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교정 직원들의 남 다른 은혜)
과거 연구소에서 설교록을 교정하는 직원들은 신앙도 실력도 보잘 것 없었으나 설교 내용에 집중하는 직책 때문에 개인적으로 받는 은혜는 말로 표현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런 경험 때문에 이 노선의 교훈을 접하는 가장 빠른 방법으로 설교록을 읽되 그냥 읽지 않고 교정이나 제목 잡기 등의 과제를 내어 드립니다. 제목이나 교정과 상관 없이 그런 면으로 노력을 하다 보면 말씀에 집중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은혜 받는 일은 특별하기 때문입니다.
(이 번 집회)
지금까지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문제집을 내어 드렸으나, 이 번 집회부터는 장년반 모두에게 해당 되는 방법을 제시하겠습니다.
설교록에 줄을 긋고
줄을 그은 것 중에 아주 중요한 것은 체크를 하고
체크한 것 중에서도 중요한 단어는 옮겨 적어 보고
예배 후에는 옮겨 적어 놓은 것을 가지고 제목을 잡고 몇 줄을 스스로 적도록 부탁합니다.
(책임자)
현재 샘플을 만들어서 출력이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있습니다. 집회 때 사회자가 강단에서 "진행에 필요한 안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미리 다음 내용을 숙지하시고 필요하면 질문해 주십시오. 집회 기간에 먼저 파악한 분들이 열심히 하면 주변에서 따라 올 것이고, 잘 모르는 분들에게는 옆에서 서로 알려 주면 소리 없이 효력이 있을 것입니다.
-------------------------------------------------------------------------------------
(집회 때 전체 교인 용)
재독 공부 방법 1 (말씀 듣는 법)
‘나의 말씀’을 꼭 붙듭시다.
‘내가 느낀 것’만 적습니다.
1. 재독 방법
(설교 도중)
① 밑줄 긋기 - 회개할 것이나 꼭 중요하게 느낀 것 (페이지에 1 곳 이상, 보통 2, 3 곳을 표시)
② 체크 표시 - 밑줄 그은 것 중에 꼭 기억할 것 (밑줄 옆의 빈 칸에 체크 표시)
③ 옮겨 적기 - 체크 된 내용에 가장 중요한 단어에 표시 (메모지에 요약하여 옮겨 적을 것)
④ 통성 기도 - 책의 체크 된 곳이나 적은 내용을 가지고 기도
2. 노트 정리
⑤ 설교 요약 - 체크하고 옮겨 적은 내용을 중심으로 노트에 요약 정리
⑥ 제목 결정 - 설교를 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한 마디를 제목으로 적을 것
⑦ 회개 결심 - 설교 요약 전체를 한 줄로 줄여서 내가 회개할 것과 각오할 것을 적을 것
3. 묵상 생활
⑧ 쉬는 시간 - 예배 후 쉬는 시간에 최대한 묵상 시간을 가집시다.
⑨ 깊은 묵상 - 밑줄과 체크한 것과 요약한 것을 보며 말씀으로 깊이 깊이 생각합니다.
⑩ 묵상 방법 - 내 현실, 내 과거, 내 가정, 내 형편 전부를 말씀으로 일일이 대조합니다.
가슴 아픈 후회도 해야 하고
땅을 치며 원통함도 가져야 합니다.
내가 말씀을 제대로 알지 못해서 스스로 후회할 일을 했던 것입니다.
회개와 함께 앞날의 각오도 하고
말씀 안에 앞날의 소망도 가져야 합니다.
이제 말씀으로 사는 사람이 되도록 말씀의 능력을 받도록 기도합시다.
설교, 찬송, 기도 시간에도
예배 마치고 나갈 때도, 식사 때도, 누워서도
매 시간 ‘자기 말씀’으로 적은 것을 가지고 자꾸 깊이 생각해 봅시다.
지금 내 현실에 가장 큰 문제, 어려운 문제, 답답한 문제 그 어떤 것이라도
이렇게 말씀으로 자꾸 새기며 살피면서 하나님께 길을 배웁시다. 은혜를 구합시다.
-----------------------------------------------------------------------------------
위의 방법에 더하여 목회자 수준에서 해야 할 설교록 연구법을 한 가지 더 드린다면,
재독 공부 방법 2 (성구 찾는 법)
1. 설교 내용이 어느 성구를 근거했는지 그 출처를 표시하되
2. 여러 성구가 있을 경우에는 대표적인 성구만 표시해야 되나
3. 성구의 내용에 따라 의미가 있는 성구들은 달리 표시하실 것