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한글성경 번역에 나타난 주요 논쟁 연구 : 1877-1939
저자 옥성득 학위수여일 1993
발행일 1993.02 학위수여기관 長老會神學大 大學院
발행언어 한글 발행국가 한국
문서유형 석사논문
원문파일 (국회 도서관의 로그인 후 원문 이용가능)
전문DB 제공 :
목차
국문목차
표제지
감사의 글
차례
I. 서론
1. 문제 제기와 연구 의의
(1) 한글성경 번역사가 한국기독교사에서 차지하는 위치
(2) 한글성경 번역사에 나타난 논쟁사 연구의 의의
2. 연구 범위와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II. 번역주체 논쟁 (1877-1893)
1. 배경 : 상임성서위원회의 조직과 이수정본의 개정본 출간
2. 발단 : 언더우드의 로스본 개정 무용론
3. 전개 : “로스냐 언더우드냐”
(1) 로스 (John Ross)
(2) 브라이언트 (E. Bryant)
(3) 루미스 (H. Loomis)
4. 결말 : 상임성서실행위원회의 조직과 새번역 추진
III. 용어문제 (1893-1911)
1. 배경 : 로스의 ‘하느님’ (하나님) 채택과 이수정의 ‘신’ 사용
(1) 중국에서 일어난 용어문제
(2) 한국천주교의 ‘턴쥬’ 채택
(3) 로스의 ‘하느님’ (하나님) 채택
(4) 이수정의 ‘神’ (신) 사용
2. 발단 : 언더우드의 문제 제기
(1) ‘샹뎨’사용기 (1887-92)
(2) ‘여호와’와 ‘춤신’(이미지참조) 채택기(1893-94)
(3) 여러 가지 용어 실험기(1894-96)
(4) ‘텬쥬’와 ‘샹쥬’ 사용기(1897-1903)
3. 전개 : “‘텬쥬’냐 ‘하나님(이미지참조)’이냐”
(1) 1894년 상임성서실행위원회의 결정
1) 번역자회의 ‘텬쥬’ 채택
2) 선교사들의 ‘하느님’(이미지참조) 요구와 상임성서실행위원회의 타협
3) 타협안에 대한 반응들
(2) ‘텬쥬’와 ‘하느님’(이미지참조)의 공존 (1895-1904)
1) 성경 판본의 용례
2) 논쟁의 전개
4. 결말 : 유일신 개념의 "하느님’(이미지참조) 정착
(1) 존스의 ‘하늘’(이미지참조) 이해
(2) 게일-주시경의 새로운 ‘하느님’(이미지참조) 이해
(3) 게일의 신철자법과 신학월보의 ‘하나님’ 표기
(4) 유일신으로서의 ‘하느님’(이미지참조) 정착
IV. 번역이론 논쟁 (1916-1925)
1. 배경 : 구약의 개역과 언더우드의 사망
2. 발단 : 게일의 창세기 개역
(1) 게일의 조선어풍 번역론 형성
(2) 조선어풍 챵셰긔 개역과 어드맨의 사임
3. 전개 : “축자역이냐 조선어풍이냐”
(1) 개역자회의 논쟁
(2) 성서위원회의 축자역 지지
4. 결말 : 게일의 사임
(1) 게일의 독자적 번역
(2) 개역자회의 축자역 고수
V. 문체 논쟁 (1931-1932)
1. 배경 : 구역의 문어체와 구약 개역의 문어체
(1) 구역의 문어체
(2) 구약의 문어체 개역
2. 발단 : 신약 요한복음 개역의 구어체 번역
(1) 신약 개역자회의 조직
(2) 스톡스의 시험역 요한복음 개역의 출간
3. 전개 : 구어체냐 문어체냐
(1) 서북지방의 구어체 반대와 한국인 성서위원 임명 주장
(2) 성서위원회와 개역자회의 양보
4. 결말 : 문어체의 개역 성경 번역
VI. 맞춤법 논쟁 (1933-1939)
1. 배경 : 구역 성경의 맞춤법
(1) 초기 성경 맞춤법의 국문학적 기여
(2) 게일의 개정철자법에 대한 논의
2. 발단 : 조선어학회의 ‘한글마춤법통일안’ 성경 채용 건의
3. 전개 : 역사적 철자법이냐 신철자법이냐
(1) 조선어학회의 주장과 새 철자법 수용 운동
(2) ‘한글마춤법통일안’에 대한 서북계의 반대
4. 결말 : 역사적 철자법의 개역 성경 출판
(1) 장로회 총회와 성서위원회의 ‘통일안" 수용 결정
(2) ‘역사적 철자법’의 개역 성경 출판
VII. 결론
참고문헌
출처정보
출처 :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 220.5411 ㅇ343ㅊ
URL : 국회도서관에서 자료 이용하기 접속불량 신고하기
키워드
한글성경, 번역, 신학, 선교학, 교역학, 상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