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 칼 바르트 비판 - 한 종희
20세기 現代神學(현대신학)의 실체
그리스도의 代贖(대속)이 없는 기독교
2009년3월
한 종희 목사
강의한 학교들
부산신학, 광주신학, 부산브니엘 신학,2002년
대신대학교, 전교생(대구, 박영희)2003년
칼 빈신학교, 전교생(서울, 김의환)2003년
국제개혁신학대학교(나성, 조천일)2004년
에 벤 젤리 아 신학교(나성, 이근 삼)2004년
한동대학교-現代哲學(현대철학)(포항, 김 영길)2005년
브라니파엘 신학교(부산, 김 규승)2005년
고려신학교, 전교생(파주, 석 원태)2006년
창조과학 회 교수들(나성, 이재만)2006년
와신 튼 신학교(시애틀, 최 태 원)2006년
캘리포니아개혁신학대학교(박 의훈)2008년
한 종희는 누구인가?
다음은신복음주의신학을작성하고전파해온대표적인두행정가(Harold J. O c Keng a, Billy Graham)와 그 학자들(Carl F. H. Henry, Edward J. Car nell, John R. W. Stot
t, James I. Packer. 김 세윤)이다. 이들을 다 배교신학으로 규정하고, 비평한필자의 글을 사람들이 선뜻 받아드리지 못한다. 그이유가무엇인가? 여기에열거한7명의목사들이현대과학과 계몽사상을 수용하여, 정통신학을100%부정하였으나, 그들이 정통신학의 용어와문장과기법만을 사용하여 현대신학을 해설하기 때문에, 그들의 정체성이 가려지고 은폐되어져, 독자들이배교한신 복음주의신학의정체성을 좀처럼 알아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 종희 의 저서,[정통주의신학에서 본 칼 바르트신학]을 한국의 예장총회(합동)가2002년에 출판하였는데, 다음은 그 책을 평가한 네 학자들(이근 삼, 김의환, 홍 치모, 김상복)의 글이다. 네 분 학자들은, 바르트신학에대한 한 종 희 의 분석과 해설을 옳은 것으로 평하였고, 김상복교수는 서평에서, “바르트신학출범이후, 정통신학에서바르트신학을 제대로 비평한 책으로는 한 종 희 목사의 책이 처음일 것이라”고하였고, “그 누구도 한 목사만큼 바르트연구에 많은 시간을 바치기는 어려운 일이므로, 오래 동안이 책을 능가할만한 책이 나오기는 힘들 것이라”고하였다. 세분교수들과 김상복교수의 평가로, 한 종 희 목사의 학적수준을 충분히 가늠할 수가 있다. 치영 교 박사는 본서, “신복음주의 신학”을 교정하고 쓴 본서의 서문에서말하기를, 한 종 희 목사가 쓴“신 복음주의신학”은, 1919년에 유럽세계에 돌풍을 일으켰던 바르트의로마서강해서에 버금가는 책일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이근 삼 교수1)
[한 종 희 박사는 바르트신학의문제점에 착안하여, 평생 동안 탐구하였고, 바르트신학의학도들이정립하지 못했던 문제점들을 분명하게 밝혔으며, 정통주의신학에서 변증신학의과제로 내려오던 바르트신학의문제점들도 선명하게분석하고 비판하여주었다. 우리는 이글에서 그의 진지한신학적 연구태도와, 예리한 관점들을 귀하게 보고, 경의를 표하지 아니할 수 없다.]
김의환 교수2)
[이 책은 한 종 희 박사가 연구를 시작한지 45년간 탐색하고 연구하여 쓴 글이다. 칼 바르트의 신학은 그 얼굴을 내 민지80년이 지났으나, 아직까지도 난해하여 정립하지 못한 채 남아있는부분이 많은데, 필자는 이난해한 신학을 정통주의신학입장에서서 알기 쉽게 예리하고 분명하게분석하고, 비판하였다. 이 책의출판으로보다 많은 부분에서 바르트신학의 정체성이 아주분명하게 드러나게 되어 기뻐해마지않는다.]
홍 치모교수3)
[한번결심한대로50여 년 동안 한 우물을 파다보니 비로소 샘물이 솟았고, 책으로 선보이게 되었다. 이 책에는 한 종 희 목사님의 진리에 대한사랑과열정이 담겨있다.1년 전 나는 한 목사님의 원고를 받아 세밀하게 정독하고, 약간의 교정을 보아드렸다. 새삼스럽게 한 목사님의 집념에 놀라지 아니할 수 없었다. 한 목사님은 목회하며, 한편 가르치면서, 진지하게연구하고 탐구하는 자세를 흩트리지 않고, 과연 한평생을 살아온 것을 생각할 때에, 존경심이 저절로 나오는 것을 금할 수 없다.]
김상복교수4)
20세기의 가장 저명한 신학자라하면 칼 바르트를 빼놓을 수 없다. 바르트를좋아하든 싫어하든 그는 아무도무시할 수없는 신학자이다. 그만큼 그의 신학은 큰 영향을 끼쳤다. 바르트는19세기의 합리주의에 바탕을 둔 자기스승들의 자유주의신학에 과감한 반기를 들고, 복음주의신학에 복귀를 시도했다. 그로인해자유주의물결에 떠밀리던 복음주의자들은 그의 신학을 반겼고, 자유주의를 비판하며 일어선 바르트의신학을신 정통주의라 부르며, 현대의식에 맞는 개혁주의의 희망으로 환영했다. 그의 첫 저서인 로마서주석은신학자들의 놀이터에 떨어진 폭탄과도 같다고까지 사람들은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바르트의 신학을 연구한 정통주의자들은 그의 신 정통주의는 정통주의도 아니거니와 새로운 것도 없다고 비판하였다. 그럴 때마다 바르트자신이나 바르트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바르트의[교회교의학]전권과 그의 책들을 다 읽어보지도 않고 바르트를 비판하는 것은 부적당하다고 강하게 불평을 했다. 그러나 그의 방대한 서적을 다 읽는다는 것조차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학자들이나목회자들이 무슨 수로 그 많은 저서를 다 읽을 수 있겠는가? 나 자신도[교회교의학]을 비롯한 그의 저서들을 거의 다 읽었지만 이해하기 어려웠고, 읽어가면서 그를 이해해보려는 노력 속에서 머리가 아파 고통스러워한 일도 있었다. 그는 확실히 난해한신학자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한 종 희 목사님께서[정통주의신학에서 본 칼 바르트신학](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발행)이란저서를 출판하셨는데 나는 그 책을 읽고 감탄했다. 한분이 바르트만40년 동안 연구하여 정통주의입장에서바르트를 철저하게 조명한 책을 쓴 것을 보고, 이 책은 정통주의를 신봉하는 모든 신학자들과 목회자들과 신 학도들이 현대신학을 이해하려면 반드시 읽어야할 책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바르트에 대한한목사의 평가가 옳다 으냐 그르냐는 독자의 신학적 입장에 따라다양할 것이다. 그러나 저자가 그 많은 시간을 드려 바르트를 연구하여 그의 신학을 이해하고 정통주의입장에서 비판하여 글을 썼다는 데는 의심할여지가 없다. 전통적기독교신학을 믿는 사람들로서는 한 종 희 목사의 바르트 비판을 능가할한 서적은 아직 보지 못했을 것이다. 그만큼 한 목사님은 정통주의 입장에서 바르트를진지하게비판하고 있다. 이 책은 제1장 서론만 읽어도 바르트를 전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바르트는 창조 관, 동정녀탄생, 몸의 부활, 내세관등에서 정통주의신학이2천년동안 믿어온 이적을 불신한 것을 분명하게 제시해주었고, 한 종 희 목사가제시한증거는 의심할여지가 없다. 바르트가정통신학의 용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그를 정통주의자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신학적 용어는 분명히 정통적 용어였지만, 그 의미는 바르트 나름대로의 주관적 생각과 주장을 담고 있다. 바로 이런데서 바르트의 신학은 많은 혼란을 초래했었다. 특히 바르트신학이해에서가장 큰 난제는 그의 성경 관과 계시관이다. 바꾸어 말해서 그의 인식론 혹은 신학의 방법론이다. 즉“어떻게 사유하느냐, 어떻게 신학을 구성하느냐, 생각의 근거를 인간에 두느냐 혹은 하나님에게 두느냐”이다. 한 목사는 제2, 3, 4장에서 이문제의해답을 분석해냈다. 바르트는 확실히 생각의 근거를 하나님대신인간의 이성에 두었고, 사고의 주체, 신학의 주체를 하나님대신인간에게 돌렸다. 그러므로 바르트는 철저한 실존주의철학자였고, 다만 자기철학을 성경과신학용어로 표현한신학자였다. 한 목사는3개의 장에서 이러한 사실을 아주 쉽게 그러나 분명하게 지적했다. 제5장에서 바르트의계시관을 해설하였다. 바르트는성경에서일체의 기적을 불신한 나머지, 이적의부분에서는 역사성을 철저히 거부하고 단지옛날이야기로 보았다. 이적의 이야기에서역사성을 거부하기위하여, 바르트는 그의 계시 관에 새로운 용어 G e sc h ich t e(이야기)를 도입하였고, Historie(역사)를 대신하여사용하였다. 그러나 미국신학자들은 이러한 바르트의 심중을 이해하지 못하여, 두 용어 Geschichte와 Historie를 하나의 용어<歷史(역사)>로 번역하므로서, 바르트신학이해를 어렵게 하였다. 바르트가성경의 이적을 말할 때에는 Historie(역사)라고 말한 적이 없다. 반드시 Geschichte(설화)라고 하였다. 반대로 바르트가 역사적사건을 말할 때에는 Geschichte를 사용한 적이 없다. 반드시 Historie만을 사용하였다. 바르트의[교회교의학]해설에서, 한 목사는 이러한 사실을 밝히 드러냈다. 바르트가 성경의 기적들을 Historie로 보지 않고 Geschichte로 취급하여, 성경의기적에서역사성을제거하고, 다만케리그마를끓어낼수있는“시적표현”혹은“이야기자료”나, 하나님을경험한사람들의개인적“증언”정도로보았다. 그러므로바르트에게는 奇蹟記寫(기적기사)의역사성은전혀의미가없었다.영적인교훈만이중요하였다.그러나아이로닉하게도그는성서안에서무한한날개를펴고 종횡무진하며진리를찾아사색하였고,좋은생각과좋은교훈을이끌어내느라 수십권의책을남겼다.독어본[교회교의학]만해도31권이나된다.그러나확실한것은바르트는성경을역사로,하나님의말씀으로믿는정통주의자를이교도로규정하였고,“저주받을자”라고까지했다(책의111면).한목사는자신의정통주의신학의잣대로바르트신학을재어보았다.한목사는 한국의감신대,한신대,연신대는말할것도없고“진보주의적정통주의신학”을지향하는장신대마저도바르트신학의영향이 담겨있다는사실을지적하였다.이책은동시에바르트의영향권에속한김재준교수를위시하여 한국신학자들의신학도측량한책이며,역시바르트의영향권에속한김재준교수를위시하여 한국신학자들의신학도측량한책이며,역시바르트의영향권안에있는한국장로교회중기장의신앙고백(1972)과장신대교수들의[神學聲明(신학성명),1985]과미국연합장로교회의 [1967년신앙고백]과미국장로교(PCUSA)의[간추린신앙고백,1983]을비평하여측량한책이다. [정통주의신학에서본칼바르트신학]은분량으로보아서는큰책은아니나,바르트신학에대한찬반을 막론하고이책은한번은꼭읽어야할책이라생각한다.특히정통주의신학을따르는신학자,목회자,신학생들에게는바르트를이해하는데필독서가될것을의심치않는다.많은세월이흘러,칼바르트의영향력은이미사라져가고있는마당에서,아무도한목사가바르트연구에사용한만큼의시간을사용할수있는사람은나오기힘들 것이므로, 칼바르트에대하여정통주의신학에서보는비판서로서는오래동안이책을능가할책이나오기가힘들 것이니, 한모갓님의정통적입장에동의하던지하지않던지간에,20세기의거장,칼바르트를이해하기원하는사람은반드시읽어보아야할책이라생각한다.
추천서 최영교박사
나와 한목사는 대구에서부터 목회자로 동역한 50여년간의 친구이다. 나는 본서의 원고를 숙독하여 교정을 보았다. 한목사가[신복음주의신학의정체]를 집필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철저한 정통신학의 확립과,믿음과 생활의 일치를 들수가 있다. 한종희 목사는1950년대에 박윤선교수에게 사사받아, 정통신학을 확립하였고,1962년에쓴 [중생한영혼은죄범하지아니한다.]는 일부 독립교단의 오류교리 비평이 김의환교수가 편집출판한책(이단의정체1975)에들어있고,45년간바르트 신학연구에 몰두하여쓴“정통주의신학에서본칼바르트신학”을 합동교단총회가 출판하였다(2002).서울 횃불트리니티신학원대학교 김상복교수는 이책을평하여,[바르트신학이출현하고,정통신학에서비평한책으로는,한종희목사의책이처음일것이며, 앞으로도 이만한책이 나오리라고기대하기어려운것은, 그누가한신학을45년간이나연구하여책을쓸수있겠느냐]고 평한것으로미루어보아, 한목사의학문세계를 가름할수가있다. 나는 김세윤교수의저서,“구원이란무엇인가”를읽고 처음에는감탄했었으나, 한목사의비평을읽고는, 김세윤교수의신학이모든기적일체를 불신하는 신복음주의신학임을알게 되었고, 이책에서해설한다른신복음주의신학자들 역시기적과초자연을 믿지않는다는사실을알게 되었다.나는 처음 얼마동안 현대신학의정체를 이해하지못하여 혼미하였으나, 본서의원고를읽으면서 내눈을가려왔던 안개가걷혔다.마치바르트의로마서강해서(1919)를읽었던사람들이, 감탄했던 것과같이, 신복음주의신학의 정체를보여준 본서를읽을독자들이 감탄할것을 확신하는바이며, 목회자들과 신학자들과신학생들이필히 읽어야 할책이라확신하여, 본서를추천하는바이다.
서문 한종희목사
지난2세기동안에 수많은현대신학이지나갔으나, 필자는자유주의신학과, 신정통주의신학과,신복음주의 신학을 현대신학의 중심축으로 보았다. 이 셋중에서, 신정통주의와 신복음주의는, 종종 복음주의 신학, 개혁주의 신학, 보수신학으로 불리기도한다. OcKenga가 자신이 作名(작명)한“신복음주의신학‘을정통신학이라고말한것을,본서에서필자가소개한 Ockenga의글에서볼수가있다. 그러나자유주의신학이현대과학과계몽사상위에세워졌고, 신정통주의신학과신복음주의신학이자유주의신학의교리를계승하였다.그러므로세신학은
①성경의불신이동일하고,
②성서의기적을전설과신화로보는것이동일하고,
③정통신학을100%부정하는것이동일하고,
④현대철학을빌려서현대신학을작성한것도동일하다. 결국신복음주의신학이배교신학임으로, 그정체를밝히는것이, 본서의목적이다.
21세기의신학으로자리잡은신복음주의가자유주의와,신정통주의의교리위에세워졌으므로, 자유주의와 신정통주의를 개관할 필요가있지만, 현대신학 해설에 왜 현대철학을 함께 엮는가? 4가지의 이유가 있다. 20세기의 현대철학과 현대신학은
①제1, 2차 세계대전의 참화에서 충격을받아, 동일한 동기에서 일어났다.
②인류와 문명을 전쟁과 파멸에서 보존하려는 목적이 동일하였다.
③동일한 현대과학과 계몽사상위에 세워졌다.
④인식의 주체가 둘다하나님이 아니고, 이간이다. 즉20세기의 현대철학과 현대신학은, 발생동기와, 발생목적과, 사상의기초와, 방법론(인식론)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신복음주의 신학(현대신학)이 현대철학과 동질화하여 배교하였으나, 이배교한 신복음주의 신학이 세계기독교 신학을이끄는 주체가 되어진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또한 신복음주의 신학이 종종개혁주의나, 복음주의나, 보수주의로 호칭되지만,
①그리스도를 신성없는 보통인간으로 보았고,
②성경을‘전설과신화’가섞여쓰인 고대소설(역설, 신화, 설화, 신비, 은유, 비유)로 보았으며,③종교다원주의로 나가면서도, 정통신학처럼 설교하고 글을쓰기 때문에,
④정통신학쪽사람들이 이배교한신학을 곡해하여, 복음주의나 개혁주의로 알고 있음으로, 이 배교신학의정체를 좀처럼 밝혀내지를 못한다. 이상이 필자가 본서를 집필한 목적이기도 하다. 총회가2002년에 출판한[정통주의신학에서 본 칼 바르트 신학,(한종희저술)]에서, 서론부분(현대철학)을 이책에 넣는 것을 총회출판부(합동)가 양해하여 주신일을 감사드린다. 그러나 본서의 서론에는 kant, kierkegaard, Hegel, 실용주의 철학, 분석철학등이 추가되었다. 최영교 박사의 정성어린 추천서에 감사드린다.
20세기의 현대신학
목차
제1장 현대철학, 현대신학 서론
1.철학과 신학의 동질화................11
2.주체의 전환.....................14
3.성경관과 신학....................18
4.현대철학의뿌리,
(1)고대희랍철학.................21
(2)계몽주의사상.................23
제2장현대철학
5.kant의정신철학...............29
6.Hegel의관념론철학...............32
7.유물론철학,,,,,,,,,,,,,,,,............34
8.生(생)의철학.........................39
9.실존주의철학........................40
10.실용주의철학......................44
11.분석철학.............................53
제3장 代贖(대속)이없는현대신학
12.자유주의신학......................64
(1)E. Herbert의자연신론.........64
(2)F. Schleiermacher의감정신학.......65
(3)A. Ritschl의윤리신학...........66
13.신정통주의신학...................66
(1)S. Kierkegaard..................67
(2)K. Barth.............................75
①바르트는?76,
②바르트의신론79,
③바르트의창조론86,
④바르트의기독론91
⑤바르트의종말론95
제4장 代贖(대속)이없는신복음주의신학
14.신복음주의 신학서론(H. J. OcKenga).......103
15.신복음주의신학성경론,Edward Carnell.......119
16.김세윤신학의구원론.....................................127
17.김세윤교수의진보신학..................................179
18.Billy Graham과 종교다원주의.....................200
19.James Packer의신학.....................................216
20.John Stott의신학...........................................295
21.Carl Henry의부활론......................................322
22.육체부활을불신한신복음주의신학자들............351
문익환, 조향록, 허혁, 김동수, 박봉랑, 곽선희
3.신복음주의 신학과 그신앙고백들.............360
(1)독일복음주의교회, [바르멘신학선언].......360
(2)미국연합장로교회(UPCUSA)[1967년신앙고백].362
(3)한국기독교장로회[신앙고백,1972년]..........368
(4)미국장로교회(PCUSA)[간추린신앙고백,1983]..384
(5)長神大學(장신대학)교수들의[신학성명,1985]....390
24.설화신학(Narrative Theology)........................404
표시할 내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