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 살아신 제"
어버이 살아신 제
섬기기란 다 하여라
지나간 후면
애닯다 어이하리
평생에 고쳐 못할 일
이뿐인가 하노라
-------------------------------
(해설)
효성이 지극했던 백목사님입니다. 가신 선친을 향해 그 아쉬운 마음 한이 없었을 것입니다.
주남선목사님의 임종도 백목사님에게는 참으로 평생 아쉬움을 주었습니다.
오늘, 백목사님 사후 14년을 지나고 있습니다. 생전에 배웠어야 할 많은 것이 있었습니다.
아쉽지 않습니까? 다시 세월을 돌려 생존한 그분에게 직접 배우고 문의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없습니까?
"평생에 다시 못할 일"로 하나님이 정해 놓았습니다.
후회와 회한에 가득찬 이 마음으로 오늘 해야 할 일에 매진해야 할 것입니다.
==============================================================================================
"가마귀 눈비 맞아"
가마귀 눈비 맞아
희는듯 검노매라
야광명월이야 夜光明月
밤인들 어두우랴
임향한 일편단심이야 一片丹心
변할 줄이 있으랴
==============================================================================================
"잘 가노라 닫지 말며"
잘 가노라 닫지 말며
못 가노라 쉬지 말라
부디 긋지 말고
촌음을 아껴 쓰라 寸陰
가다가 중지 곳하면
아니 감만 못니라
-----------------------------------------------
(해설)
백목사님이 고신에서 쫓겨날 때, 이인재목사님이 출옥성도이며 선배로서 백목사님을 따라 나서게 됩니다. 또한 백목사님에게 은혜 받은 많은 분들이 그리합니다. 그러나 고난이 오래가고 주변의 훼방이 장기간 이어지자 중도에 돌아가거나 흔들리는 분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오늘도 바른 노선을 걷기란 그 때와 같을 것입니다. 바른 길을 택하는 이들은 천에 하나 만에 하나입니다. 그러나 그마저도 가다보면 어디론가 없어집니다.
==============================================================================================
"공명이 긔 무엇고" 功名
공명이 긔 무엇고
헌 신짝 벗은이라
전원에 돌아오니 田園
미록이 벗이로다 미(고라니 "미")鹿
백년을 이리 지냄도 百年
역 군은인가 하노라 亦 君恩
------------------------------------------------------
(해설)
명예와 공로를 십자가에 못박고 출발하는 걸음이 목회자의 길이며 신앙길입니다.
그러나 명예와 공로 때문에 흔들리지 않은 이는 없었습니다. 교계 혼란의 큰 사건들 뒤에는 이 문제가 본질로 들어 앉아 있습니다. 한 두 사람의 지도자들이 자기 명예와 공로 때문에 교계를 뒤흔드는 경우가 적지 않았습니다.
==============================================================================================
"청초 우거진 골에" 靑草
청조 우거진 골에
자는다 누었는다
홍안은 어디 두고 紅顔
백골만 묻혔는다 白骨
잔 잡아 권할 이 없으니
그를 슬허 하노라
----------------------------------------------------
(해설)
그렇게 먹이고 다듬어서 아름답게 아껴 살았지만 결국은 백골만 남는 것인데...
그래도 그 백골된 "홍안"을 위해, 그 "홍안"에 의해 교회도 교단도 개인의 신앙걸음도 동원되고 말아버립니다.
==============================================================================================
"말없는 청산이요" 靑山
말없는 청산이요
태없는 유수로다 流水
값없는 청풍이요 淸風
임자없는 명월이라 明月
이중에 병없은 몸이
분별없이 늙으리라
==============================================================================================
"청산리 벽계수야" 靑山裏 璧溪水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 감을 자랑마라
일도창해하면 一到滄海
다시오기 어려워라
명월이 만공산하니 明月 滿空山
쉬어간들 어떠리
--------------------------------------------------
황진이라는 기생이 고승을 유혹하여 한번밖에 없는 세상을
놓치지 말라는 내용입니다. 천국만 바라보고 갈 교계 지도
자들이 세상 이런 저런 욕심들이 유혹에 결국은 전부 다
넘어가게 되어 양떼와 교회 전체를 아주 더럽히던 당시 교계를
한탄한 것입니다.
"세상이 이렇게 좋고 또 가지면 좋은 것이 세상에 이렇게 많으니
목회자들아! 천국길은 잠깐 접어두고 세상을 따라가자는 이 유혹
을, 어떻게 듣고 어떻게 처신해야겠느냐? 세상 욕심을 일도단절
할 것이냐, 아니면 눈 한번 짓끈 감아버릴려느냐""는 것입니다.
==============================================================================================
"우리 둘이 후생하여" 後生
우리 둘이 후생하여
네 나되고 나 너되여
내 너 그려 끊던 애를
너도 날 그려 끊어 보렴
평생의 나 설워하던 줄을
들려보면 알리라
--------------------------------------------------
(해설)
한국교회를 사랑하여 그렇게 당하면서도 혼자 애를 끓던 당대의 선지자
오늘 공회와 이 신앙노선을 향해 그렇게 혼자 애를 끓이는 이가 있다면!
그가 바로 오늘의 백영희일 것입니다. 많은 이들이 이 길을 걸었으면
==============================================================================================
"한 손에 막대 잡고"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렸더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 길로 오더라
---------------------------------------------------
(해설)
하룻밤 나그네로 주셔서 우리가 구원이룰 시간은 촉박하기 그지 없는데
우리의 진력을 다 쏟아갈 길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