논란이 되는 대목이다. 일단 운영이사회는 현 총장은 해당 사항 없다고 밝혔지만, 출마설이 끊이지 않는다.
또 다른 문제는 총장 후보를 추천할 재단이사회의 임원이 공석이라는 점. 재단이사 임원들이 전원 해임되면서, 총장 선출을 위해서는 먼저 재단이사회 임원부터 선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운영이사 해임 시한인 11월 24일까지 꼭 두 달이 남았다. 이 기간 동안 총신대 이사회를 정상화키시고 총장까지 선출할 수 있을지, 교단의 눈이 쏠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