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칭의의 단번성

일반자료      
쓰기 일반 자료 초기목록
분류별
자료보기
교리 이단, 신학 정치, 과학, 종교, 사회, 북한
교단 (합동, 고신, 개신, 기타) 교회사 (한국교회사, 세계교회사)
통일 (성경, 찬송가, 교단통일) 소식 (교계동정, 교계실상, 교계현실)

[신학] 칭의의 단번성


"단번에 주어진 칭의" 개념 손상

[ 기독신문 2006-09-05 오후 4:38:16, 조회수 : 146 ]



"지속적" 성화와 혼동하는 가톨릭 사상에 가까워


"칭의 교리 공동선언"에 대한 개혁파 신학자의 문제제기 ③

이 공동 선언 중에서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는 대표적인 구절은 제11항에 나오는 "칭의는 하나님과의 교제에로 받아들여짐이다. 이는 이미 현존하는 것이며, 또한 오는 하나님의 나라에서 온전히 있게 될 것이다(롬 5:1f.)"는 말이다. 칭의가 현존함을 말하는 것은 좋으나 이는 장차 온전해짐을 시사함으로 이는 개혁자들이 믿음으로 말미암는 칭의를 말할 때 강조한 "영단번"의 칭의 개념을 (최소한도로 말하면) 모호하게 하거나, (최대한도로 말하면) 부인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 공동 선언의 작성자들의 의도가 과연 어떤 것인지에 대해 심각하게 물어야 한다. 결국 이는 칭의를 말하지만 그것을 성화와 너무 밀접하게 연관시켜 말하므로 칭의와 성화를 혼동시켜 버렸다고 평가되는 전통적 로마가톨릭 사상에 가까이 갈 수 있는 여지를 주는 표현이 되기 때문이다. 제27항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은 아주 조심해서 말한다면 어느 정도 긍정될 수도 있다. "로마가톨릭의 가르침이 칭의하는 은혜에 의해 이루어지는 삶의 갱신을 강조하지만, 믿음, 소망, 사랑의 이 갱신은 항상 하나님의 측량할 수 없는 은혜에 의존하는 것이고, 그에 대해 그 누구도 자랑할 수 없을 정도로 칭의에 기여하는 바가 전혀 없는 것이다(롬 3:27)."


그러나 칭의와 성화(삶의 갱신)를 일단은 나누어 생각해야 한다. 칭의는 단번에 주어진 것이고, 성화(삶의 갱신)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를 좀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칭의와 성화를 혼동한다는 고전적 문제 제기가 항상 뒤 따르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로마가톨릭교회가 삶의 갱신이 칭의하는 은혜로부터 오는 것이므로 우리가 칭의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 없고 하나님 앞에 자랑할 것이 없도록 한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주장할 수 있기를 진정으로 바란다. 이 진술과 같이 철저히 하나님의 은혜로만 말미암는 구원을 끝까지 주장해 주기를 바란다.



글 = 이승구 교수 /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총신대·서울대대학원·영국세인트앤드류스대학교 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