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모든 국가고시·행사 평일 실시를 - 한기총 한복협 기윤실
국민일보 [2006.09.06 18:02]
기독교계가 신자들의 주일성수를 위해 각종 국가고시와 학교 행사를 평일로 지정해줄 것을 정부와 관계부처에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복음주의협의회와 한국기독교총연합회,기독교윤리실천운동 등 3개 단체는 6일 성명을 내고 검정고시와 초·중·고 교사 임용시험을 평일 체제로 전환할 것을 요청했다.
매년 두번 치러지는 검정고시는 1995년 이후부터 지난해까지 평일에 실시돼 오다 올해부터 두차례 시험 중 1회(4월 초) 시험이 주일로 정해졌다. 초·중·고 교사 임용시험도 1차 시험은 매년 11∼12월 사이 주일에 실시되고 있다.
이에 대해 한복협 회장인 김명혁 목사는 “종교의 자유 차원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의 노동환경 선진화에 따라 휴일권 보장은 일반적인 흐름”이라며 “주일에 시험을 치르지 말자는 수험자들의 요구는 설문조사를 통해서도 파악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국가인권위원회가 지난 6월 검정고시 응시자 978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평일 시험을 선호하는 비율은 60.5%로 나타났고,일요일 시험 선호자는 39.5%에 그쳤다. 김 목사는 또 “교사 임용시험의 경우 응시생 대부분이 현재 대학교 4학년생이거나 학원을 다니는 준비생”이라며 “고사장 확보만 된다면 토요일이나 기타 공휴일로 시험 일정을 충분히 바꿀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들 시험을 주관하는 정부 측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 교육복지정책과 담당자는 “종교의 자유를 본질적으로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야학 단체 등의 주장과 형평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야학 단체들은 “검정고시 응시자 상당수가 직장을 가진 영세민인데 이들 형편상 모두 평일에 시험을 치르는 것은 수험자를 무시하는 처사”라며 반발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도 임용시험과 관련,“평일 수험장소 확보가 어려워 일요일 시험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교계 단체들은 인권 단체들과 연대해 국가고시의 평일 시험 추진 운동을 지속할 계획이다. 기독교계를 중심으로 꾸준히 추진해온 이 운동은 올해부터 5·7·9급 등 일반 공무원 시험을 평일 시험으로 전환토록 한 정책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
--------------------------------------------------------------------
교계, 국가고시 평일실시 촉구
[ 기독신문 2006-09-12 오후 7:21:36, 조회수 : 30 ]
교계 단체들이 정부에 검정고시 교사임용시험 등 국가고시를 평일에 실시할 것을 촉구했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 한국복음주의협의회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은 9월 6일 성명을 발표하고 "올해 변경된 일요일 시험원칙을 평일에 재변경하라"라고 요구했다.
1995년부터 10년 동안 평일에 실시됐던 검정고시는 올해 갑자기 주일로 변경돼 치러졌고, 초·중·고 교사임용시험도 주일에 실시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검정고시 응시자들은 독학생이 많아 생업 문제 등으로 평일시험이 어렵고, 평일에는 시험 장소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을 이유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지난 6월 국가인권위원회가 검정고시 응시자 978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0.5%가 평일 시험을 39.5%가 일요시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임용시험의 경우, 응시자 대부분이 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 후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수험생인 점에서 평일시험이 더 타당하다는 분석이다.
한기총 등 단체들은 "고사장소만 마련된다면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는 측면과 함께 국민들의 휴일 보장 차원에서도 평일시험이 더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박민균 기자 (min@kidok.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