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 이단 연구 7단계, 이단 관련 저서 총람...[1]
이영호 목사 (현대종교 편집위원)
이단연구서를 읽으면 분별력이 생기고, 따라서 안타까운 마음이 샘솟듯 하는데 막상 내가 바른 신앙심에 불타서 이단성을 밝히려고 하면 엄두가 안 날 뿐 아니라 또 글을 쓴다 하더라도 하다보면 지루하고 지쳐서 중도에 그만 두기가 쉽다. 이에 본인이 사용하는 「7단계 이단연구방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이단을 연구하는 모든 분들은 다음 7 단계 작업을 따라 진행하면 좋은 이단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괜히 영웅심에 사로잡혀 근거 없는 주관적 비판을 하다가는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으로 피소되어 이단연구는 커녕 오히려 다른 이들의 이단연구까지 위축되게 하는 일이 되고 말 것이다. 먼저 이단 분석하는 글을 쓰는 분들이 알아야 할 것은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이 무엇인가를 알아야 한다.
● 명예훼손이란
① 공연한 사실을 적시하여 사람의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와
② 공연히 허위 사실을 적시하여 사람의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가 있는데
③ 공연히 허위사실을 적시하여 사자의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도 있고,
④ 사람을 비방할 목적으로 신문, 잡지, 또는 라디오 기타 출판물들에 의해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가 있다.
⑤ 그러나 명예훼손의 행위가 진실한 사실로서 오로지 공공의 이익에 관한 때에는 처벌의 예외가 됩니다.
여기 “공연히” 라는 말은 불특정 또는 다수 인이 알 수 있는 상태에 있다는 의미이고, “사실을 적시한다” 함은 사람의 명예를 떨어뜨릴 수 있는 성질의 구체적 사실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구체적 사실을 나타내지 않으면 아니 되는 점에서 모욕죄와 다르나 적시된 사실이 반드시 어느 특정인에 관한 것이 아니면 안 된다. 그리고 출판물(라디오)등에 의한 경우에는 비방할 목적이 있어야 한다. 적시된 사실은 반드시 진실한 것을 요구하며 그 사실이 공공의 이익에 관한 것이거나 또한 그 목적이 공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고 인정될 경우에는 처벌하지 않는다.
그런데 명예훼손은 친고죄로서 그 명예가 훼손된 자의 명시한 의사에 反하여 논할 수 없으므로 처벌 할 수 없다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다. 그러므로 사실에 입각한 분석비판과 변증을 해야 하는데 그 방법을 아래에 소개한다.
Ⅰ. 이단 연구의 7단계 방법
제 1단계 작업 - 자료수집 (저서, 테이프, 설교 )
이단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확실한 자료 수집이다.
이단 비판을 추측으로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단 분석을 하려면 이단에서 발간한 자체 자료를 근거로 해야하기 때문에 이단의 공식 및 출처가 확실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런 자료들은 개인적으로도 폐기해 버리고, 교회는 더더욱 보존하지 않는다. 더욱이 어떤 도서관도 이런 책들은 대부분 비치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간혹 보관하고 있다면 그저 기독교서적 인줄로만 알고있기 때문일 경우이고, 그것도 헌책방에 한 두 권씩 있을 뿐이다. 이 헌책방도 운영 난으로 점점 폐쇄되어 가고 있는 실정으로 다음과 같은 곳에 가면 이단자료를 더러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곳에도 우리를 기다려 주지 않는다. 그러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찾아가 나오는 즉시 입수해야 한다.
1. 서울지역
① 크리스챤 중고서적 센타 (동작구 사당동 총신앞 - 02-3474-5594. h.p 016-357-5591)
② 책 창고 (강남 학여울 전철역 은마아파트 후편-02-557-1616. 성남지점 031-719-2939)
③ 신고서점 (이문동 외대 북편 인근 - 02-960-6423. 3293-5208. h.p 016 - 237 - 5208)
④ 경안서점 (중구 흥인동 - 02-2235-1343)
⑤ 뿌리서점 (용산역 인근 용사의 집 남쪽골목)
2. 인천지역
① 아벨서점 (동인천역 시장 남쪽 근거리. 032-766-9523)
3. 안양지역
① 안양고서적 백화점 (21세기 아울렛백화점 북쪽골목. 031-445-0972. h.p 019-334-6431)
② 동문서림 (안양YMCA 건너편-031-385-1667)
4. 성남지역
① 학사서점 (성남 한신코아 옆- 031-745-6917)
② 대명서점 (중원구 중동 중소기업은행 맞은편 031-731-7020. h.p 017-235-7020)
5. 대구지역
① 삼성 서점 (대구역전 인근 - 053-253-1378. h.p 012-707-0233)
② 대륙서점 (동인동 - 053-423-1836. h.p 011-810-7801)
③ 평화서점 (동인동 - 053-422-3324)
6. 대전지역
① 역전 시장 통 골목
7. 청주지역
① 헌책백화점 (우암초등학교 옆. 043-223-6385)
② 대성서점 (043-223-0636)과 중앙극장 골목.
8. 천안지역
① 뿌리서점 (복자여고 앞 041-563-9129)
② 헌책서점 (뿌리서점 길건너편 -041-556-2926. 016-413-2922.)
9. 전주지역
① 전북재고도서 활인 전문센타 (팔달로 미도 안경점 지하 063-282-1756. h.p 011-416-1756)
② 인근 헌책방 골목.
10. 마산지역
① 영록서점 (자유수출후문 건너편. 051-247-8586, 297-8482. h.p 011-560-8489)
특히 상담을 할 때에는 믿을만한 정확한 자료에 의한 상담을 할 것이고, 반드시 상담자의 동의를 받아 녹음을 해둘 필요가 있다. 이단들이 법적으로 괴롭힐 것에 철저히 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실한 자료 수집과 진실에 의한 비판을 통해서 바른 신앙을 제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문서를 받을 경우에는 공인성이 없는 것은 제공자의 확인 서명을 받아두는 것도 필요하다.
제 2단계 작업 - 문제내용 발췌
이단연구 제2 단계의 작업으로는 자료를 읽어 가면서 문제되는 내용을 책이나 녹음 테이프에서 무작위로 발췌해 내는 것이다. 이를 발췌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문제 부분을 복사할 경우에는 표지와 목차 그리고 뒷면 (출판 년도와 출판사가 인쇄된 부분)을 복사할 것이고, 녹음을 할 때에는 문제가 되는 부분을 따로 녹음하는 것인데, 이때 유의할 것은 앞 부분인가 뒷부분인가를 따로 기록해 구분해 둠으로서 취재의 근원을 분별 할 수 있게 하고, 테이프의 제목, 일시, 번호를 기재하되, 한 테이프일 경우에는 上, 中, 下로 구분해서 기록함도 좋다. 녹음을 마친 후에는 비상용으로 따로 하나를 더 복사해 둘 필요가 있다. 이런 작업은 많은 시간을 요한다. 책의 경우에는 문제의 부분을 목차에서 대별해 찾아 낼 수도 있는데 속독으로 읽어 책 내용에서 찾아내는 기술이 필요하다. 많은 책을 정독하기는 어려운데 할 수 있으면 좋지만 속독을 하려면, 눈을 책장 중심부분에 고정하고 좌우로 살펴 내려 가다가 문제성 단어가 발견되는 부분에서 필요한 부분만큼 전후로 살펴 관련 부분을 정독을 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책을 읽으면서 난 외에 메모를 하거나 색종이로 끼워 표시하였다가 다 읽은 후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제 3단계 작업 - 주제별 분류.
이단연구 제3 단계의 방법으로는 앞서 발췌한 내용만을 적당한 주제별로 분류해야 한다. 이 주제는 일반적인 것으로 할 수도 있고 그 자료만의 문제로 구분해서 모을 수도 있다. 이렇게 얻은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그것을 따서 주제별로 옮겨 모으면 쉬울 것이다. 이때 부분 내용마다 그 출처를( ) 속에 틀림이 없도록 명기해 두면 주석을 붙일 때 편리하다. 만일 이 작업에 실수가 생기면 모든 책을 뒤져서 주를 달아야 하므로 엄청난 시간의 낭비를 가져 올 수가 있다. 더러는 이 문제가 엄청난 손해 배상도 걸려있는 문제일 수도 있다. 훗날 법적 문제가 되거나, 훗날 더 깊은 연구를 위해 원문을 참조 하고자 할 때 출처가 불분명해 큰 곤욕을 치르는 수가 있을 수 있다. 때로는 출처 불분명한 즉 근거 없는 허위사실 유포가 될 수도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그러기 때문에 단계마다 자료 출력을 해 두어서 보관해 두면 문제가 생겨서 필요할 때마다 요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제 4단계 작업 - 다른 이단과 비교 확인
이단연구 제 4단계의 작업은 분류된 주제별 내용이 어떤 이단과 같거나 비슷한가를 가려내는 작업이다. 그동안 기성교회가 정죄한 기존의 이단성과 같은 내용을 가려서 비교함으로 이단성을 밝혀내는 것이다.
성경을 들어 일일이 공박함으로 시비를 가리려는 것은 오히려 더 혼란스러운 시비를 불러일으키지만 비교작업은 우리가 이단이라고 규정하지 않아도 단순 비교하는 것만으로도 독자가 이단성을 판단하는데 큰 효과가 있고, 이렇게 할 경우 분석비판 하기가 훨씬 더 손쉬워 진다.
이단들도 성경으로 이단설을 주장하는데 연구가들도 이를 성경으로 반증 비판할 때 그것이 정도이기는 하나 일반적인 독자들이 판단을 하기에 혼란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이단과의 비교 확인은 독자들이 발빠른 판단을 하기에 아주 좋은 방법이라고 본다. 이것을 필자는 ‘비교 이단론’이라 칭한다. 비교분석은 정체를 분별하기에 가장 빠른 방법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것은 그렇게 말처럼 쉬운 것이 아니다. 교주가 혹은 문제의 인물이 어디서 누구에게 영향을 받았는가를 알면 쉬운데 그의 신앙 이력을 검토해야만 가능하고 그 다음 뚜렷한 것을 비교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 문제의 이단에 대한 기본 이해가 없이는 불가능 한 것이므로 폭넓은 공부가 필요하다.
제 5단계 작업 - 기존의 정통입장 수집 확인
이단연구 제 5 단계의 작업은 나의 지식으로 하기보다 앞서서 파악하고자 하는 그 이단설에 대해서 기존의 정통 신학적 입장과 비판적 여러 가지 견해를 파악해야 한다. 이 문제에 대해서 남들은 어떻게 보는가를 모른 채, 자기 주관식으로 비판을 하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또 다른 이단설에 빠지는 실수를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기존의 정통 식학적 입장 모두가 연구하는 자 입장에서 100 % 옳다고 볼 수 없는 부분이 있겠으나 그럴 경우에는 반론적 자기 입장을 심도 있게 검토한 후 다른 비판과도 비교하면서 자기 주장을 펴야 한다. 우리는 이 정통적 비판 입장의 범위를 이탈하지 아니하는 최대한의 노력을 기우려야 한다.
이 작업에서 연구자는 광범위한 분야와 부분을 다시 한번 공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는 이단의 자료 수집보다도 더 중요한 것이 이 분야의 자료 수집일지도 모른다. 대개는 책으로 구해서 파악 할 수가 있겠으나 각 출판사에서 취합한 월간지나 논문제목을 발췌해 책으로 엮어 낸 목록 책을 먼저 수집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수집된 책의 안내를 받아 각 대학의 도서관을 찾아가 필요한 부분을 복사해서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참고로 소개하면, 나눔사에서 발간하고 한국신학도서관 협회에서 펴낸 신학문헌서지총서로 『한국 신학관계 석. 박사학위의 논문 목록 집』이 있고, 교보문고에서 펴낸 『철학. 종교관계 문헌 목록』이 있으며, 박종호 편으로 총신대 출판부가 발간한 『한국신학 논문 총 색인』이 있고, 각 월간지 별로 펴낸 주요 논문 목록 표와 같은 것이 있다.
제 6단계 작업 - 성서적, 신학적 비판 수위 조절.
이단연구 제 6단계는 위의 작업을 바탕으로 자기의 분석과 성서적 혹은 신학적 비판을 인용하는 것이다. 자기 교단에서 필요로 하는 비판이 아니라면 자기 교단을 중심으로 일방적인 비판을 할 것이 아니라 폭넓은 분야에 의견을 참고해야 한다. 여기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책들은 교회사, 교리사, 신앙고백서, 등일 것이다.
제6 단계 작업 중에는, 이단자 자신의 주장으로 그 자신의 모순점이나 이단성을 증명해 주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면 그 교주의 이단론으로 이단성을 증명하는 것이거나, 문제가 되는 그 인물이 소속한 교단의 교리나 신앙고백으로 비판하는 방법도 있다. 그럴지라도 이단이라는 말의 사용은 삼가 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이단이란 기본적으로는 반 성서적이기는 하나 최소한도 자기교단 교리와 달랐을 경우를 지칭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기 때문에 우리는 “비성서적” 이라거나 “이단성” 이 있다거나, “ ‘OO 이단’ 과 유사하다.” 하거나, “정통과 다르다”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주장하는 바가 그의 소속교단과 같아도 그 교단 자체가 이단이라면 이는 해당되지 않는 것에 적용되는 것이다.
최소한 이단규정은 일반적으로 그의 소속 교단에서 내리도록 밝히는 일만이 우선하나, 이것도 일부 부패한 정치인들이 이단을 비호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단연구에 공인들의 연구 모임인 협의회 결과로 그 다음 관계 기관이나 당사자가 분별하도록 돕고 더 나아가 이단의 미혹 예방 대책 차원에서 이를 한국교회에 알리고 경계하도록 밝히고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단연구에서 주의할 것은 ‘남의 말’ 과 ‘내말’ 을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 주장과 구분해서 남의 말을 인용할 경우 인용의 부호를 정확히 하라는 말이다. “ ”표를 분명히 삽입해야 하고 난 외 주석(각주 혹은 미주)을 꼭 달도록 해야한다. 이런 글일수록 신뢰받는 글이 되고 정직한 글이 되며 책임 있는 글이라 할 수 있고 권위 있는 글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렇게 하지 않는 글일수록 가치 없는 글일지도 모른다.
제 7단계 작업 - 출력, 문장 교정, 교열 작업.
이단연구 제 6단계의 작업이 완료되면 이를 출력하여 전체를 한눈에 보면서 교정과 교열을 해야한다. 이때 문장의 연결을 자연스럽게 하고, 특히 긴 문장이 되지 않도록 해야하고 한자 용어는 한문을 ( )속에 표기하고 영문은 ( )속에 영문 표기를 하되 이 모든 것은 독자에게 혼란이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청탁 원고에서 중요한 것은 활자체나, 글자의 크기, 내용의 분량에 대한 조절이다. 그래서 적당한 분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진의 크기나, 활자의 크기로 할 수가 있다. 교정 작업은 혼자 하는 것은 위험하고, 한번만 보는 것도 위험하다. 여러 차례 여러 사람이 혹은 컴퓨터로 할 수 있는데 컴퓨터로도 아니 되는 부분이 있다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특별히 권위 있는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는 일은 빠뜨리지 말아야 한다. 초보자의 경우 더 더욱 특별히 조심 할 것은 법적 시비가 되지 않도록 법률적 자문을 받는 일이고, 이름의 경우에는 가능한 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OOO으로 표기하는 것이 무방할 것이다.
Ⅱ. 이단 연구서 283권
1. 1947-1970 년도
1) 『단군신화의 新연구』김제원 저 정음사 . 1947.
2) 『화랑도 연구』이선근 저. 서울 동국문화사, 1949
3) 『사회악과 사교운동』(박태선 잡단의 해부) 김경래 저. 기문사. 1957.
4) 『이단과 현대의 비판과 우리생활.』신사훈 저 새싹교회 1957.
5) 『자칭 감남나무를 따르는 옛 교우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나운몽 저. 기드온 성서연구원 . 1957.
6) 『이단의 정체』김의환 편. 세종문화사.
7) 『동방 의인과 감람나무의 성경해명』권남선 저. 한국복음 성광출판부. 1958.
8) 『신교와 구교와의 다른점』A.G. 레이놀드 저. 이호운 역. 대한기독교서회. 1958.
9) 『비교종교론』 채필근 저. 대한 기독교서회 1960.
10) 『기독교 변증학』박형룡 저. 성암문화사. 1961.
11) 『제7일안식일 예수재림교회의 거짓된 교리들』 최반석 저. 신망애사. 1961.
12) 『신비경험 연구』 이일선 저. 현대사상사. 1961.
13) 『안식교는 과연』안토니 회게마 저 손주철 역. 생명의 말씀사. 1962
14) 『신흥종교와 이단들』로날드, 엔로드 공저 생명의 말씀사. 1962
15) 『우리 주변 종교』 윤성범 저 대한기독교 교육협회. 1965.
16) 『한국 신흥 및 유사종교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인에 의한 최초의 신종교 종합보고서이다.
1969-1970년까지 문화공보 주관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정리한 것이다. ]
조사위원장은 장병길, 위원은 문상희, 박양운, 서동익, 이강오, 이기영, 류병덕,이다.
2. 1971- 1975 년도
17) 『무엇이 다른가 』프리츠.리데나워 편. 생명의 말씀사. 1971.
18) 『한국의 오순절 신앙운동사』 변종호 저. 신생관. 1972.
19) 『세계유사 기독교』신현국 저 유사기독교연구회. 1972.
20) 『이단종교 비판』 고든 알 루이스 저. 한국 개혁주의 신행 협회. 1972.
21) 『신비주의』세종문화사. 1972.
22) 『한국의 종교』 문화공보부. 1972.
23) 『대 세계백과 사전』 태극출판사. 총16권중 1973.
24) 『한국종교총감』 주간종교사. 1973.
25) 『이것이 박태선 전도관이다』김경래 저. 신흥종교문제연구소. 1974.
26) 『한국신흥종교』류병덕 저.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74.-
27) 『동방교의 신도교육에 관한 비판적 고찰』탁명환 의 연합신학대학원 석사논문. 1974.
28) 『사교란 무엇인가 ?』엘럼 W. 곰즈 공저 장미숙 역. 은성. 1974.
29) 『세칭 구원파의 정체』 탁명환 편저. 신흥종교문제연구소. 1974.
30) 『진화론을 승인할 것인가 ?』죠하네스 지보스 저 윤종하 역, 한국개혁주의 신행협회. 1974.
31) 『성서에 비추어본 통일교 원리의 이단』주염흠 저. 예수교대한성결교회. 1975.
3. 1976 - 1980년도
32) 『신흥종교 의 세계』탁명환 저. 신흥종교문제연구소. 1976.
33) 『현대의학에 도전하는 신앙치료의 비밀』 윌리암 A. 노오런 저. 구범찬 역. 운진문화사 . 1976.
34) 『여호와의 증인정체』원세호 저. 요단 출판사. 1976.
35) 『여호와의 증인』주재용 편저. 한국 기독교 교회 협의회.
36) 『이단종파연구』 박영관 저 1권(76년) 2권(81년) 3권(91년) 4권(94년)
1권은 6개 이단, 2권은 9개 이단, 3권은 주요 문제 이단설을,
4권은 한국의 정신문화와 샤마니즘을 비롯한 10개 집단을 다룬다.
37) 『현대 기독교의 이단』탁명환 외 1 인 공저. 국종출판사. 1977.
38) 『말세와 점성술』래느 누르 베르겐 저. 권명달 역 보이스사. 1977.
39) 『세계의 신흥 종교』 파울 B. 스미스 저 김항식 역. 세종문화사. 1978.
40) 『오순절 운동 비판』 레이몬드 저. 나용화 역. 개혁주의 신행 협회, 1978.
41) 『창가학회란 ?』 최은 묵 저. 성광문화사. 1978.
42) 『동방으로 전래된 기독교』오윤태 저. 혜선문화사. 1978.
43) 『이슬람교란 ?』 G.E 캐리슨 저 임홍빈 역. 성광문화사. 1978.
44) 『한국기독교 대사전』 박용규 저. 성은출판사. 1978.
45) 『통리교의 실상과 허상』 원세호 저. 국제종교문제연구소. 1979.
46) 『세칭구원파의 정체(공)』 원세호 탁명환 공저. 국제종교문제 연구소. 1980
47) 『통일교원리비판』조태영 저 복음 출판사. 1979.
48) 『신흥종교 실태조사 보고서』(기독교편) 국제종교문제연구소 편.
1980년. 탁명환은 이 보고서에서 36개 기독교 이단집단을 소개하고 있다.
49) 『단군과 화랑의 역사와 철학』안호상 저. 사림원. 1979.
50) 『인민사원의 자살파티』aktif 킬더프/ 론 제이버스著.탁명환/이홍근譯.국제종교문제연구소刊.1979.
51) 『한국인이 아랍국가에 제출한 100문답』사우디 아라비아 이슬람 문화센타. 1980
52) 『종교인의 갈길과 이단』 김종일 저. 한국 종교연구소. 1980.
53) 『세계의 별난 종교들』 백남철 저 윤진문화사. 1980.
54) 『베뢰아 귀신론 비판』최삼경 저. 기독교문화협회. 1980.
55) 『이것이 몰몬교다』 김순명 저. 국종출판사. 1980
56) 『불교와 기독교의 비교연구』유재신 저.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0.
57) 『세계 기독교 교파사전』 정성훈 박기원 공저. 성도출판사. 1980.
4. 1981 - 1985년도
58) 『서울 계룡산』탁명환 저 국종출판사. 1981.
59) 『지옥에서 온 편지』 탁명환 저 국종 출판사. 1981.
60) 『사교왕국의 시녀들』탁명환 저 국종 출판사. 1981.
61) 『한국기독교 와 신흥종교』 김종일 저. 한국종교연구소 1981.
62) 『진화는 과학적 사실인가 ?』창조과학회 편 1981.
63) 『한국인 종교의 흐름』탁명환 윤성범 공저.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81
64) 『십자가를 끌어내린 사람들』이일남 저. 국제종교문제연구소. 1981.
65) 『교주님의 여인 천국』 김학렬 저. 팔도문화사. 1981.
66) 『한국교회 성령운동의 현상과 구조』서광선. 정진홍. 한완상.김광일. 저 크리스챤 아카데미. 1982.
67) 『천도교 비판』강부응 예수교 문서 선교회. 1982.
68) 『몰몬교는 기독교인가 ?』고든 프레서 저. 생명의 말씀사. 1982.
69) 『기자가본 한국종교』홍창덕 저 종합예술 출판사. 1983.
70) 『한국설화의 원시종교 사상연구』박용식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인문대학원. 1983.
71) 『어떻게 이단들에게 대답해야 할까 ? 』 로버트 타산피노 외 2인 공저. 탁명환 역. 엠마오. 1983.
72) 『세계종교들에 대한 기독교적 비판』요하네스 저. 한성수 역. 총신대학 신학대학원. 1983.
73) 『통일교 그 천사와 총칼』 오효진 저. 동광출판사. 1983.
74) 『야록 통일교회사』박정화 저. 큰샘출판사. 1983.
75) 『비뚤어진 성경해석』 제임스 사이어 저. 박우석 역. 생명의 말씀사 간. 1983.
76) 『외경해설』 백동섭 저. 중앙문화사. 1983.
77) 『한국 의 무』조홍윤 저. 정음사. 1983.
78) 『천주교회란』 원세호 저. 국종출판사. 1984.
79) 『천주교는 과연』 허버트 카이슨 저. 생명의 말씀사. 1984.
80) 『기독교와 세계종교』 송흥국 저 한국문서선교회. 1984.
81) 『이단과 악령의 정체』 정석기 저. 혜민 출판사. 1984.
82) 『천주교는 과연 기독교인가 ?』 유선호 저. 하늘기획. 1984.
83) 『한국신종교 실태조사보고서』
1970년 문화공보부에서 종합 조사를 실시한후 15년 만인 85년 실시한 종합보고서이다.
위원장 장병길, 조사위원 류병덕 김홍철 강돈구 이고 연구위원으로는 윤이흠이 위촉되었다.
조사종교는 177개이며 1028면의 분량이다.
84) 『한국카톨릭대사전』한국교회사 연구소. 1985.
85) 『이것이 이단이다』 데이브 브레이즈 저 김지찬 역. 생명의 말씀사. 1985.
86) 『천주교를 배격하는 7가지 이유』유선호 저. 할렐루야 서원. 1985.
87) 『몰몬교』김종일 저 한국종교연구소. 1985.
88) 『한국 의 신흥종교』 박기민 목사 저. 혜림사. 1985.
89) 『이것이 이단이다』데이브 브리이즈 저 김지찬 역 생명의 말씀사. 1985.
5. 1986 - 1990년도
90) 『비교종교』김종일 저. 한국종교연구소. 1986.
91) 『여호와 증인이란 이렇다』 최백룡 저. 이단종교방지협회 1986.
92) 『통일교 정체』김종일 저. 한국종교연구소. 1986.
93) 『통일교(문선명 그실상과 허상』손충무 저 문학예술사. 1986.
94) 『외래신흥종교』 박기민 저. 혜림사. 1986.
95) 『사탄의 전술 전략』 쿠르트 코흐 저 이중환 역. 예루살렘. 1986.
96) 『15세기 이전에 동방에 온 전교사』서양자 수녀 저. 게성. 1986.
97) 『통일교에 대한 성경적 답변』최순직 저. 기독교문서선교회. 1986.
98) 『심령수술의 실상』일본 심령학회 편. 김윤숙 역. 우석. 1986.
99) 『기독교이단연구』탁명환 저 구종출판사. 1986.
100) 『일본의 신흥 종교와 민족종교』 森山論 저. 우정 역. 국제신학연구소. 1987.
101) 『창조론 對 진화론』토마스 레인즈 저. 권달천 역. 생명의말씀사. 1987.
102) 『한국의 신흥종교』1-4권 탁명환 저. 1권: 72년 간. 11개 집단. 2권: 73년 간.
동방교. 3권: 74년 간. 15개 집단. 4권: 87년 간. 18개 집단을 소개하고 있다.
103) 『이단종파의 정체』김순명 저. 미주크리스챤 신문사. 1987
104) 『기독교 이단론』강문석 저. 성광문화사. 1987.
105) 『세속종교』『오컬트』죠쉬 맥도웰. 죤 스튜어트 공저 기독지혜사. 1987.
106) 『이단종파』『오컬트』죠쉬 맥도웰. 죤 스튜어트 공저 기독지혜사.1987.
107) 『이방종교』『오컬트』죠쉬 맥도웰. 죤 스튜어트 공저 기독지혜사. 1987.
108) 『로마 카톨릭주의의 정체』 랄푸 우드로우 저. 할렐루야서원. 1987.
109) 『구원파 침례회의 정체』원세호 저. 국제신학연구소. 1987.
110) 『단군신전과 신사 참배』 김명혁 편 한국복음주의 협회. 1987.
111) 『문선명 정체』김명희 저 한일사. 1987.
112) 『베뢰아 귀신론 비판』원세호 저. 국제신학연구소. 1987.
113)『베뢰아 마귀론의 정체』 원세호 저. 국제신학연구소. 1987.
114)『이단을 확인하는 법』 원세호 저. 국제신학연구소, 1987
115) 『사탄의 오른팔』박문정 저. 지혜문화사. 1987.
116) 『뉴에이지 혁명』 매릴린 퍼커슨 저 김용주 역. 1987.
117) 『일제하의 한국교회 소종파 운동사』김남식 저. 새순 출판사. 1987.
118) 『한국의 원시 신앙』유명종 저. 동아대학교 출판부. 1987.
119) 『이슬람사상』함무다 압달라티 저. 한국이슬람교중앙회. 1987.
120) 『한국의 신흥종교』 노길명 저. 카톨릭 문화사. 1988.
121) 『여호와 증인을 벗긴다』 기문사. 1988.
122) 『안개속의 통일교』음국배 저. 자유문고. 1988.
123) 『구원파란 무엇인가』최삼경 저 규장문화사. 1988.
124) 『주요이단종파 비판』탁명환 저 국제종교문제연구소. 1988.
125) 『고대중동종교』 최의원 저. 실로암. 1988.
126) 『외국 종교의 제도』문화공보부. 1989.
127) 『한국의 종교』문화공보부. 1989.
128) 『통일교 원리비판』원세호 저. 국제신학연구소. 1989.
129) 『천주교는 왜 이단인가?』 원세호 저. 국제신학연구소 1989.
130) 『새시대운동의 비밀』텍스마스 저. 신국진 역. 문진당 1989.
131) 『지방교회 정체』전영복 저 교회교육연구원 1989.
132) 『미혹의 사람을 주의하라』조기홍 저. 소문 출판사. 1990.
133) 『이것이 추수꾼의 실상이다』 심만섭 저. 추수꾼 피해자 모임. 1990.
134) 『세계의 종교들』90년 이현갑 저. 청파. 1990.
135) 『다른 복음은 없다』이대복 박영관 저. 예수교 문서선교회. 1990.
136) 『대순진리회의 정체』 증산도 전국청년신도 연합회. 1990.
137) 『기복신앙의 신학적 비판』한춘근 저 엘 맨. 1990.
138) 『아시아고대 기독교사』이장식 저 기독교문사. 1990.
139) 『통일교는 기독교인가 ?』개신교문선명 집단 대책위원회 편. 임마누엘. 1990.
140) 『엘리야복음선교원의 정체분석』 국종출판사. 1990.
141) 『도교란 무엇인가 ? 』 주정충부 외. 최준식 역. 민족사. 1990.
6. 1991 - 1995년도
142) 『기독교이단제설』강문석. 김일천 저. 칼빈서적. 1991.
143) 『진리와 오류를 어떻게 분별할까 ?』제이 애담스 저 전준식 역. 생명의 말씀사, 1991.
144) 『이단과 신흥종교 그 주변의 여인네들』 탁명환 저.
91년. 「신흥종교와 여인들」「한국교회와 이단의 실상」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145) 『한국의 신흥종교와 실상』 탁명환 저. 국종출판사. 1991년
146) 『박명호 엘리야교 과연 기독교인가 ?』김상석 저. 풀빛목회. 1991.
147) 『무교회 주의』한숭흥 저 두란노. 1991.
148) 『베뢰아 이단연구』이원열 저. 국제기독교이단연구학회. 1991.
149) 『사탄숭배의 정체』서달석 저. 새명의 서신. 1991.
150) 『기독교속의 미혹』데이브 헌트 / 맥마흔 공저. 포도원. 1991
151) 『한국기독교 문학사 고찰』(上代) 황양수 저 기예문관. 1991.
152) 『미혹을 뛰어넘어서』데이브 헌트 저. 포도원. 1992.
153) 『유사종교 연구』Ⅰ-Ⅳ권 예장 총회 출판부 간 1992.
154) 『정통과 이단』 이형기 저. 한국장로교 출판사 간. 1992. 정통기독교 몇 이 집단을 소개.
155) 『마지막시대 의 미혹』이종일 저 무림. 1992.
156) 『입 신』전민수 저. 할렐루야서원. 1992.
157) 『이초석과 이장림 정체』 현대종교 편집부. 국종출판사. 1992
158) 『뉴 에이지 운동연구』 박영호 저.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2.
159) 『뉴 에이지 운동평가』 박영호 저. 기독교문서 선교회. 1992.
160) 『뉴 에이지 운동과 영매』박영호 저. 기독교 문서선교회. 1992.
161) 『박명호 엘리야교 왜 이단이라 하는가 ?』손기태 저. 마라나다 예언연구원.. 1992.
162) 『한국민족종교총람』한국민족종교협의회 편에서 3년여에 걸쳐 자료수집을 하고
집필진에 의뢰하여 92년 간행 52개 집단을 소개하고 있다. 신국판 763면.
163) 『한국 신흥종교 총감』 이강오 저. 92년 대흥기획. 전북대교수로서
30여년간 현장자료를 집대성한 것이다.
4.6배판 1606면으로 문화공보부에 자신이 보고한 내용들을 모아 편집했다.
164) 『신흥종교 와 이단』 윤민구 저. 한국천주교 중앙협의회. 1992.
165) 『누가 이긴 자인가 ? - 에덴성회 비판』소현섭 저. 이단신학연구소. 1992.
166) 『사탄은 마침내 대중문화를 선택했습니다』 신상언 저. 낮은 울타리. 1992.
167) 『한국종교사상사』1-5권으로 연세대 출판부에서 95년 간행. 1992
168) 『이슬람이란 무엇인가 ?』잭버드 저. 중동선교회 역. 예루살롐. 1992.
169) 『비성경 휴거의 전말』개신교단협의회 사이비대책위원회 편. 선교신학연구회. 1992.
170) 『주여사탄의 왕관을 벗엇나이다』 김해경 저. 홍성사. 1993.
171) 『칼빈의 점성술에 대한 경고』 죤 칼빈 저. 김동현 역. 솔로몬. 1993.
172) 『여호와 증인에 사랑으로 전도하자』월버 링클 저. 임금선 역. 생명의 말씀사. 1993.
173) 『안식교의 5대 오류』진용식 저. 국종 출판사. 1993.
174) 『대중문화 최후의 유혹』 신상언 저. 낮은 울타리. 1993.
175) 『이단과 정통 무엇이 다른가 ? 』정동섭 저. 침례신학대학 출판부 1993.
176) 『교황제도에 대한 교회사적 비판』 이용섭 저. 들소리. 1993.
177) 『현대한국종교 변동연구』 한국 정신문화연구원편. 1993.
178) 『저들 녘에 이름 없는 들풀처럼』탁명환 저 국종출판사. 1993.
179) 『성령 수술의 정체』 김상석 저 세계기독교사회 연구학회. 1993.
180) 『한국 기독교사 자료집』Ⅰ-Ⅳ. 한국종교사회연구소 1993.
181) 『한국의 신선도와 불교』안창범 저 국학자료원. 1993.
182) 『종말론과 이단에 관한 자료모음』현대종교. 1993.
183) 『오대양사건의 실상-언론의 보도』국종출판사. 1993.
184) 『최순영씨와 그 일가 통일교관련 제1차조사보고서』 한기총 문. 대. 위. 1993.
185) 『종교다원주의와 세계종교』 해롤드 카워드 저 오강남 역 대한기독교서회 1993.
186) 『문선명 통일교집단』조병규 저. 문선명통일 섹스집단 개신교대책추진 준비협의회 .1993.
187) 『구원이 있는가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 편. 기독교 성결교회 출판부.. 1993.
188) 『가시나무를 겪어라』上. 下. 김준식 저. 덕수출판사. 1994.
189) 『한국종교연감』한국종교사회연구소. 1994.
190) 『한국교회 논쟁사』서정민 저. 이례서원. 1994
191) 『고대동방 기독교사』임정의 저. 대임 평신원. 1994.
192) 『엣세네 종파사』데이비드 풀러써 저 류재영 역. 예 본. 1994.
193) 『예수 평론가』 강영풍. 1994
194) 『현대신종교 이해』김종서, 박승길, 김홍철. 공저. 한국정신문화원. 1994.
195) 『여의도 순복음의 정체』김상석 저. 세계기독교사회연구학회. 1994.
196) 『단군 그 이해와 자료』서울대 종교문제연구소 편 서울대 출판부. 1994.
197) 『목사님 나무아미 타불이 뭐에요 ?』서재생 저 에영 커무니케이션. 1995.
199)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수 있나』탁명환 저 국종출판사. 1995.
200) 『박윤식과 대성교회』정정조 저. 울타리 출판사. 1995.
201) 『대순진리 무엇이 문제인가』 원세호 저. 국제신학연구소. 1995.
202) 『김기동 이단설 연구』 원세호 저. 국제신학연구소. 1995.
203) 『목사님 정신 차리소』이용섭 저. 움직이는 책. 1995.
204) 『성서적 관점에 비추어본 김기동의 귀신론 비판』이삼우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205) 『한국 종교의 의식과 예절』문화 체육부. 1995.
7. 1996 - 1999년도
206) 『계룡산』 96년 이길구 저. 대문사. 전 5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2부는 계룡산과 신흥종교라는 제목이 붙여있고
1984년 충남 6.20 사업이 있기까지와 이전 장소를 소개하고 사진까지도 담겨있다.
207) 『한국신흥종교연구』 노길명 저. 경세원. 1996.
208) 『한국신종교조사연구 보고서』한국종교연구회 간. 1996. 책임 : 윤승용. 연구원: 진철승, 이진구.
209) 『신종교 일람표』 과거 62년 이강오 조사 160개 집단.
74년 문공부 조사 180개 집단.
75년 탁명환 조사 301개 집단.
85년 탁명환 조사 404개 집단.
88년 한국새종교연구원 230개 집단
89년 김홍철 조사 408개 집단 등이다.
이강오는 92년 현재 신흥종교를 389개 집단으로 집계하고 있다.
210) 『이만희의 비복음 정체』 원문호 저. 임마누엘 출판사. 1996.
211) 『환생은 없다』한건산 저. 예진원. 1996.
212) 『복음의 변증』소재열 저. 말씀사역. 1996.
213) 『경 교』 이경운 저 동서남북. 1996.
214) 『올바른 신앙과 이단』 기독교 장로회 총회 교육원. 1996.
215) 『아리랑신학』정행업 저. 대한기독교서회. 1996.
216) 『빈야드 운동의 실체』 정동수 저. 생명의 샘. 1996.
217) 『빈야드 운동 무엇이 문제인가 ?』 김성봉, 오덕교, 이광희, 저. 교회와 신앙 . 1996.
218) 『빈야드 운동 평가』(토론토 축복 해부) 박영호 저 기독교문서선교회 . 1996.
219) 『토론토 축복 조사보고서』 스탠리잽 저 리의우 역 생명의 말씀사. 1996.
220) 『빈야드 운동 그 성경적 조명』최갑종 저. 개혁주의 신행 협회. 1996.
221)『이단의 분별과 교회침투예방』 원문호 저. 임마누엘출판사. 1997
222)『기독교와 이단들』심창섭 교수외 3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국편 1997.
223) 『안식일 대논쟁』최삼경 진용식 김대성 저. 교회와 신앙 . 1997.
224) 『이단문제연구』기장신학연구소. 1997.
225) 『사이비종교』위고 슈탐 저 송순섭 역 홍성사. 1997.
226)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사상』류동식 저.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7.
227) 『안식교 왜 이단이라 하는가 ?』원세호 저. 국제신학연구소. 1997.
228) 『무엇이 문제인가?』원세호 저. 국제신학연구소. 1997.
229) 『다락방 류광수 왜 이단이라 하는가 ?』박진규 저. 경향 문화사. 1997.
230) 『김계화의 정체』김정희 저. 큰 샘. 1997.
231) 『중국 소수민족종교신앙』 신현규. 허휘훈 저. 정신 세계사. 1997.
232) 『프리메이슨단』죠지 마디. 래리 니콜스 저. 은성. 1997.
233) 『다락방 운동 빈야드 운동의 분석 비판』총회 이단조사연구 위원회. 1997.
234) 『조용기 목사의 축복관에 대한 성경적 연구』 나경오 아세아연합신학 연구원 석사논문 1997.
235) 『현대종교』 1971년부터 탁명환 소장(국제종교문제연구소)이 월간으로 발행하고 있다.
236) 『교회와 신앙』원세호 박사 1대 발행인. 2대는 최삼경목사가 발행인으로 있으면서
1993년 10월부터 매월 발행하고 있다.
237) 『교회와 이단』이대복 소장(기독교이단문제연구소)이 94년 9월부터 매월 발행하고 있다.
238) 『이단종파』박영관 목사가 97년부터 시작해서 99년 여름호부터 정식 분기별로 발행하고 있다.
239) 『바른신앙』예장 유사종교위원회에서 1997년부터 매년 발행하고 있다.
240) 『진화론의 허구성을 고발한다』이태석 저 동서남북. 1997.
241) 『한국무속신앙과 한국교회』 서봉수 저. 1998.
242) 『조용기목사 이단정체』이대복 저. 큰샘. 1998.
243) 『하나님의 교회 안상홍 증인회는 과연』진용식 저.복음사역. 1998.
244)『기독교이단사이비연구대책협의회 정관』1998.11.10 제정 / 회장 원세호 박사
245) 『윤석전을 왜 이단이라 하는가 ?』원세호 저. 국제신학연구소. 1998.
246) 『이재록 이단정체』이대복 저. 큰 샘.. 1998.
247) 『연세중앙교회 윤석전의 이단정체』이대복 저. 큰샘출판사. 1999.
248) 『한국교회사에 나타난 이단논쟁』 정행업 저. 한국 장로교 출판사. 1999.
249) 『안상홍 증인회의 실체』 진용식 저 성산. 1999.
250) 『해방후 50년 - 한국종교연구사』한국종교학회 편. 도서 窓. 1999.
251) 『氣 무엇이 문제인가 ? 』 안정식 저. 죠이 선교회 출판부. 1999.
252) 『한국메시아 운동사 연구 Ⅰ』최중현 저. 백성. 1999.
253) 『세계교회사에 나타난 이단논쟁』 정행업 저 한국장로교출판사. 1999.
254) 『가계에 흐르는 저주 성경적인가』 소재열 저. 말씀사역. 1999.
255) 『불교.유교.기독교의 비교』감진규 저 기독교감리회 중생교회. 1999.
256) 『누가 이단인가 ?』 최삼경. 지방교회. 토론. 생명나무. 1999.
257) 『방언의 실체』윤명길 저 하늘기획. 1999.
258) 『통일교 원리 비판과 문선명의 정체』이대복 저. 기독교이단문제연구소. 1999.
259) 『윤석전이 이단이래? 이상하다 했드니』 원세호 저. 기독교이단사이비연구대책협의회 1999.
260) 『이단의 분별과 실재』 원문호 저. 이단분별의 제자화 운동본부 발행. 1999.
261) 『윤석전 이단논쟁사 진위 공개』 원문호 저. 이단분별의 제자화 운동본부 발행. 1999.
262) 『기독교한국침례회 「부흥사회」 이래서 되겠습니까』 원세호. 원문호.
이단분별의 제자화 운동본부. 1999.
263)『이단은 보호 / 지적자 제명 다수가결이 왠 말인가?』
원세호 원문호. 기독교이단사이비연구대책협의회. 이단분별의 제자화 운동본부. 1999.
8. 2000 - 현재
264)『이단의 비호자 분별』 원문호 저. 이단분별의 제자화 운동본부. 2000.
265) 『2000 년대 윤석전 양태론 주장 』上. 원 문호 저. 기독교이단사이비연구대책협의회.. 2000
266) 『2000 년대 윤석전 양태론 주장 』下. 원 문호 저. 이단분별의 제자화 운동본부. 2000
267)『2000 경기중재 50제소 결과 』원문호 저. 국제신학연구소. 2000.
268) 『문선명 통일제국의 멸망과 나의 빼앗긴 30년. 잃어버린 30년』박준철 저. 진리와 생명사. 2000.
269) 『한국의 종교단체 실태조사 연구』
국제종교문제연구소.연구원 - 정동섭.탁지원.정훈택.이영호.나원준.심우영. 2000.
270) 『종교학 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2000.
271) 『대순진리회의 비극』 증산도전국청년신도연합회. 2000.
272) 『류광수 다락방 어떻게 볼것인가 ?』국종출판사. 2000.
273) 『킹 제임스 버전 성경의 오류』D.A Carson 저. 송병현. 박대영 역. 이레서원.. 2000.
274) 『단군의 실체와 그 이해』허태선 편저 2000.
275) 『윤석전 이단논쟁 하권』 원문호 저. 국제신학연구소. 2001.
276) 『한국기독교신비주의 원류와 162 選 종교집단?사상개요』
이영호 박사학위 논문(카나다 크리스챤 칼레지) 2001.
277) 『교황대신 예수를 선택한 49인의 신부들』리처드 베닛 외 1인 편저. 이길상 역. 아가페 . 2001.
278) 『교회사에 나타난 이단 과 정통』해롤드 O. J. 브라운 저. 라은성 역. 그리심 刊. 2001.
279)『여호와의 증인에 관한 변증서』이단변증시리이즈 1.
원세호 저. 기독교이단사이비연구대책협의회 2001
280)『베뢰아파 주장에 관한 성경적 변증서』이단변증시리이즈 2.
원세호 저. 기독교이단사이비연구대책협의회 2001
281)『윤석전 이단에 관한 성경적 변증서』이단변증시리이즈 3.
원세호 저. 기독교이단사이비연구대책협의회 2001
282)『지방(교회)주장과 성경적 변증서』이단변증시리이즈 4-1(상권)
<워치만 니. 윗트니스 리. 지방파> 원세호 저. 기독교이단사이비연구대책협의회 2001
283)『목회와 진리수호』기독교이단사이비연구대책협의회,이단분별의제자화운동본부.
2001.9.20 창간호. 발행인 원세호 편집인 원문호
(연구내용 윤석전 이단 관련 / 이영호목사. 장경훈 전문위원. 원문호 목사 게재)
Ⅲ. 한국신종교?이단연구 자료 (영상)
1) 만민중앙교회 - MBC PD 수첩 99. 5 / 12일
2) 파 룬 궁 - SBS 그것이 알고싶다. 99, 9 / 12일
3) 통 일 교
① 문선명의 실상과 허상. 문선명 문제연구소.
② 문선명의 비리와 실체 일본 T.V 녹화 테이프.
4) 엘리야 복음선교원
① PD 현장보고 (한농복구회) 전국향토문화자료실 (대구)
② 엘리야 복음선교원 공청회 녹화 테이프. 89, 1/23 일.(서울 상동교회)
③ 한농문화제 - 석국 비디오(엘리야복음 선교원용).
5) 할렐루야기도원
① 17 나는 보았네 - 할렐루야기도원용
② 외길가게 하소서
③ 사건과 사람들(기도원 폭력) - SBS 99, 5 / 3 일.
④ 그것이 알고싶다 - SBS 2000. 12 / 16 일.
⑤ H 기도원 매독감염 - MBC. . .
⑥ 추적 60분 - KBS 86. 1 / 19 일.
6) 시한부 종말론
① 사건과 사람들 - SBS 99. 3/15 일.
② 그것이 알고싶다 - SBS 98, 8/30 일
③ 추적 60분 - KBS 99. 7/16 일.
7) 다락방 - ① 다락방 메시지의 신학적 이해 - 다락방용.
8) 여호와증인 - ① 여호와의 증인 그 이름을 지닌 조직 - 여호와증인용
9) 대순진리회
① 추적60분(가출) KBS 84. 4 / 8.일
② MBC PD 수첩 - 92, 9 / 2일
10) 안 식 교 - ① 사건과 사람들 - SBS 96, 12 / 14 일.
11) 천 주 교 - ① 카톨릭 믿음의 위기 - 비디오 선교 센타.
12) 빈 야 드 - ① 토론토 불레씽 - 홍보용
13) 초 능 력
① 기치료 3부작 - SBS.
② 기치료 초능력 - SBS.
③ 투 시 - SBS.
④ 역술인 사주 - SBS
⑤ 잠재의식 - 울타리문화선교회
⑥ 충격 대 예언 - SBS 95. 12 / 8 일
⑦ 그것이 알고싶다(잠재능력) - SBS 10 / 14 일.
14) 전 도 관
① 추적 60분 - KBS 94, 12 / 8 일.(전도관, 영생교, 광주삼천성교.
② 한국 100년 우리는 이렇게 살았다 - KBS 99. 6 / 3 일
15) U.F.O - ① 그것이 알고싶다 - SBS 97, 1 / 13 일
16) 뉴 에이지
① 대중문화와 뉴에이지 운동 - 울타리 선교회
② 뉴에이지와 음악 - “
③ 사탄은 마침내 대중문화를 선택했다 - “
17) 불 교
① 소쩍새마을 일력 스님 - MBC PD 95, 7 / 4일
② 추적 사건과 사람들(전생신드름) - KBS 96. 9 / 16일
③ 인간시장 (영화)Ⅲ - 영화.
④ 끝없는 환생과 죽음 - 기독교 T.V 영상사업선교회.
⑤ 스님 에수 믿으면 좋겠네요 - 한국비디오 선교회.
18) 세계정교회(세스팔다스) - ① MBC PD 수첩 - 98, 11 / 25일
19) 라즈니쉬 - ① 라즈니쉬 장레식 - 오쇼명상용.
20) 초 막 절 - ① 최총일과 주상식 토론대결 . - 녹화테잎.
21) 초락도 금식기도원 - ① 성령의 불을 받아라 - 초락도 금식기도원 용.
22) 베 뢰 아 - ① 김기동 과 성락교회 - 성락교회 홍보용.
23) 영 생 교
① 죽음의 영생교 - KBS 추적 60분. 99.3 / 12일
② 영생교 - 추적 60분 94. 3 / 27일
24) 안상홍 증인회 - ① 그것이 알고싶다. Ⅰ.Ⅱ. - SBS
25) 무속종교
① 남신 여신교 - SBS 미니시리즈
② 추적 60분(운명 대 예언) - KBS 96, 1 / 14일
26) 백 백 교 - ① 백백교(영화)
27) J. M. S - 그것이 알고싶다. Ⅰ - SBS 99. 3/20일 / Ⅱ - SBS 99. 7/24일
28) 유마일 포교원 - ① 자칭 예수 유마일 포교원 - SBS 98. 8/16일
29) 단 군 교
① 한단고기 - KBS 99. 10 / 2일
② 단군 좌담 - KBS 99. 10 / 3일
30) 목 단 교 - ① 그것이 알고싶다 - SBS 94. 10 / 23일
31) 세계일주공회 - ① “ - ”(양도천)
32) 옴 진리교 - 옴 진리교 정체 - KBS T.V. 뉴스 모음.
33) 야스꾸니 신사 - ① 일본 야스꾸니 신사 참배. - KBS TV 방영.
34) 종 합 用
① 한국종교 - SBS .TV.
② 추적 60분 - KBS 94. 3/27일
③ 박봉숙 변호사 -
결 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보다 무리가 없는 이단연구이다.
이를 위한 ‘한국의 아레오바고’ 가 있어야 한다. 사도행전 17:16절 이하에 보면 바울이 아덴에 우상이 가득한 것을 보고 마음이 분하여 날마다 만나는 자들과 변론하니까 에비구레오와 스도이고 철학자들이 “ 이 말쟁이가 무슨 말을 하고자 하느뇨” 하면서 바울을 붙들어 아레오바고로 가 “우리가 너의 말하는 새 敎가 무엇인지 알 수 있겠느냐.” 듣기를 청했다. 이때 바울은 ‘말쟁이-스펠몰로고스’ 라는 비난을 감수하면서 온갖 우상을 숭배하는 저들에게 “알지 못하는 신의 정체”를 알려 주었다. 그런데 과연 한국교회에 ‘새 敎를 전하는 말쟁이’를 세울 수 있는 아레오바고가 있는가 ? 공간이든 지면이든 ‘한국인의 아레오바고’ 가 있어야 한다. 동시에 한국교회는 ‘새 교를 전하는 말쟁이’ 의 말을 들을 수 있는 귀가 열려야 한다. 반면에 ‘새 敎를 전하는 말쟁이’ 들은 ‘바울’처럼 어떤 모욕도 감수하면서 자기가 믿는다는 확신의 진리를 아레오바고에 서서 자신 있게 말 할 수 있어야 한다. ! 이에 관한 바람직한 연구를 위한 전문 도서관이 건립돼야 할 것이다.
Copyright@ by 기독교 이단.사이비연구대책 협의회 All Right Reserved
상호명 : 기독교 이단·사이비연구대책협의회(이하 "기이사연대협") CRAAH
대표자 : 원세호 목사
사업장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6동 1680-30
대표전화 : 02) 876-3199,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전화 상담이 가능합니다.)
대표메일 : munje12@empal.com
[개인정보보호정책] [약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